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way Conges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한·중 항로 복선화 전후 혼잡도 변화 연구 (A Study on Congestion Change of Dual Airways between Korea-China)

  • 조진호;백호종;장조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3
    • /
    • 2020
  • A significant growth in local air traffic volume is leading to airway congestion and flight delays especially for Incheon-China and Incheon-Europe sectors. A key method to increase the airway capacity is to place a supplemental airway parallel to the existing one and in cooperation between the aviation authorities between China and Korea, a dual airway track was implemented on December 6, 2018. Here, we use airline A's flight data to analyze the congestion change effect of the new airway. Results show total delay time to Europe is reduced 51% (13.4 to 6.6 minutes) as the delay distribution for 16-30 minutes, 31 minutes and greater decreased from 23.2% to 8.2% and 8.7% to 1.0% respectively. The delay to China also decreased but the drop is not as significant as flights to Europe. This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flight distance, traffic volume, and characteristics of flights landing and transiting China. Flights to Europe show a broad distribution in altitude allocation and reduction in aircraft separation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a dual airway track.

Multidisciplinary correction of anterior open bite relapse and upper airway obstruction

  • Gracco, Antonio;Perri, Alessandro;Siviero, Laura;Bonettid, Giulio Alessandri;Cocilovo, Francesco;Stellini, Edoard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7-56
    • /
    • 2015
  • A 27-year-old man presented an anterior open bite relapse. He had low tongue posture positioned anteriorly at rest and during swallowing and reported chronic difficulty in nose breathing. Hea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nasal septum deviation, right turbinate hypertrophy, and left maxillary sinus congestion, which were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breathing problem, encourage the improper tongue posture, and thereby cause the relapse.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volving an otorhinolaryngologist, an orthodontist, and a periodontist resolved the upper airway obstruction and corrected the malocclusion. The follow-up examination after 3 years 5 months demonstrated stable results.

코질환과 수면무호흡증 (Nasal Diseases and Its Impact on Sleep Apnea and Snoring)

  • 김창희;이재서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2004
  • Nasal conges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of medical complaints. Snoring is caused by vibration of the uvula and the soft palate. Nasal obstruction may contribute not only to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but also impair application of continuous nasal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which is the most widely employed treatment for OSA. Total or near-total nasal obstruction leads to mouth breathing and has been shown to cause increased airway resistance. However, the exact role of the nasal airway in the pathogenesis of OSA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role of nasal obstruction in snoring and sleep apnea. Some reports have failed to demonstrate any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nasal obstruction. On the other hand, opposing reports suggest that nasal disease may cause sleep disorders and that snoring can be improved after nasoseptal surgery. Reduced cross-sectional area causes increased nasal resistance and predisposes the patient to inspiratory collapse of the oropharynx, hypopharynx, or both. Discrete abnormalities of the nasal airway, such as septal deformities, nasal polyps, and choanal atresia and with certain mucosal conditions such as sinusitis, allergic rhinitis and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can cause snoring or OSA. Thus, these sources of nasal obstruction should be corrected medically or surgical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OSA and adjunctive for CPAP.

  • PDF

흡연이 비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oking on Nasal Resistance)

  • 오천환;김장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99
  • Background & Objectives : Nasal resistance which is halfly responsible for airway resistance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hypoxia, hypercapnia, exercise, pregnancy, alcohol, ammonia and smoking. Smoking is a common part of our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we have many a times been introduced to its various adverse effects, which have usually been more focused on lung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y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nasal resistance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 sites. Materials and Methods : Acoustic rhinometry was performed in 25 smokers and 25 nonsmokers who had no nasal symptoms nor abnormal rhinoscopic findings, and used an acoustic rhinometry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nose-piece to the C-notch, cross sectional area at the C-notch, and volume of the nasal cavity from nose-piece to 7cm. The authors compared the data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cross sectional area at the C-notch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in smoking group. The distance to the C-notch and the volume of nasal cavity were decreased likely in smoking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 : Smoking reduced the cross sectional area at the C-notch, so increased the nasal resistance. The underlying mechanisms seems to be decreased nasal mucosal reactivity and congestion of the nasal mucosa. The authors believe there should follow more studies on pathophysiologic mechanisms and the histopathologic changes which involve the effect of smoking on nasal structures.

  • PDF

국내 항행안전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형 정밀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의 구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Navigation Safety System: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 김영필;황경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21-23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행안전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현재 구축이 진행되고 있는 KASS를 중심으로 구축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식별하여 여기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KASS 구축 후 예상되는 국내 항행안전시스템의 개선효과를 분석하여 정리한다. KASS 구축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정서적인 측면, 기술적인 측면, 비용적인 측면, 운행 안전성 측면 등 네 가지 관점에서 존재한다. KASS가 구축되어 운영되면, 정밀접근 및 이착륙까지 항행안전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약, 항공로 혼잡 해소를 통한 결항 및 이·착륙 지연 감소, 항공기 수용 능력 확대, 탄소배출 저감, 미래 항공수요 대처 및 항공교통 안전성 향상, 항공사고 감소 등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향후 항공수요 증가로 인해 현재보다 더욱 극심한 경쟁 시대에 돌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하루라도 빨리 KASS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이 분야의 학술적인 연구에서 참조할 수 기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이 분야에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내용 중의 하나는 KASS 도입을 통한 항행안전시스템의 변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갑상선 호르몬이 잡견 폐장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yroid Hormone on the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the Canine Lung)

