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way patenc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의 특징 및 호흡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 (Cephalometric Character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Respiratory Disturbance Indices in Snorer and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최재갑;최정미;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4호
    • /
    • pp.369-376
    • /
    • 2001
  •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norers and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to se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ices (RDI). Materials and Methods : Twelve snoring patients, 11 patients with OSA, and 10 normal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fter taking a screening sleep study for a night to obtain RDI, $SaO_2$, and snoring index, a detailed cephal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SNA, SNB, SN-MP, IAS, MAS, SPAS, SAAS, Mn-H, and PNS-P. All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For a group including 12 snoring patients and 11 OSA patient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and each item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Results : The mandible and the maxilla are retropositioned. The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airway is reduced in area and is a factor that could produce or enhance OSA symptoms. The hyoid bone is displaced inferiorly. The soft palate is significantly elongated.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cephalometric evaluation could be useful to evaluate snoring and OSA patients, and to assist with the planning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upper airway patency.

  • PDF

영아의 수면 특성 (Sleep Characteristics in Infants)

  • 이선경
    • 수면정신생리
    • /
    • 제27권2호
    • /
    • pp.33-40
    • /
    • 2020
  • An infant's sleep varies considerably from that of adults in terms of structure, amount, and breathing pattern. After birth, sleep become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day and night. Nighttime sleep gradually increases with the maturation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is gradually consolidated. Electroencephalography characteristics change with age, from early and dominant active (REM) sleep in newborns to increasing NREM sleep. Similar to other elements of growth,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ribcage gradually increase in size with age, and respiratory control also improves. With these changes, sleep patterns also change. At this time that various sleep disorders may appear. Improved understanding of age-dependent changes in infant sleep can help determine the etiology and facilitate diagnosis of infant sleep diseases.

기관 또는 기관지 협착을 가진 소아에서의 스텐트 적용 (Airway Expandible Metallic Stent Implantation in Children with Tracheal or Bronchial Stenosis)

  • 장주영;김효빈;이소연;김자형;박성종;신지훈;홍수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512-517
    • /
    • 2005
  • 목 적 : 성인에서는 기관연화증이나 악성종양에 의한 기도폐쇄시에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풍선확장술과 스텐트 적용이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으나, 소아에서는 그 예가 적으며 최근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 스텐트를 적용한 몇몇 보고가 있었다. 저자들은 기관 또는 기관지 협착을 가진 소아에게 스텐트를 적용한 6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스텐트를 적용한 소아 6명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대상 환아의 연령과 진단명, 시술 후 호흡기 증상의 호전 여부와 스텐트 종류와 위치, 추적관찰 중에 발생한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스텐트 삽입을 시행한 환아의 중간연령은 21개월이었으며 3명은 인공환기요법을 시행하고 있었고 1명은 기관내 삽관술만 시행하였다. 진단명은 선천성 기관협착 1례, 선천성 기관협착과 동반한 기관지 연화증 1례, 기관지 칼시노이드로 우상엽 절제술을 시행한 이후에 생긴 기관지내 육아조직 형성 1례, 기관지 결핵으로 인한 기관지내 육아조직 형성 1례, 종격동의 미분화육종으로 인한 기도압박 1례, 장기간의 기관내 삽관 이후 발생한 육아조직에 의한 기관지협착이 1례였다. 스텐트를 삽입한 위치는 기관이 3례, 좌측 주기관지가 2례, 우측 기관지가 1례였고 스텐트는 Nitinol 스텐트였다. 스텐트 적용 이후 모든 예에서 호흡기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1례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중단할 수 있었고 1례에서 기관내 삽관을 제거하였다. 중간 추적 기간은 21개월이었고 2례는 기저질환에 의해 사망하였으며 4례는 스텐트 제거 이후에 특별한 호흡기 증상없이 잘 지내고 있다. 추적관찰 기간이 2개월 이하이었던 2례를 제외하고 모든 예에서 육아조직이 형성되는 합병증이 있었고 1례는 반복적인 폐렴으로 스텐트를 제거하였다. 결 론 : 기관 또는 기관지 협착을 가진 소아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또는 선천성 기관협착 환아에서 수술 전에 풍선확장술과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스텐트 삽입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겠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외과적 치료: 최신 경향 (Surgical Management of Obsructive Slepp Apnea Syndrom: latest tendency)

