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travel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7초

가스렌지와 창문위치에 따른 주방 배기성능 예측 (Prediction of the ventilation performance in a kitchen with various locations of gas range and window)

  • 김경환;이재헌;박명식;이대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5-82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predicted results by CFD technique of air flow and contaminant distribution in a full-scale kitchen opened to a living room, ventilated by a exhaust hoo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environment, the concept of contaminant index was defined. In this study, the locations of the gas range and the window were chosen as the parameters to investigate the indoor environment. The values of the contaminant index for several layout of the gas range and the window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hen the gas range is installed along the wall with specified window location, its position in relation to the wall has unnoticed effect on contaminant infer. Once the location of the gas range is fixed, the indoor air quality may deteriorate by the proximity of the window to the gas range. This is due to the shorter distance that external fresh air must travel within the kitchen before it reaches the exhaust fan.

  • PDF

ARIMA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제주도 인바운드 항공여객 증가율 예측 연구 - 제주지역 골프장 내장객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 (Estimating the Growth Rate of Inbound Air Travelers to Jeju with ARIMA Time-Series - Using Golf Course Visitor Data -)

  • 손건희;김기웅;신리현;이수미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2-98
    • /
    • 2023
  • This paper used the golf course visitors' data in Jeju region to forecast the growth of inbound air traveler to Jeju. This is because the golf course visitors were proven to bring the highest economic an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o the Jeju region. Based on such a data, this paper forecast the short-term growth rate of inbound air traveler using ARIMA to the Jeju until December 2025. According to ARIMA (0,1,0) (0,1,1) model, it was analyzed that the monthly number of golf course visitors to Jeju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even since COVID-19 pandemic and the number is expected to grow until the end of 2025. Applying the same parameters of ARIMA (0,1,0) (0,1,1) to inbound air travel data, it was found the growth rate of inbound air travelers would be higher than the growth rate of 2019 shortly without moderate variation even though the monthly number of inbound travelers to Jeju had been dropped during COVID-19 pandemic.

우주여행의 법적문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egal Issues in Space Tourism)

  • 김종복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5-239
    • /
    • 2011
  • 우주의 급속한 상업화와 더불어 본격적인 상업우주운송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 상업우주운송 중 가장 먼저 실현될 것으로 보이는 분야는 우주여행분야로서 이를 위한 우주운송체 개발이 Virgin Galatic 사와 XCOR Aerospace 사 등 민간기업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우주여행을 위한 우주운송체는 재 사용가능한 운송체(Resuable Launch Vehicle)로 개발되고 있으며 Virgin Galatic사의 Spaceship I과 II는 시험비행을 성공리에 끝내고 2012년 경 부터 본격적인 우주여행에 투입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도 예천천문연구센타에서 XCOR Aerospace사와 동사의 LYNX MARK-II를 도입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계획대로 라면 2013년부터 동 우주선을 사용하여 우주여행을 실시하려고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제는 우주여행은 우리에게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적인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우주여행을 위한 법적측면에서의 대비는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도 국내외적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우주여행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법적 문제점을 (1) 항공법과 우주법 중 어느 법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가 하는 적용법 문제와, (2)우주여행객의 법적지위 문제를 우주선원으로 볼 수 있는가와 우주비행참가자로 볼 수 있는가를 우주관련 조약과 미국의 개정 상업우주발사법을 통하여 살펴보고 우주여행객에 대한 우주선선장의 권한 문제도 살펴보았다. (3)우주여행사고시의 책임문제는 정부 및 비정부단체의 국제책임문제와 관련하여 살펴보고, (4)허가와 감독문제는 미국의 AST의 사례와 개정 상업우주발사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우주선의 안전성 보장 문제가 우주여행의 본격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점에서 현행 법제도상의 한계점과 개선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5)우주여행선의 등록문제도 우주물체 등록협약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6)마지막으로 우주여행 사업의 리스크 보전차원에서 우주보험 문제를 제3자 손해에 대한 보험과 자기재산에 대한 손해 순으로 보험문제를 살펴보았다. 우주여행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본 논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법적 문제점들에 대한 검토와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완 장치가 조속히 국내적으로도 국제적으로도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ULTRA-FINE PARTICLES AND GASEOUS VOLATILE ORGANIC COMPOUND EXPOSURES FROM THE REACTION OF OZONE AND CAR-AIR FRESHENER DURING METROPOLIS TRAVEL

  • Lamorena, Rheo B.;Park, Su-Mi;Bae, Gwi-Nam;Lee, Woo-Ji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72-80
    • /
    • 2007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missions from the car air freshener and to identify the formation of ultra-fine particles and secondary gaseous compounds during the ozone-initiated oxidations with emitted VOCs. The identified primary constituents emitted from the car air freshener in this study were $\alpha$-pinene, $\beta$-pinene, $\rho$-cymene and limonene. Formation of ultra-fine particles (4.4-160 nm) was observed when ozone was injected into the chamber containing emitted monoterpenes from the air freshener.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s, particle mass concentrations, and surfac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time dependent experiments to describe the particle formation and growth within the chamber. The irritating secondary gaseous products formed during the ozone-initiated reactions include formaldehyde, acetaldehyde, acrolein, acetone, and propionaldehyde. Ozone concentration (50 and 100 ppb) and temperature (30 and $40^{\circ}C$) significantly affect the formation of particles and gaseous products during the ozone-initiated react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d an insight on the potential exposure of particles and irritating secondary products formed during the ozone-initiated reaction to passengers in confined spaces.

