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ne phoshatas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생쥐 부정소 정자의 성숙과정에서 Phosphatase 활성도 변화 (Changes in Phosphatase Activities of Mouse Epididymal Spermatozoa during Maturation)

  • 김문규;윤현수;김종흡;김성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7
    • /
    • 1990
  • 생쥐의 정자가 부정소에서 성숙하는 동안 Phosphatase 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Ernst(1975)의 방법을 변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정소으 두부내 정자와 미부내 정자으 단백질 함량은 각각 59.1 $\pm$8.4(mg/10 9 sperm), 14.0$\pm$12.3(mg/10 9 sperm)으로 나타났다. 기본 반응액에서 나타난 두부내 정자의 효소 활성도를 100%로 할 때, 미부내 정자의 활성도는 ALPase가 29.2%, ALPase가 44.9% 그리고 ALPase가 53.8%였으며, 초음파로 정자를 분쇄하였을 경우에 ALPase는 16.5%, ALPase는 33.3% 그리고 ALPase는 38.7%였다. 따라서 미부내 정자의 phoshatase 활성도는 두부내 정자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부정소의 미부내 정자에서 K+ -dependent ALPase와 ALPase의 활성도는 두부내 정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초음파로 정자를 분쇄하였을 때 $Ca^2$+ -dependent phoshatase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생쥐의 정자가 부정소에서 성숙하는 동안 phoshatase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은 성숙과정에서 정자가 수정능력을 획득하는 데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애응애과 응애의 분류 및 동위효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axonomy and lsozymes of False Spider Mites (Acarina: Temwpalpidae) from Korea)

  • 이정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7-155
    • /
    • 1988
  • 1986년 12월부터 87년 11월까지 채집된 애응애과 응애를 분류학적으로 정리한 바 Brevipalpus속의 B.californicus와 B.ovovatus 2종과 다음의 한국4미기록종을 얻었다: Aegyptobia nothus Pritchard and Baker,Pentomerismus taxi Hailer, P. oregonensis McGregor,Brevipalpus lewisi McGregor. 따라서, 한국산 애응애과 응애는 Tenuipalpus속의 T.zhizhilashiliae(감나무애응애)를 포함하여 4속 7종이 보고되는 셈이다. 또한 P. oregonensis,B.californicus,B.ovovatus 및 B.lewisi에 대하여 polyacry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로 esterase와 alkaline phosphatase pattern을 조사한 바 esterase는 band수와 이동도에서 종과 속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Effect of Dietary Minerals and Ca-Regulating Hormones on Bone Enzym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 Chung, Cha-Kwon;Ha, Kyung-Sun;Sohn, Jeong-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80-86
    • /
    • 1996
  • Parathyroid hormone(PTH) is known to stimulate bone resorption and to inhibit bone collagen synthesis. In contrast, as the evidence of stimulation of bone formation by PTH has recently been observed, the study on the role of PTH involved in osteoporosis draws remarkable attention.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 role of alkaline phoshatase(AP), a marker enzyme for bone formation and osteoblast action, Animals(BALS/cmice) were divided into three dietary groups(high and medium Ca and Ca-free) and hormones including PTH, calcitonin(CT), cholecalciferol(citamin D) were i.p. injected. AP in the serum and liver was measured using Sigma 221 alkaline buffer solutions containing 9mM of p-nitrophenyl phoshate. Enzume was reacted at 37$^{\circ}C$ for 10 minutes and the reaction was stopped by 1.8ml of 0.1N NaOH and measured at 410nm. We found that serum and liver AP activity was increased by low dietary Ac. Compared to the control, and serum Ap activity was enhanced by PTH and vitamin D regardless of the dietary Ca. On the other hand, liver AP activity was inhibited by OTH and vitamin D at all levels of dietary Ca. CT inhibited the action of PTH and vitamin D in the serum. But, the inhibition of PTH and vitamin D action by CT was not observed in the liver, unlike in the case of serum.

  • PDF

Nuclear Factor I-C 과발현과 발현억제가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상아질 기질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ver-expression and Inactivation of Nuclear Factor I-C on the Dentin Matrix Gene Expression of MDPC-23 Odontoblasts)

  • 배현숙;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7-433
    • /
    • 2009
  • 본 연구는 상아모세포의 분화와 상아질 형성과정에서 필수적인 인자로 알려진 NFI-C가 상아모세포 기질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DPC-23 상아모세포에 NFI-C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거나 발현억제시킨 후 상아질 기질단백질 유전자들의 발현을 RT-PCR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DPC-23 세포에서 NFI-C mRNA는 NFI-C 과발현후에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NFI-C 발현억제 후에는 감소하였다. 2. NFI-C가 과발현된 MDPC-23 세포는 NFI-C 단백질이 핵과 세포질에서 뚜렷이 관찰되었으나, NFI-C 발현이 억제된 MDPC-23 세포에서는 NFI-C 단백질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3. NFI-C 발현이 억제된 MDPC-23 세포는 대조군에 비하여 I형 아교질, OC, 및 DSPP mRNA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나 BSP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ALP와 DMP4의 발현은 NFI-C 발현억제 후에도 변화가 없었다. 4. NFI-C가 과발현된 MDPC-23 세포에서는 ALP와 DMP4 mRNA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I형 아교질, OC, DSPP, 및 BSP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 PDF

인삼의 해독작용에 관한 연구 급성 알코을 중독에 대한 인삼의 치료 효과 (Studies on the Antidotal Effect of Panax ginseng The Therapeutic Effect of Ginseng on the Acute Alcoholism)

  • 신만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59-78
    • /
    • 1976
  • 알코을 마취작용 및 독작용에 미치는 인삼(백삼 및 홍삼)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백색 가토, 마우스, 및 잡견을 사용하였고, 백색 가토 및 잡견에 대한 알코올의 마취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마취의 유도시간, 마취시간, 회복시간과 마취의 유도로부터 완전회복까지의 전시간을 각각 계정하였으며, 마우스에 대한 알코올의 독작용($LD_{50}$)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혈중 알코올 농도, 혈당량, 혈청 transaminase(GOT 및 GDT)활성도 및 혈청 alkaline phosphatase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건강한 대학생에 대한 임상실험으로는 code substitution, response time 및 muscle coordination을 각각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로는 1. 인삼 전처치로 알코올 마취의 유도시간은 지연되었고, 회복시간과 마취가 시작하 여 회복될때 까지의 전시간은 현저히 단축되었다. 2. 혈중 알코을 농도는 인삼 전처치로 백색 가로에 있어서는 감소되었으나. 잡견에서는 별 영향이 없었다. 3. 인삼 전처치로 헐당량, 혈청transaminase(GOT 및 GDT)활성도 및 쳔청 alkaline phosphatase활성도는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각각 경상 범위 내에서의 변동이 였기 때문에 의의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없다. 4. 가토간 내 알코올 dehydrogenase활성도는 인삼 투여로 상승하였는데 특히 홍삼 투여로 더욱 현저하였다. 5. 마우스에 대한 알코올의$LD_{50}$은 인삼 전처치로 증가되었는데 홍삼 전처치로 더욱 현저히 증가되었다. 6. 학생에 대한 임상 실험에서는 알코올 투여 후 3시간에 측정하였는데 혈중 알코올 농도는 인삼 전처치로 변동이 없었으나 혈당량은 증가되었다. 7. 인삼 전처치로 알코을에 의한 response time은 현저히 단축되었으나 code substitution이나 muscle coordination에는 영향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