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 activator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9초

세균성(細菌性) Sericin 분해(分解) 효소(酵素)에 의(依)한 생사정련(生絲精練)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유용세균(有用細菌)의 분리(分離) 세정(選定) 및 생성(生成) Sericinase 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scouring of raw silk by the application of bacterial enzyme of sericinase -(Part 1.) Isolation and selection of proper bacteria and some studies of properties of this bacterial enzyme-)

  • 기우경;서정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75-81
    • /
    • 1969
  • 세균성(細菌性) Sericinase를 생사(生絲)의 정련(精練)과 고치 해서(解舒)에 이용(利用)하고자 유용균(有用菌)을 분리(分離) 선별(選別)하였으며 이 균(菌)이 생성(生成)하는 Sericinase 의 여러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여 생사정련(生絲精練)에 적용(適用)한 결과(結果)를 타정련법(他精練法)과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1. 생사정련작용(生絲精練作用)과 견제교작용(繭除膠作用)이 강(强)하며 견(絹) Fibroin에 대(對)해서는 전연(全然) 작용(作用)하지 아니하는 Sericinase를 생성(生成)하는 세균(細菌) 일주(一走)를 분리(分離) 선별(選別)하였다. 2. 본(本)균주(菌株)에 의(依)해 생성(生成)된 Sericinasedml 최적작용(最適作用) pH는 7.5에 위치(位置)하였으며 최적작용(最適作用) 온도는 $50^{\circ}C$였다. 이 온도(溫度)에서는 견섬유(絹纖維)의 modification 등(等)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믿어지며 3. 본(本) 효소(酵素)는 free incubation에 있어서는 $Ca^{++}$이 효소실활(酵素失活)을 촉진(促進)하며 기질(基質)에 사용(使用)할 때는 Ca-oxalate 일 경우(境遇) 효소작용(酵素作用)을 촉진(促進)하므로 작잠등(?蠶等)으 해서(解舒)에 유용(有用)할 것으로 믿어지며 4. 본(本) 효소(酵素)는 견사(絹絲) 중(中)의 Sericin을 거의 완전(完全)하게 분해(分解)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5. 본(本) 효소(酵素)를 사용(使用)하여 졍련(精練)한 견(絹)을 조사(調査)한 바그 생사표면(生絲表面)의 상태(狀態), Fibroin의 손상(損傷), 촉감(觸感), 정련효과(精練效果) 등(等)이 타(他) 정련법(精練法) 즉(卽) 석감법, Alkali법(法), Alkali 석(石) 감법보다 우수(優秀)하였으며, 고급정련볍(高級精練法)에만 이용(利用)하는 papain이나 pancreatin과 같은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期待)된다.

  • PDF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SPI2의 ssaK와 ssaJ의 발현조절 (Expression control of ssaJ and ssaK of SPI2 in Salmonella typhimurium)

  • 최혁진;엄준호;이인수;박경량;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8-114
    • /
    • 1998
  •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병독성 발현, 특히 숙주세포내로의 침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의 집단(gene cluster)인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 2(SPI2)의 발현에 대한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SPI2의 주요 유전자인 ssaJ와 ssaK의 promoter를 포함하는 regulatory region을 promoterless lac operon과 융합시켜 reporter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산소농도, 삼투압, pH, 탄소원 결핍 및 glycerol 참가 등 여러 환경요인들의 변화가 이 reporter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저산소, 낮은 삼투압, 약 알칼리 등이 ssaJ와 ssaK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위의 세조건이 함께 존재할 때 그 발현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소원 결핍이나 glycerol 첨가는 이 두 유전자들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이상과 같은 환경인자들의 효과는 S. typhimurium의 세 가지 야생형인 LT2, UK1과 SL1344 모두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다른 한편 SPI1의 transcriptional activator를 암호화하는 조절유전자인 hilA의 돌연변이는 ssaJ와 ssaK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도 밝혀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SPI1과 SPI2가 서로 별개의 조절계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됨을 보여준다.

