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breathing Engin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풍동시험에서 반응면을 이용한 내부 항력 및 벽면 효과의 효율적 보정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rrection of Internal Drag and Wall Interference Using Response Surface in Wind Tunnel Test)

  • 김준모;이영빈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37-643
    • /
    • 2019
  • Wind tunnel testing for flow-through model is necessary for performance prediction of an aircraft with air-breathing jet engine. Internal drag correction and wall correction are performed to acquire preciser wind tunnel test data. Many test runs are generally required to correct internal drag and wall interference in wind tunnel tes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ore effective correction schemes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 Even though the number of tests required for these schemes was much smaller than that for conventional methods, the differences between corrections using these schemes and conventional methods were similar level with the uncertainty of measurement except for the data near the boundaries.

흡열분해 모사연료의 층류화염 전파속도 측정 (Measurement of Laminar Burning Velocity of Endothermic Fuel Surrogates)

  • 진유인;이형주;한정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7-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항공유가 극초음속 비행체용 능동냉각시스템의 냉원으로 사용되면서 흡열분해된 후의 연소특성을 확인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흡열분해 모사연료에 대한 층류화염 전파속도를 측정하였다. 흡열분해 모사연료 2종(SF-1, 2)을 제조하고 분젠버너 시험장치를 제작하여 층류화염속도를 측정한 결과 기준연료(RF)와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높은 당량비에서 화염전파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SF-1이 SF-2 및 RF보다 훨씬 높은 당량비에서 최대 속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램제트/스크램제트의 기술동향과 소요기술 분석 I. 램제트 엔진(액체램제트, 덕티드로켓) (Technical Review and Analysis of Ramjet/Scramjet Technology I. Ramjet Engine (Liquid Ramjet, Ducted Rocket))

  • 성홍계;윤현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2-86
    • /
    • 2006
  • 램제트 추진기술에 대한 최근 개발동향과 필요 주요기술을 분석하였다. 통합 부스터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부스터의 총역적을 다양하게 조정하는 기술, 램제트 연소실의 길이는 최소화하면서 화염을 안정시키는 기술, 비행 운용범위를 다양하도록 하는 가변노즐 기술, 장시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열차폐 기술 등이 소개/분석되었다.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램제트 추진기술을 개발해왔으며, 원초적 기술은 어느 정도 성숙되었으며, 군사적 응용과 복합사이클을 사용하는 민수용으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한 발사 프랫폼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다용도 램제트 기술 개발을 위하여 최근에 여러 유도탄(미국의 JSSAM, 러시아의 Yakhont)들이 연구되었으며, 이는 기술 신뢰도 향상 및 개발경비 절감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로 도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운동학적 특징을 이용한 다기능 레이다 표적 분류 (Target Classification for Multi-Function Radar Using Kinematics Features)

  • 송준호;양은정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404-413
    • /
    • 2015
  • 대공 레이다에서 표적의 분류는 대 탄도탄 모드 수행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대 탄도탄 모드에서는 항공기와 탄도탄을 분류하여 각 표적에 따른 대응 방법을 결정한다. 표적 분류의 속도와 정확도는 적의 공격에 대한 대응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표적 분류 알고리즘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다는 표적 분류를 위해 JEM(Jet Engine Modulation) 및 HRR(High Range Resolution), ISAR(Inverse Synthetic Array Radar) 영상 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기법들은 표적 분류를 위한 별도의(광대역 등) 레이다 파형과 DB(Data Base) 및 분류 알고리즘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별도의 파형 없이 실제 다기능 레이다에서 적용 가능한 표적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특징 벡터로 추적 시 얻은 표적의 운동학적인 특징(kinematics features)을 이용하여 레이다 하드웨어 및 시간 관점에서 레이다 자원을 아끼고, 구현이 간단하여 빠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퍼지 논리(fuzzy logic)를 분류 알고리즘으로 사용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성을 높였다. 항공기의 실측 데이터와 탄도탄의 모의 신호를 사용하여 제안한 분류 알고리즘의 성능과 적합성을 증명하였다.

비점성 유동을 가정한 포 발사 램제트 추진탄 설계 (Design of Gun Launched Ramjet Propelled Artillery Shell with Inviscid Flow Assumption)

  • 강신재;박철;정우석;권태수;박주현;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60
    • /
    • 2015
  • 최근 군 전력 개편에 따라 1개 군단이 담당해야할 작전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155 mm 화포체계의 사거리 연장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80 km 이상 155 mm 화포 체계의 사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새로 운 시도가 필요하다. 램제트 기관은 공기흡입식 기관으로 고체 연료 로켓에 비해 몇 배 이상 높은 비추력을 제공할 수 있어 같은 연료 무게로 더 멀리 포탄을 투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램제트 기관을 포로 발사할 경우 포구 초속이 약 Mach 3 이므로 추가적인 부스터가 필요치 않다. 특히 고체 연료 램제트 (Solid Fuel Ram Jet, SFRJ)는 어떠한 구동기관이 없어 발사 시 높은 충격을 받는 포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155 mm 화포체계를 위한 포발사 램제트 추진탄을 설계하기 위해 비점성 유동을 가정하여 공기 흡입구, 연소실, 노즐을 설계하였다. 설계 변수를 변화시키며 80 km 이상 사거리를 가지며, 고폭탄 탑재 용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램젯 연소실 조건에서 점화보조제가 도포된 Fuel-rich 추진제의 점화 (Ignition of Fuel-rich Propellant Coated with Ignition Support Material in the Ramjet Combustor Condition)

  • 정우석;백승관;김영일;권태수;박주현;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9-88
    • /
    • 2017
  • 램젯 연소실 조건에서 점화보조제가 도포된 Fuel-rich 추진제의 점화 실험을 수행하여 점화 지연과 연소 유지를 확인하였다. 연료 그레인은 HTPB에 AP 파우더 15 wt.%, Al 파우더 5 wt.%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료 그레인에 $NC/BKNO_3$와 Composite 추진제로 이루어진 점화보조제를 도포하여 빠른 점화지연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에탄올 블렌딩 과산화수소 가스발생기를 통해 램젯 연소실의 공기와 가깝도록 온도, 압력, 산소 조성을 조절한 산화제 가스를 유속 $200kg/m^2s$으로 공급하였다. 실험 결과, 점화보조제가 잘 작동하여 연료그레인에서 0.6초의 점화 지연시간을 파악하였고 연소 중에는 화염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체연료 램젯용 HTPB 연료그레인에 첨가제와 점화보조제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ves and Ignition Support Material on HTPB Fuel Grains for Solid Fuel Ramjet)

  • 정우석;백승관;정연수;권태수;박주현;김인철;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57-967
    • /
    • 2017
  • 첨가제와 점화 보조제가 적용된 고체연료 램젯 용 연료 그레인의 연소시험을 수행하여 점화 지연과 연소 효율을 확인하였다. 연료 그레인은 HTPB에 AP 파우더 15 wt.% 보론 입자 5 wt.%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연료 그레인에 $NC/BKNO_3$와 Composite 추진제로 이루어진 점화보조제를 도포하여 우수한 점화성능을 확보하였다. 에탄올 블렌딩 과산화수소 가스발생기를 통해 램젯 연소실의 공기와 가깝도록 온도, 압력, 산소 조성을 조절한 산화제 가스를 유속 $200kg/m^2s$ 으로 흐르도록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점화보조제의 작동을 통해 연료그레인에서 0.5초의 점화 지연시간을 파악하였다. 또한 보론의 연소를 통해 8 bar의 일정한 연소실 압력과 0.86의 높은 연소 효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