  • 송승일;이호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10호
    • /
    • pp.602-614
    • /
    • 2014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환자의 외과적 치료(surgical treatment)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고 수술 방법의 선택시 여러 인자들을 고려해서 선택해야 한다. 즉, 수술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S)을 조절하는데 있어 보존적 치료 (non-surgical treatment)의 좋은 대체 방안(alternative chance)이 될 수 있기에, 증상(OSAS)의 주관적(subjective), 객관적(objective), 심각성(severity)을 해부학적 이상(anatomic abnormality) 정도와 연관시켜 적절한 수술법(surgical procedure)을 선택해야 한다. 수술 방법은 한가지 방법을 사용(single-level)하는지, 여러 수술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multi-level)하는지에 따라 다양하며, 그 예후도 각각 다르다. 중요한 점은 다단계 폐색(multilevel obstruction)이 있는 경우에는 다단계 치료(multilevel treatment) 방법이 가장 추천된다는 것이며, 이는 단지 증상(OSAS)의 심각성(severity)을 기준으로만 평가해서는 안되며 경도나 중등도(mild to moderate)의 환자에서도 필요시 보존적 치료(non-surgical treatment)를 시행하기 전에 다단계 외과적 치료(multilevel surgical treatment) 방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비록 다단계 치료(multilevel treatment)방법은 상대적으로 짧은 임상 기간을 거쳤지만,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 결과(evidence-based data)를 이어간다면, 개개 환자에 맞는 최적의 치료 방법(optimal surgical intervention)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호흡곤란 환자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 양진주;장금성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1-50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Methods: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hrough reviews of medical records and literatures, checklists of emergency nursing care for dyspneic patients, interviews with nurses, and experts' validity. Results: Firstly, the initial assessment confirmed the identification of airway patency, accessory muscle usage, RR, $SpO_2$, v/s, skin color, and mental status. Immediate emergency care provided oxygen, checked ABG, EKG, and chest X-ray, established a semi-fowler position, maintained IV routes, administered medication orders, and conducted careful monitoring. Secondly, if the patient exhibited $SpO_2$ of less than 90%, the nurse considered the patient's condition to be aggravated. Thirdly, if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of more than 90% $SpO_2$, the nurse administered secondary assessment and carried out specific nursing care. However, if the patient continuously showed $SpO_2$ of less than 80%, the nurse assisted the intubation and then executed ventilator therap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lgorithm is an effective decision tool and utilizing the algorithm is expected to improve the emergency nursing care for dyspneic patients.

  • PDF

성인에서 발생한 다발성 기관 유두종증에 대한 경직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치험 1 예 (Rigid Bronchoscopic Treatment for an Adult Case of Multiple Squamous Papillomatosis in the Trachea)

  • 정복현;임재민;김미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86
    • /
    • 2009
  • A 57 year old human immune virus(HIV)-positive male presented with a progressive dyspnea for 6 months. Chest CT showed multiple polypoid masses arising from upper tracheal wall. Bronchoscopic examination revealed that multiple large cauliflower-like polypoid tumors was obstructing tracheal lumen. They were diagnosed as multiple squamous papillomas and were removed by Nd:YAG laser photocoagulation and rigid bronchoscopic treatment. The tumors were histologically diagnosed as squamous papilloma infected with human papilloma virus(HPV) type 6 and 11 in in-situ hybridization. Rigid bronchoscopy might be safer and more efficient than flexible bronchoscopy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tracheal papillomatosis obstructing tracheal lumen because of easy establishment of airway patency and direct use of rigid bronchoscope itself for tumor resection.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치과시술을 위한 정주진정 (Intravenous Sedation for Dental Procedure)

  • 김철홍;윤지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7호
    • /
    • pp.398-404
    • /
    • 2013
  • Apprehension and phobia regarding dental procedures are represent the most common deterrents in patients seeking dental care and very common. For these individuals, and others who cannot cooperate during care, procedural sedation may permit completion of intraoral procedures. In most cases, the level of sedation may be kept at minimal to moderate levels permitting patient maintenance of their airway patency and ventilation. Unlike many medical procedures, the majority of dental procedures, no matter the depth of sedation, ar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complete analgesia provided by local anesthesia. Therefore, the goal of procedural sedation is to primarily suppress patient fear and apprehension and gain cooperation. Any issues regarding actual pain are usually limited to that produced by the local anesthetic injections or, rarely, the extent of the procedure. For the extremely phobic patient, however, allaying apprehension may be very challenging. Intravenous titration of sedative drugs is the most effective route of administration to achieve this goal but requires advanced training beyond that provided in undergraduate training.

