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al community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초

Macroalgal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on Udo, Jeju Island, Korea

  • Kang, Jeong-Chan;Choi, Han-Gil;Kim, Myung-Sook
    • ALGAE
    • /
    • 제26권4호
    • /
    • pp.333-342
    • /
    • 2011
  • Macroalgae are important primary producers in marine ecosystem. They don'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as bioindicators but also provide economic resources for humans. Seasonal and vertical variations in seaweed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ecological status of seaweed beds around Udo, near Jeju Island. We obtained samples at two sites in the high-intertidal to subtidal zones using the quadrat method between June 2010 and May 2011. A total of 262 species were collected, including 31 green, 61 brown, and 170 red algae. The composition of algal species revealed a decrease in species growing in cold water in comparison with the list 20 years ago. The macroalgal mean biomass (g wet wt $m^{-2}$) was 3,476 g and 2,393 g from the two sites, respectively. Ecklonia cava had the greatest biomass at both sites. The seasonal dominant species by biomass at site 1 from the low-intertidal to 1-3 m depth of the subtidal zone was mostly comprised of thick-leathery form, such as Sargassum hemiphyllum, S. coreanum, and Ecklonia cava, whereas site 2 was comprised of the turf form, such as Chondrophycus intermedius, Chondracanthus intermedius, Dictyopteris prolifera, and Gelidium elegans. The current ecological status of the seaweed community in Udo is stable based on diversity and dominance indices.

부영양 저수지에서 국내 담수산 패류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mestic Freshwater Shellfishes on the Water Quality in the Eutrophic Agricultral Reservoir)

  • 황순진;박구성;백순기;김백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8-155
    • /
    • 2010
  • Water quality and plankton community dynamics after the introduction of two domestic freshwater shellfishes (Unio douglasiae Griffith & Pidgeon and Cipangoplaudina chinese malleata Reeve), were monitored daily in enclosures, which constructed in the tidal zone of eutrophic agricultural reservoir (Shingu reservoir, Korea) for one week between July 31 and August 6, 2007. This biomanipulation stud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eutrophic lake, comprised eight enclosures (duplicate x four kinds), enclosure had no mussels (Control), stocked only with U. douglasiae at density of 60 individuals (UD), stocked only with C. chinese malleata at density of 60 individuals (CCM), and combined-stocked with 30 individuals of UD and 30 individuals of CCM (MIX), respectively. Our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UD strong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and increased the water transparency, whereas CCM and MIX (included CCM) did increase algal density or decrease transparency, due perhaps to the disturbance of C. chinese malleata. Therefore, the field application of shellfish to enhance the water quality of eutrophic agricultural reservoir, should consider the grazing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especially active moving animals like snail.

추자도 조간대 해조류의 종조성과 생물량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Seaweeds in Chuja Island)

  • 김명숙;김미량;정미희;김정하;정익교
    • ALGAE
    • /
    • 제23권4호
    • /
    • pp.301-310
    • /
    • 2008
  • The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biomass of Chuja Island, south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intertidal marine algae were made at two sites, Yecho of Hachujado and Hupo of Sangchujado, from October 2006 to July 2007. A total of 162 species, including 15 green, 47 brown and 100 red algae,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occurrence of species according to season was abundant during spring to summer and less in autum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intertidal zone in Chujado was characterized by Gloiopeltis spp., Myelophycus simplex, Ishige okamurae, Chondrus ocellatus, Grateloupia elliptica,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spp. The average biomass of macroalgae was measured as 400 g wet wt m$^{-2}$.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biomass were Sargassum yezoense, S. coreanum and Hizikia fusiformis. ESG II (ecological state group) as an opportunistic species, including sheet form, filamentous form, and coarsely branched form, occurred 85.8% in the intertidal seaweeds. These results provide a baseline for future monitoring studies in the Chuja Island.

Seasonal Changes in Cyanobacterial Diversity of a Temperate Freshwater Paldang Reservoir (Korea) Explored by using Pyrosequencing

  • Boopathi, Thangavelu;Wang, Hui;Lee, Man-Duck;Ki, Jang-Seu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424-437
    • /
    • 2018
  • The incidence of freshwater algal bloom has been increasing globally in recent years and poses a major threat to environmental health. Cyanobacteria are the major component of the bloom forming community that must be monitored frequently. Their morphological identities, however, have remained elusive, due to their small size in cells and morphological resemblances among species. We have analyzed molecular diversity and seasonal changes of cyanobacteria in Paldang Reservoir, Korea, using morphological and 16S rRNA pyrosequencing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at monthly intervals from the reservoir March-December 2012. In total, 40 phylotypes of cyanobacteria were identified after comparing 49,131 pyrosequence reads. Cyanobacterial genera such as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and Synechocystis were predominantly present in samples. However, the majority of cyanobacterial sequences (65.9%)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of uncultured origins, not detected morphologically. Relative abundance of cyanobacterial sequences was observed as high in August, with no occurrence in March and Decemb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yrosequencing approach may reveal cyanobacterial diversity undetected morphologically, and may be used as reference for studying and monitoring cyanobacterial communities in aquatic environments.