  • 김영태;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37-647
    • /
    • 1999
  • 배경: 여러 장기의 생체 내 혹은 생체 외 실험에서 삼요드티로닌(triiodothyronine; T3)이 장기의 허혈-재관류 손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삼요드티로닌을 투여하여 폐장 이식 초기 에 이식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폐장 허혈-재관류 손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폐 허혈-재관류 손상을 평가할 수 있는 동물 실험 모델을 통하여 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중 15~20 kg의 잡견 16마리를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눈 뒤, 대조군인 A군에는 식염 수를 정맥 주사하고 실험군인 B군에는 일측 폐 허혈 유발 전에 삼요드티로닌 $3.6\mu$g/kg을 정맥 주사하였으며 주사량 (ml)은 두 군에서 같게 하였다. 좌측 폐문부를 차단하여 좌측 폐 허혈을 100분간 유발시킨 후 재관류시켰고, 재관류 후 4시간 동안 우측 폐문부를 간헐적으로 차단하면서 좌측 폐의 가스 교환능, 혈역학적 변수, 호흡 역학적 변수를 측정하였다. 실 험 종료 후 폐 조직 일부를 생검하여 폐 조직 수분 함량, 지방 산화물(malonedialdehide; MDA)과 조직 내 ATP양을 측정하고, 광학 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동맥혈 산소 분압은 두 군에서 모두 재관류 30분에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재관류 30분에 A군은 $125\pm34$ mmHg, B군은 $252\pm44$ mmHg, 실험을 종료한 4시간에 A군은 $178\pm42$ mmHg, B군은 $330\pm37$ mmHg으로 전 과정을 통해 실험군인 B군에서 내내 높았다(p<0.05).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 폐혈관 저항, 기관내압 및 폐 탄성도 등 호흡 역학적 변수, 그리고 폐 조직 수분 함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직 내 MDA양은 A군$(0.53\pm0.05mu$M)에 비해 B군$(0.40\pm0.04\mu$M)에서 낮았다 (p<0.05). ATP양은 A군에서$0.48\pm0.07\mu$M/g, B군에서 $0.69\pm0.07\mu$M/g으로 B군에서 높았다(p<0.05). 폐 생검 조직의 광학 현미경 소견은 혈관 주위 호중구 침윤, 모세 혈관 출혈과 간질 내 울혈 등이 관찰되었고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삼요드티로닌이 폐장의 허혈-재관류 손상 후 산소 교환능을 개선시키고, 조직 내 지방 산화물의 생성을 줄이며 조직 ATP를 증가시킴으로써 이식폐 보존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삼요드티로닌을 포함한 폐보존액을 이용한 20시간 폐보존 - 새로운 폐 보존액의 개발 II - (Successful 20 hours Canine Allograft Preservation with new Solution Containing Triiodothyronine - Development of new lung preservation solution II -)

  • 성숙환;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13-421
    • /
    • 1999
  • 배경: 폐장의 허혈-재관류 손상은 폐이식에서 발생하는 조기 이식장기 실패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갑상선 호르몬의 활성형인 삼요드티로닌 (T3)이 심장을 비롯한 여러 장기의 허혈 손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3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효과가 폐장의 허혈 손상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덱스트란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포외액성 폐보존액에 T3를 추가한 새로운 폐보존액을 제조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마리의 황견을 6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제 1군에서는 새로 개발한 폐보존액을 사용하고, 제 2군에서는 유로콜린스 용액을 사용하여 폐를 적출 하였다. 적출한 폐장은 각각의 보존액에 담그어 섭씨 4도에서 20시간 보관한 후, 각 군에 6마리씩 총 12례의 좌측 폐이식을 시행하였다. 이식된 좌측폐만의 기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폐이식 후 재관류를 15분시킨 후에 우측 주폐동맥과 우측 주기관지를 결찰하고, 2시간 동안 혈역학적 변수와 가스분석을 시행하고, 측정이 종료된 후 바로 희생하여 폐조직 일부를 떼어내어 조직검사와 수분 함량 및 MDA양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동맥혈 산소분압은 제 1군에서 재관류 후 60분, 90분 120분에 각각 147$\pm$25 mmHg, 148$\pm$22 mmHg, 159$\pm$21 mmHg, 제 2군에서는 각각 133$\pm$26 mmHg, 132$\pm$29 mmHg, 135$\pm$30 mmHg로 제 1군에서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각 시간에서의 최대 흡기압은 제 1군에서 14.0$\pm$0.5 cmH2O, 14.2$\pm$0.6 cmH2O, 15.7$\pm$0.8 cmH2O, 제 2군에서는 17.8$\pm$2.0 cmH2O, 18.0$\pm$1.9 cmH2O, 19.3$\pm$2.7 cmH2O으로 제 1군에서 조금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은 제 1군에서 각 시간에 27.9$\pm$2.2 mmHg, 27.7$\pm$2.4 mmHg, 28.0$\pm$3.0 mmHg, 제 2군에서는 36.8$\pm$6.0 mmHg, 43.2$\pm$8.1 mmHg, 53.1$\pm$17.4 mmHg로 제 1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폐혈관 저항 및 조직 MDA양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 조직 수분 함량은 제 1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조직학 검사상 폐조직 손상의 정도도 제 1군에서 적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T3를 포함한 새로 개발한 폐보존액이 유로콜린스 용액과 비교하여 폐보존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T3가 폐이식시 폐장의 효과적 보존에 유용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