환자 분류체계를 이용한 응급실 방문 환아에 대한 고찰 (Review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used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 문선영;김신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5-388
    • /
    • 200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help in explore new direction about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center of E University Hospital during 3 months period form March 1, to May 31, 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pediatric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class I(59.9%) topped followed by class II(23.9%), class III(14.1%), class IV(2.0%). Average score of pediatric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showed class I.00, class II .02, class III .05, class IV .07. and total mean score of items lowed averaged .01. 2. With the resepect to the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there were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iting time($x^2=27.839$, P=.023), experience of admission($x^2=11.365$, p=.010), disease classification($x^2=89.998$, p=.000), state of airway patency($x^2=18.781$, p=.000), consciousness level($x^2=59.774$, p=.000), period of symptom manifestation($x^2=34.112$, p=.000), pediatric patients protector's thinking about pediatric patients state($x^2=49.998$, p=.000), treatment outcome($x^2=72.278$, p=.000), duration of stay at emergency center($x^2=103.062$, p=.000).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 of pediatric patients and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r=.530, p=.000).

  • PDF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 지속적 양압 치료시의 최적압 및 그 도달기간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itration and Time to Reach Optima1 Pressure in Sleep Apnea Syndrome)

  • 이관호;이현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84-92
    • /
    • 1995
  • 연구배경: 수면무호흡증후군은 호흡정지로 인한 저산소혈증때문에 심 폐부전, 말초혈관 기능장애 혹은 중추신경질환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사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 현재까지는 지속적 기도양압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적양압을 구하기 위하여는 검사자나 환자의 시간과 노력 그리고 경제적 손실이 많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지속적 기도 양압 치료시의 최적양압에 도달하는 시간을 파악하여 전통적 수면다원화검사 및 양압처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경제적 손실을 줄여 보고자한다. 방법: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진단 및 치료적 수면다원화검사를 실시하며 최적 지속적 기도양압은 2Cm $H_2O$부터 시작하여 무호흡이 정상화되고 최저산소포화도가 향상될 때까지 증가시켜 최적압 도달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 분석하였다. 결과: 1) 지속적 기도양압 치료시 치료전보다 총수면시간, 효과적인 수면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REM 수면, REM 수면에 도달하는 시간, 무호흡지수, 무호흡 저호흡지수, 최저산소포화도는 의의있게 호전되었다. 2) 평균 최적 지속적 기도양압은 $7.7{\pm}2.9Cm\;H_2O$였고, 이 최적압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51.5{\pm}91.3$분이었다. 3) 대상환자들의 33%에서 최적압에 도달하는데 4시간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최적압 도달후 다시 압조정이 필요하였던 경우는 60(47%)예 였고, 나머지 67(53%)예에서는 더 이상의 압조정이 필요없이 처음의 최적압으로 효과가 있었다. 결론: 최적 지속적 기도양압치에 도달하는데 환자의 약 1/3에서 4시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보아 split night CPAP titration 방법은 수정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nap study시의 2~3시간은 적절한 CPAP titration을 하기에는 불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후두 삽관육아종 16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16 cases of intubation granuloma)

  • 김용신;김정은;차형근;장백암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6-76
    • /
    • 1993
  • 기관내 삽관은 전신마취 및 기도 확보를 위해 시행되어 왔으나, 이비인후과 영역의 합병증으로는 육아종 등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82년부터 1992년까지 만 10년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경험한 16례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분포는 20세에서 49세까지가 84% 로써 가장 많았으며 남녀 비는 1 : 7 로써 여성에서 호발 하였다. 2. 임상증상으로 애성 12례(75 %), 후두 이물감 3례(18 %), 호흡곤란 1례(6 %)이었다. 3. 발생 부위로는 양측성 6례(37 %), 일측성 10례(63 %)중 우측 7례(70 %), 좌측 3례(30 %)이었고 발생 장소는 피열연골 성대돌기 8례(50 %), 성대 후방1/3 부위 6례(37 %), 성대 중앙 부위 2례(12 %)이었다. 4. 과거력상 삽관후 임상 증상 발현 기간은 1 개월이내 7례(44 %)로 가장 많았으며 4 개월 이상은 없었다. 5. 과거력상 수술 종류 및 빈도수는 제왕절개술이 6례(37 %)로써 가장 많았다. 6. 평균삽관 시간은 2시간 5분 이었다. 7. 튜브재질은 모두 rubber tube 이었다. 8. 수술후 재발은 1례(6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