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ert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A Deep Learning Model for Disaster Alerts Classification

  • Park, Soonwook;Jun, Hyeyoon;Kim, Yoonsoo;Lee, Soo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9
    • /
    • 2021
  • 재난문자는 재난 발생 시 국가에서 해당 지역에 있는 시민들에게 보내는 문자 메시지다. 재난문자의 발송 건수는 점점 증가하여, 불필요한 재난문자가 많이 수신됨에 따라 재난문자를 차단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난문자를 재난 유형별로 자동으로 분류하고 수신자에 따라 필요한 재난의 재난문자만 수신하게 하는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재난문자를 KoBERT를 통해 임베딩하고, LSTM을 통해 재난 유형별로 분류한다. [명사], [명사 + 형용사 + 동사], [모든 품사]의 3가지 품사 조합과 제안 모델, 키워드 분류, Word2Vec + 1D-CNN 및 KoBERT + FFNN의 4종류 분류 모델을 활용하여 재난문자를 분류한 결과, 제안 모델이 0.988954의 정확도로 가장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다.

병용금기, 연령금기 경고 등급화 방안과 DUR 처방변경률 분석 (Tiering 'Drug Combinations to Avoid' and 'Drug-age Precaution' DUR Alerts by Severity Level and its Application)

  • 이수옥;제남경;김동숙;천방옥;황인옥
    • 약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278-283
    • /
    • 2015
  • The computerized p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DUR) program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alerts to physicians and pharmacists since December 2010.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d apply the tiering system in "drug combinations to avoid (DCA)" and "age-precaution" alerts based on severity to improve the compliance of users. To propose the severity and clinical importance of 647 DCA alerts and 140 age precautions, a Delphi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An expert panel comprising 5 clinical pharmacists and 5 physicians were participated in mail surveys. Based on the results of Delphi survey, DCA pair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group 1 (70.6%), 2 (26.9%), and 3 (2.8%). Drug-age precaution ingredients were also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1 (53.6%), group 2 (40.7%), and group 3 (5.7%). When this grouping was applied to claim data from 2011 to 2013, the majority of alerts had occurred in the groups of high severity. Presenting DUR alerts with severity level is expected to improve the compliance of clinicians. The implementation of tiering system in DUR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재난문자의 문제적 빈도 유형이 조절기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blematic Frequency Types of the Korean Public Alert Service (KPAS) on Adjustment Expectation)

  • 이현지;변윤관;장석진;최성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799-808
    • /
    • 2021
  • 재난문자의 빈도가 재난문자의 차단 행위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난문자의 빈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난문자의 문제적 빈도 유형이 재난문자 조절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제적 빈도 유형으로 일상성 빈도, 타 지역 빈도, 유사성 빈도를 선정하였다. 리서치 회사를 통해 총 1,2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재난문자 조절기대에 일상성 빈도, 타 지역 빈도, 유사성 빈도가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변인의 고유기여도는 유사성 빈도, 타 지역 빈도, 일상성 빈도 순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재난문자의 빈도를 개선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취약점 점검을 활용한 보안이벤트 검증 방법의 실증적 효과분석 (A Practical Effectiveness Analysis on Alert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Vulnerability Inspection)

  • 천성택;이윤수;김석훈;김규일;서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9-49
    • /
    • 2014
  •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위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해킹 기술 또한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 IDS)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실시간 탐지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대부분의 기관에서 구축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IDS가 탐지하는 보안이벤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들 대부분이 오탐(정상 통신을 공격으로 잘못 탐지)이기 때문에 모든 보안이벤트를 관제요원이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IDS가 탐지한 대용량 보안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실제 해킹공격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호대상 정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결과와 대용량 보안이벤트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실제 해킹공격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보안업무 현장에서 수집된 보안이벤트 정보와 취약점 점검결과를 활용하여 제안 방법론의 유효성을 도출하기 위한 실증적 실험을 수행한다.

침입탐지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결정트리 기반 오경보 분류 (Classification of False Alarms based on the Decision Tre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s)

  • 신문선;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6호
    • /
    • pp.473-482
    • /
    • 2007
  • 네트워크 기반의 침입탐지시스템에서는 수집된 패킷데이타의 분석을 통해 침입인지 정상행위 인지를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 시키며 이런 경보데이타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안관리자는 이러한 대량의 경보데이타들을 분석하고 통합 관리하여 네트워크 보안레벨을 진단하거나 시간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오경보의 비율이 너무 높아 경보 데이터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이나 고수준의 의미 분석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이나 분석의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타 마이닝의 분류 기법을 적용하여 오경보율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결정트리기반의 분류 기법을 오경보 분류 모델로 적용하여 오경보들 중 실제는 공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공격이라 판단된 오경보를 정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경보 데이타 분류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경보데이타 분류 모델은 오경보율을 최소화하므로 경보데이타의 분석 및 통합을 통해 경보메시지의 축약 및 침입탐지시스템의 탐지율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픽토그램 긴급알림 전달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Novel Disaster Pictogram Emergency Alert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 김용욱;김현철;조범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76-83
    • /
    • 2023
  • 연구목적: 지진, 호우, 태풍, 화재 등 긴급한 재난 알림 전달이 필요한 상황에서 청각장애인은 소리를 통한 알림을 인지할 수 없으며 문자를 통한 알림의 인지율도 비장애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서 일반적인 수단의 재난알림을 신속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청각장애인의 재난안전 긴급알림 인지의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픽토그램을 통한 재난안전 긴급알림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재난문자 통보문의 문구를 기반으로 청각장애인이 인지하기 보다 용 이한 일련의 픽토그램을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위해 재난안전 관련 긴급 통보문과 관련되는 픽토그램 기반의 알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자동변환에 적합한 인공신경망 구조와 훈련방법을 구성하여 재난문자에 대응되는 픽토그램 기반의 청각장애인 재난안전 긴급알림 시스템 구성이 제안되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인 뿐만아니라 일반인 또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픽토그램이 신속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취약계층의 취약성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를 이용한 풍랑특보의 적절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High Wind Wave Alert by Comparing the Mar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uoy Data)