지도지생태계의 물리화학적환경과 식물성 플랭크톤군집의 생산성 (Physico-Chemical Environment and Productivity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Jido Pond Ecosystem)

  • Song Seung-Dal;M. Anwarul Huque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2호
    • /
    • pp.117-122
    • /
    • 1990
  • 인공지인 지도지생태에 대하여 1979년 4월부터 1980년 3월까지 수온, pH, $Cl^-,\; Mg^{++}$, alkalinity, detergent, $SiO_2-Si, PO_4-P\;^{3-}, NO_3-N\;NO_2-N\;NH_4-N$, BOD, COD, DO, OM 및 OC등의 물리화학적 수질환경의 동태를 분석하고 일차생산자인 식물성플랭크톤의 다양성 및 생장과 생산성을 측정하여 생태계의 물직대사와 에너지이효율을 정량화하였다. 식물성플랭크톤의 분포는 총 28종의 우점종(Chlorophyta 11종, Bacillariophyta 9종 및 Cyanophyta 3종)이 출현하였고, chlorophyta는 전체 algal counts의 75%를 점하였다. 다양성지수는 d=0.85~2.80, $\={H}$=1.10~2.40, e=0.56~0.90였다. 현재량은 0.043~0.385g chl/$m^2$의 범위였고, 광합성율 및 호흡율의 변화는 각각 0.36~4.50와 0.10~1.40mg $O_2$/l/hr이며, 동화량은 0.6~3.8mg C/$m^2$,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은 연평균 2.44%였다. 인과 질소의 turnover time은 각각 20days와 3days였다.

  • PDF

금강 중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이해 (2014~2015)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Midstream of Geum River on 2014 and 2015)

  • 한사랑;조기철;윤조희;이재정;유순애;최인찬;주현지;천세억;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375-384
    • /
    • 2016
  • Phytoplankton commun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management of aquatic environment due to generation of varying toxins by harmful algal spec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PCS) in the midstream of Geum River (GR)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5. The water sampling was performed in five stations on 2014, and three stations on 2015. Subsequently,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in laboratory condition. As results, total 265 species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mprised of 40.8% of Bacillariophyceae, 9.1% of Cyanophyceae, 44.5% of Chlorophyceae, and the others (4.9%).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otal average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as $12,948cells\;mL^{-1}$, and it was comprised of $7,702cells\;mL^{-1}$ of Bacillariophyceae, $2,821cells\;mL^{-1}$ of Cyanophyceae, $2,121cells\;mL^{-1}$ of Chlorophyceae, and $305cells\;mL^{-1}$ of others. To verify which tributaries of upstream area influence on PCS of midstream of GR,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of two stations including Mihocheon (MH) and Gapcheon (GC) were examined on 2014, and compared to result of on 2015. The results were shown that the MH station had more similar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ith midstream of GR than GC s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dynamics was studied at the investigated station. As results, whereas water temperature and total phosphorus were represented the positive correlation, N/P ratio was remarkably exhibited negative correlation.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CS of midstream of GR was more affected by MH station than GC station, and the changes of temperature,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N/P ratio may be important factors on the PCS formation of midstream of GR.

양양군과 포항 해역에 시설한 인공어초에서 진행된 해조천이와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lgal Succession and Community Structure on Artificial Reef at Yangyang-gun and Pohang-si, Korea)

  • 이현진;최창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1-85
    • /
    • 2019
  • 이 연구는 2016년 9월에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 석병2리에 설치한 인공어초를 대상으로 해조류 군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17년 2월, 5월, 8월, 11월에 계절별 1회씩 SCUBA Diving으로 수행하였으며,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홍조류 68종을 포함하여 총 94종이 채집되었으며, 양양에서 66종(녹조류 8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 포항에서 65종(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홍조류 49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다. 중요도를 기반으로 판단한 우점종의 경우, 양양은 다시마(Saccharina japonica)가 우점종,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가 준우점종이었으며 포항은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순으로 우점하였다. 두 해역 모두 어초 설치 초기에 각각 파래류, 불레기말이 착생한 후, 다시마, 감태, 우뭇가사리 등 다년생 해조가 생육하며 우점하여 기존의 천이 패턴과 유사하였다. 해조상 변화를 통해 군집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해조군락이 안정되기까지의 천이 과정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Epilithic Algal and Change of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Quality in the Seomjin River)