  • PDF

활성화된 삼성분계 고유동 모르타르의 기초특성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High Fluidity Mortar with Activated Ternary Blended Slag Cement)

  • 배주룡;김태완;김인태;김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74-82
    • /
    • 2017
  •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플라이 애시(FA) 그리고 칼슘설포알리미네이트(CSA)를 혼합한 활성화된 삼성분계 시멘트의 강도와 건조수축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활성화된 삼성분계 시멘트(ATBC) 모르타르의 물-결합재 비는 0.4이다. GGBFS의 치환율은 100%, 80%, 70% 그리고 60%이며, FA는 10%, 20%, 30% 그리고 40%, CSA는 0%, 10%, 20% 그리고 30% 치환비율로 설정하였다. 혼화제는 폴리카르폭실계를 사용하였다. 활성화제는 결합제 질량에 대해 10% 수산화나트륨(NaOH) + 10% 규산나트륨($Na_2SiO_3$)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미니 슬럼프, 응결시간, V-funnel, 물흡수율, 압축강도 그리고 건조수축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배합에서 혼화제의 양, V-funnel 그리고 압축강도는 CSA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응결시간, 물 흡수율과 건조수축은 CSA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강도증가와 건조수축 감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CSA와 활성화제에 의한 GGBFS의 수화반응 촉진 때문이다. CSA의 혼합양은 활성화된 삼성분계 시멘트의 강도 증가와 건조수축 감소에 중요 영향요인이다.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재활용한 친환경 건설 소재의 재료적 특성 (Properties of Eco-Construction Material Using Recycled Sewage Sludge Ash)

  • 조병완;이재익;박승국;이재승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667-676
    • /
    • 2007
  • 21세기에 들어와 현대의 건설 재료로 대표되는 시멘트 콘크리트는 이산화탄소 발생 등에 의한 지구온난화현상, 대기오염, 환경오염 및 파괴 등에 대한 환경적 문제 및 고성능, 고강도 등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지속 가능 개발에 적합한 신개념 건설 소재를 개발하여 부족한 천연자원을 대체하고, 폐기물 자원화 기술 확보 및 2차 환경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수슬러지의 화학성분비는 $SiO_2$$Al_2O_3$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졸란 물질의 성분과 유사하였다. 또한 하수슬러지 소각재는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포졸란반응성을 갖는 경화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멘트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적정한 강도 발현의 가능성과 건조수축 등의 유리한 점을 고려할 때, 추후 연구를 통하여 시멘트 대체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분해수를 배합수로 활용한 모르타르의 탄산화 저항 특성 (Carbonation Resistance Property of Mortar using Electrolysis Aqueous)

  • 정수미;박선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04-210
    • /
    • 2022
  • 시멘트는 건설산업 분야에서 주된 이산화탄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시멘트의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해 시멘트 대체재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고로슬래그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할 경우 장기강도 증진과 내화학성 향상 등의 장점을 지니고있다. 하지만 고로슬래그는 초기강도 저하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고로슬래그의 생산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표면의 불투성 피막이 원인이다. 생성된 피막은 알칼리 환경에서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알칼리 자극제를 사용한 해결방안을 제시해왔다. 알칼리 자극제는 강알칼리성 물질이기 때문에 위험성이 존재하며, 비용이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의 초기 수화반응성을 향상시켜 고로슬래그를 치환한 모르타르의 초기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탄산화 저항성 증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수를 활용한 모르타르가 일반 배합수를 사용한 모르타르에 비해 높은 강도발현을 보였으며, 내부에 더 많은 수화생성물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알칼리 수를 배합수로 활용한 모르타르가 탄산화 저항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INFLUENCE OF BASALT FIBRES ON THE PROPERTIES OF FLY ASH BASED GEOPOLYMER BINDER

  • Temuujin, J.;Minjigmaa, A.;Davaabal, B.;Darkhijav, B.;Ruescher, 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3-50
    • /
    • 2016
  • The influence of basalt fibr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geopolymer type binders has been studied. For the experiments 2 types of the basalt fibres were used, namely chopped and spooled fibres. Both types of basalt fibres were 7-10 micron thick in diameter and cut into pieces of 6 mm length. The fibres were mixed with 1% weight to the fly ash powder, followed by the addition of the activator solution (8M NaOH). The pastes obtained were cured at $70^{\circ}C$ for 20 h revealing compact bodies.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after 7 days and microstructure observation performed with SEM. The cube bodies ($2{\times}2{\times}2cm$) reveal compressive strength of 47.25(4.03) MPa, while it decreased to 34.0(9.05) MPa in spooled basalt fibres and to 17.33(5.86) MPa in the chopped basalt fibres containing binder, i.e 76% and 36% of the strength without fibres, respectively. The much weaker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hopped fibres containing binder is related to the absence of significant adhesion between the geopolymer binder and the basalt fibres, forming voids instead. Alkali leaching effect of basalt fibres could probably explain the drop in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spooled and chopped fibres, respectively.