  • 강민균;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17
    • /
    • 2022
  • 풍랑특보는 우리나라 부근을 항행하는 선박 및 해상 업무 종사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11년(2010-2020년) 동안 기상청에서 발표한 서해·남해·동해의 앞바다 및 먼바다의 풍랑특보와 주요 해양기상부이의 관측자료를 비교·분석하여 풍랑특보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각 해역에 대한 풍랑특보와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를 일별, 월별, 연별로 통계를 내어 연평균, 월평균, 계절별로 비교한 결과, 풍랑특보의 적중률이 전 해역에 걸쳐 매우 낮았으며, 특히 남해 앞바다와 제주도 앞바다의 적중률은 겨울에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상에서의 풍랑특보가 어선의 어업활동, 여객선 운항 및 관광, 해상 레저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해양기상 예·특보의 정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코로나 19 하에서 재난문자 내의 정보유형 및 특성: 서울특별시 재난문자를 중심으로 (Inform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within the Wireless Emergency Alert in COVID-19: Focusing on Wireless Emergency Alerts in Seoul)

  • 윤성욱;남기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1호
    • /
    • pp.45-68
    • /
    • 2022
  • 대한민국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는 코로나 19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팬데믹 상황에서 재난상황 극복을 위해 재난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재난문자를 통해 제공하였다. 재난문자는 국민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재난정보 전달수단으로서, 휴대폰에 직접 방송하는 CBS(Cell Broadcast Service)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직접 찾아보는 수고스러움 없이 휴대폰을 통해 쉽게 정보를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년 1개월간(2020년 1월~2021년 1월) 서울특별시에 발송된 재난문자의 특성을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방법론 등을 통해 도출하고 재난문자에 포함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국민들의 이동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서울특별시 지역구의 연령별 유동인구의 이동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각 문자에 포함된 주요 단어와 포함된 정보를 분류하는 과정을 거치고 포함된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문서 군집 분석 기법을 적용해 개별 발송 문자를 분석 단위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추출한 재난문자의 특성이 지역별, 연령별 인구이동성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였다. 구조화된 모형을 활용하여 재난정보가 인구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본효과, 누적효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지자체가 보유한 재난문자 발송권한으로 인해 재난문자 발송 특성은 지자체별로 상이함을 계량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이동성에 변화를 유발하는 정보유형은 연령별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날짜와 순서에 관련된 정보는 60-70대의 인구이동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정보는 20대의 이동성을 감소시켰고, 증상과 관련된 정보는 30대의 인구이동성을 감소시켰다. 한편, 방역 정책 준수를 당부하는 의미를 포함하는 규범적 단어 등은 전 연령의 인구이동성에 유의미한 변화를 불러일으키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재난대응에 도움이 되는 유의미한 정보들만 재난문자에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한편, 인구이동성에 유의미한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정보유형 또한 재난문자가 반복됨에 따라 효과가 상쇄함을 음의 누적효과 추정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NFC 기반 GCM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 상황 알림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ehicle Status Alerts System for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Protection using the NFC-based GCM Service)

  • 강현민;최현수;차경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7-324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message transfer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wi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and GCM(Goolge Cloud Messaging) technology for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implementing for the proposed system, we design a NFC-based vehicle status alerts service which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smartpone message without phone-number between a car driver and an unspecified person. The application provides message communication mechanism without exposing the real phone number, using the NFC tag written with the driver's smartphone device ID and GCM push messages.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actual implemented application, the proposed system can be efficient technology in protection fo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phone- number in daily life.

Transient Alert Message Processing System for the LSST era

  • Shin, Min-Su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71.2-71.2
    • /
    • 2019
  • We have developed and tested a prototype system to process transient alert messages from the currently working facilities such as Gaia and GCN notices. Our experiments with the prototype focus on developing a platform that can be used in the LSST era with about 10 million alerts per night and helping Korean community members with the automated processing environment to provide auxiliary information for every alert message. The system consists of a message broker implemented by Redis and multiple message subscribers specialized for specific scientific interests.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entire system allows new Korean members to adopt their own processing chains receiving the messages from our local broker. We welcome experimental ideas and opinions from the Korean community about the current message processing system. We plan to test the current system with the ZTF alerts in the near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