•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monanthu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산채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 및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Occurrence and Control of Weeds in Edible Wild Greens Field)

  • 이인용;박재읍;박태선;유갑희;유범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68
    • /
    • 1998
  • 산채류(山菜類)중 달래, 머위, 참취밭에 발생하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napropamide 21.8% 유제(乳劑) nitralin 50% 수화제(水和劑) 그리고 pendimethalin 31.7% 유제(乳劑)를 약량별(藥量別)로 처리(處理)하였을 때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와 산채류(山菜類)에 나타나는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는 피, 바랭이, 여뀌, 명아주, 털진득찰, 깨풀, 속속이풀, 닭의장풀 등 9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였으며, 그중 피, 바랭이, 여뀌, 명아주, 털진득찰 등이 우점(優占)하였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를 나타내는 Simpson 지수(指數)는 0.26~0.30로 낮아 잡초발생(雜草發生)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였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의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는 napropamide유제(乳劑)(21.8%) 872g(ai/ha) 처리구(處理區)는 81.4%~85.6%이고, nitralin수화제(水和劑)(50%) 1,000g(ai/ha) 처리구(處理區)는 79.4%~82.8%, pendimethalin유제(乳劑)(31.7%) 634g(ai/ha) 처리구(處理區)에서는 86.8%~92.2%로서 작물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4. 공시약제(供試藥劑)에 대한 약제(藥劑)의 반응(反應)은 napropamide유제(乳劑)에서는 발아(發芽) 혹은 출아지연(出芽遲延)으로 인하여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는 1~3정도(程度)의 약해(藥害)가 나타났으며, nitralin수화제(水和劑)에서도 그 약해 증상과 정도가 napropamide유제(乳劑)와 유사(類似)하였으며 pendimethalin유제(乳劑)처리구의 달래와 머위는 생육지연(生育遭遲延)에 의한 1~2의 약해가 발현(發現)된 반면에 참취는 잎의 기형발현(畸形發現)으로 인한 2~3의 약해가 유발(誘發)되었다.

  • PDF

남부지방 5일장에서 신선 산채류의 유통 실태 (The Actual Distributing States of the Fresh Wild Vegetables in the Five-Day Traditional Markets of the Southern Districts in Korea)

  • 배종향;조자용;양승렬;김병운;장홍기;천상욱;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2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kinds of fresh wild vegetables, the number of street stalsl, seller's age, and the selling list of items of the street stall in the five-day traditional markets of Gyeongnam Tongyoung and Namhae, Jeonnam Naju and Younggwang, Jeonbuk Iksan and Jangsu, from March to May, 2005. The number of street stalls selling fresh wild vegetables was forty nine in Tongyoung, twenty five in Namhae, thirty in Naju, eighteen in Younggwang, one hundred and thirty in Iksan, and seventeen in Jangsu. The selling lists of items totaled forty items; thirty in Tongyoung, seventeen in Namhae, twenty in Naju, sixteen in Younggwang, twenty seven in Iksan, and thirteen in Jangsu. The main kinds were Aster scaber, Aralia elata, Pteridium aquilinum var. latusculum, Artemisia princeps, Sedum sarmentosum, Oenanthe javanica, Pla쇼codon grandiflorum, Petasites japonicus and Allium monanthum. sprouts or woody plants such as Arazia elate, Ailanthus altissima, Meliosma oldhamii, and Kalopanax pictus were also being sold. About $80{\%}$ of the sellers were over fifty one years old. Half of the sellers were at least sixty years old. More thab $77\%$ of the street stalls in the traditional markets sell fewer than four kinds of fresh wild veget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