고로슬래그 및 전기분해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하이볼륨 시멘트 경화체의 수화특성 (Hydration Properties of High Volume Cement Matrix Using Blast Furnace Slag and Alkaline Aqueous by Electrolysis)

  • 김선아;박선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8-13
    • /
    • 2017
  • 본 연구는 $CO_2$를 다량 발생시키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치환하고 기존 알칼리 자극제를 대체하여 전기분해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하이볼륨 시멘트 경화체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일반적인 시멘트를 사용한 시험체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40%, 60%에 일반적인 물과 전기분해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시험체에 대하여 압축강도, XRD 및 SEM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는 경화체에 있어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할 시 강도가 증가하고 입자 표면에 수화물이 다량 생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40% 치환하고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인 시멘트 경화체 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재령 10일에 한정하여 실시한 연구로서, 고로슬래그 및 전기분해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한 시험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물유리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Glass Conten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luminosilicate-Based Geopolymer)

  • 김진태;서동석;김갑중;이종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488-493
    • /
    • 2010
  • Geopolymer is a term covering a class of synthetic aluminosilicate materials with potential use in a number of areas, but mainly as a replacement for Portland cement. In this study, geopolymers with fly ash and meta kaolin were prepared using KOH as an alkali activator and water glass. The effect of water glass on the microstructure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geopolymer was investigated. As the amount of water glass increased, the dissolved inorganic binder particles in the geopolymers increased due to polymerization, resulting in a dense microstructure. The meta kaolin-based geopolymer showed a better extent of polymerization and densification than that of the fly ash-based geopolymer. XRD data also suggested that polymerization in meta kaolin-based geopolymers should be activ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n amorphous phase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water glas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geopolymer was also dependent on the amount of water glas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geopolymers from both fly ash and meta kaolin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water glass because water glass improved the extent of polymerization of the inorganic binder and resulted in a dense microstructure. However, the addition of water glass to the geopolymer did not seem to b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because the meta kaolin-based geopolymer mainly consisted of a clay component. For this reason, the fly ash-based geopolymer showed a higher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than the meta-kaolin geopolymer.

CaWO4-Li2WO4-Eu2O3계 형광체의 PL 특성과 결정구조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and Crystal Structure of CaWO4-Li2WO4-Eu2O3 Phosphors)

  • 김정석;최진호;정봉만;강현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15
    • /
    • 2006
  • Photoluminescence (PL) and crystal structures of the $(l-x)CaWO_4-xLi_2WO_4$ binary system added with $Eu_2O_3$ activator have been characterized. The $CaWO_4\;and\;Li_2WO_4$ have the scheelite and phenakite structures respectively. The $CaWO_4-Li_2WO_4-Eu_2O_3$ phosphors show the red luminescence of 613 nm peak wavelength. The wavelength range of excitation spectral band is $380\~470$ nm with the peak wavelength of 397 nm. The $0.88(0.5CaWO_4-0.5Li_2WO_4)-0.12Eu_2O_3$ showed the most superior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co-doping elements such as $Al_2O_3$ and rare-earth oxides on PL has been characterized. The co-doping elements deteriorated the luminescence intensity except the $Al_2O_3$ and $Gd_2O_3$. The PL characteristics of $CaWO_4-Li_2WO_4-Eu_2O_3$ phosphors have been compared to those of the alkali europium double molybdates (tungstates) of scheelite-related structure such as $LiEu(MoO_4)_2$ and $CsEu(MoO_4)_2$. The crystal structures of $(l-y)[(l-x)CaWO_4-xLi_2WO_4]-yEu_2O_3$ phosphors have been characterized using XRD data and rietveld refinement.

A new geopolymeric grout blended completely weathered granite with blast-furnace slag

  • Zhang, Jian;Li, Shucai;Li, Zhaofeng;Li, Hengtian;Du, Junqi;Gao, Yifan;Liu, Chao;Qi, Yanhai;Wang, Wenlong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9권6호
    • /
    • pp.537-545
    • /
    • 2020
  • In order to reduce the usage of cement slurry in grouting engineering and consume the tunnel excavation waste soil, a new geopolymeric grouting material (GGM) was prepared by combine completely weathered granite (CWG) and blast-furnace slag (BFS), which can be applied to in-situ grouting treatment of completely weathered granite strata. The results showed CWG could participate in the geopolymerization process, and GGM slur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setting time, high flowability, low viscosity, high stone rate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a design method of grouting pressure based on viscosity evolution was proposed. By adjusted the content of completely weathered granite and alkali activator concentration, the setting time of GGM were ranged from 5 to 30 minutes, the flowability was more than 23.5 cm, the stone rate was higher than 90%, the compressive strength of 28 days were 7.8-16.9 MPa, the porosity were below 30%. This provides a novel grouting treatment and utilizing excavated soil of tunnels in the similar str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