  • 이경보;김백호;이덕배;김재덕;최민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6-283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과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섬진강 수계 총 16지점을 선정하여 수질의 오염성분 및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조류의 분포,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진강 수계 농업용수 시기별 수질변화에서 7, 8월에 오염성분 함량이 낮았으며, $NO^-\;_3-N$는 영농시기인 6월에 그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수계별 수질변화에서는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구례 서시천, 남원 요천이 EC 함량이 높았고, $NO_3-N$ 함량은 남원 요천에서 높았다. 섬진강 수계 주요 음이온의 당량합은 $Cl^->SO_4\;^{2-}>NO_3\;^->PO_4\;^{3-}$순 이었으며 양이온의 당량합은 $Ca^{2-}>Na^->Mg^{2-}>K^+>NH_4\;^-$순 이었다. 섬진강 부착 조류중 동정 분류된 부착조류는 총 6강 15목 9아목 33과 13아과 90속 290종 42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였으며, 녹조 171종류, 규조 106종류, 남조 46종류, 유글레나 10종류, 쌍편모조 4종류, 황색편모조 2종류 순이었다. 계절별 조사에서 여름조사에는 219종류로 출현중의 64.6%를 차지하였으나, 겨울은 147종류로 43.4%로 가장 낮은 출현을 보였고, 조사기간동안 산정된 부착조류 현존량은 총 $12,240{\times}10^4\;cells{\cdot}L^{-1}$(총 현존량의 20.6%)로 최저치를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봄에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smarium furcatospermum, Melsira granulata 등, 여름에는 Cyclotella meneghinana, Synedra ulna, Scenedesmus ecornis 등, 가을에는 Melsira granulata, Achnanthes minutissma, 겨울에는 Gomphonema parvulum,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Melsira varians 등이 높은 출현을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전체적으로 0.10 - 0.43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점 2, 4, 8, 9 등에 비교적 낮은 우점도지수를 보였고, 지점 5, 6, 15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울진군 대형산불 발생 인근 마을어장의 해조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Communities in Village Fishing Grounds Near Large Wildfires in Uljin-gun)

  • 심정희;최희찬;정해근;갈종구;심정민;홍성익;권철휘;김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7-9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울진군 대형산불 발생이 연안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울진군 나곡(F-1), 후정(F-2), 봉평(F-3), 공세항(F-C)에서 수질과 함께 해조류의 종조성, 우점종 및 군집 특성을 분기별로 조사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 산불에 대한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수소이온농도(pH)는 표·저층에서 각각 8.07~8.30과 8.12~8.48 이었다. 본 연구의 pH 값은 동해의 연안 해수에 있는 일반적인 농도 범위에 포함된 값으로 산불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볼 수 없었다. 연안 조하대에서 조사한 해조류의 분석 결과, 전 시기에 대한 해조류의 종조성 비율은 홍조류(58.1%) > 대롱편모조류(갈조류, 25.8%) > 녹조류(14.5%) > 현화식물(1.6%) 순이었다. 시기별 해조류의 우점종은 3월과 6월에 나곡(F-1)과 후정(F-2) 해역에서 대롱편모조류(Ochrophyta, 갈조류)의 미역(Undaria pinnatifida)이 가장 우점하였다. 9월과 11월은 봉평(F-3) 해역과 공세항(F-C)에서 각각 홍조류(Rhodophyta)인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와 혹돌잎류(Lithophyllum sp.)가 가장 우점하였다. 군집분석에서는 그룹이 계절에 따른 특정 해조류의 출현 유무에 따라 2개(A, B)로 나누어졌다. 우점종은 그룹 A에서 미역, 우뭇가사리, 미끈뼈대그물말, 그룹 B는 주로 혹돌잎류가 출현하였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해조류 종조성과 군집구조는 전형적인 수온에 따른 계절변화와 함께 대조구와의 유의미한 차이도 보이지 않아서 산불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농업용저수지 유역환경특성에 따른 수질경향 분석 (Water Quality Trend Analysis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e Reservoirs)

  • 김호섭;최은미;김동우;공동수;김경만;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214-2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포하고 있는 490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유역특성과 수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였고, TSI편차분석을 통해 유형을 구분하여 영양염 측면에서의 각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저수지에서 수심이 얕을수록 부영양화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역 내 논과 밭의 이용면적이 30%이상인 경우 수체 내 TP농도는 평균 0.1 mg $L^{-1}$ 이상이었다. TN 농도는 유역전체면적 중 논의 면적이 25% 이상인 경우에 평균 2.6 mg $L^{-1}$이상의 분포를 나타냈다. TSI편차를 통해 구분된 형태 중 TYPE III에 해당하는 저수지의 수질항목별 평균 농도는 다른 두 형태에 포함된 저수지에서 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었다. TYPE III에 포함된 저수지는 다른 두 유형에 포함된 저수지와 비교해 부영양상태이고, 수심이 얕으며, 수표면적에 대한 유역면적비 (DA/RA)가 작고, 논과 밭으로의 이용면적이 넓었다. TYPE I과 II에 포함된 저수지의 수질은 TYPE II에서 BOD와 엽록소 ${\alpha}$농도가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수준이었고, 형태학적 특성(평균수심, DA/RA)이나 토지이용형태 또한 유사하였다. TYPE I에 포함된 저수지들에서는 인이 조류성장에 대한 일차적인 제한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모든 대상저수지에서 인의 제한가능성이 나타났으며, 토지이용형태, 특히 유역 내 논과 밭으로의 이용면적은 저수지의 수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