Revolution of nuclear energy efficiency, economic complexity, air transportation and industrial improvement on environmental footprint cost: A novel dynamic simulation approach

  • Ali, Shahid;Jiang, Junfeng;Hassan, Syed Tauseef;Shah, Ashfaq Ahmad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0호
    • /
    • pp.3682-3694
    • /
    • 2022
  • The expansion of a country's ecological footprint generates resources for economic development. China's import bill and carbon footprint can be reduced by investing in green transportation and energy technologies. A sustainable environment depends on the cessation of climate chang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nuclear energy efficiency, economic complexity, air transportation, and industrial improvement for reducing environmental footprint. Using data spanning the years 1983-2016, the dynamic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simulation method has demonstrated the short- and long-term variability in the impact of regressors on the ecological footprint.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economic complexity in China had been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country's ecological footprint. Moreover, the industrial improvement process is helpful for the ecological footprint in China. In the short term, air travel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ecological footprint, but this effect diminishes over time. Additionally, energy innovation is negative and substantial both in the short and long run, thus demonstrating its positive role in reducing the ecological footprint. Policy implications can be extracted from a wide range of issues, including economic complexity, industrial improvement, air transportation, energy innovation, and ecological impact to achieve sustainable goals.

국제항공운송협약상(國際船空運送協約上) 사고(事故)의 개념(槪念) (The Concept of "Accident" under the Warsaw System)

  • 최준선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85
    • /
    • 2005
  • 본고는 바르샤바 협약 제17조의 "사고"(accident)의 개념을 주로 미국의 판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국제항공운송 중에 어떤 "사건"(incident)이 있었고, 그로부터 손해가 발생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사고"(accident)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바르샤바 협약에 의한 손해배상이 불가능해지므로, 사고의 개념은 협약의 적용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근래 항공운송량의 증가와 항공운송체계의 변화에 따라, 항공기상 발생하는 사고의 유형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고, 이로써 협약 제17조의 의미와 범위에 대한 논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는 승객간의 분쟁이나 승객과 승무원간의 분쟁, 그리고 이와 유사한 소란 등이 사고의 개념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문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바르샤바협약 제17조의 사고의 개념에 관한 각국의 판례의 추이를 검토하여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근래의 새로운 현상인 승객간의 가해행위와 승객과 승무원간의 가해행위 등에 관하여 사고의 개념 적용여부를 살펴보았다. Saks 판결 이후 법원은 바르샤바 협약 제17조의 "사고"의 개념을 크게 확대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Saks 판결은 사고를 예측불가능하고 비정상적인 항공기의 운항으로 정의하였다. Tseng사건에서 법원이 제17조의 사고는 일상적인 검색의 경우까지 포함한다고 판시하여 사고 개념파악을 더 복잡하게 만들었다. Wallace 판결은 혼란을 가중시켰다. 법원은 절대적 책임을 승객간의 불법행위에까지도 적용하였다. Wallace 판결은 항공 운송인의 원인 제공 관련성의 문제를 왜곡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고 개념의 입법 의도나 바르샤바 협약의 제정목적을 일탈하여 항공 운송인의 책임을 가중시켰다. 본 판결은 항공운송인의 책임은 일반 운송 수단보다 훨씬 더 엄격한 책임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협약의 제정자들이 사고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음으로써 융통적인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은 것은 시대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제정자들의 협약 제정의도를 무시하여서는 안 된다. 몬트리올 협약에서 제시된 새로운 책임체제나 2단계책임체제는 "사고"의 개념에 변화를 가져온 것은 아니다. 어떤 승객이 다른 승객에게 불법행위를 가한 경우 항공 운송인이 원인을 제공하지 않은 이상 항공기의 운항과 관계가 없으며 바르샤바 협약상 항공운송인의 책임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항공기의 정상적인 운행 가운데 발생한 손해이거나 항공여행 고유의 위험이 아닌 경우 항공운송인의 책임은 배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몬트리올 협약에서와 같이 조약 문언의 개정 없이 사고의 개념을 협약의 목적에 맞게 해석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i) 사고 승객 내부 요인이 아니라 예측 불가능 한 외부적 요인이 발생하였는가 여부, (ii) 사건이 항공기의 비정상적 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하였는지 여부, (iii) 사건이 손해의 직접적인 원인인지 여부, (iv) 항공 운송 고유의 위험인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모든 사고가 반드시 항공운송 고유의 위험일 필요는 없지만, 항공운송 고유의 위험이 발생한 경우에는 조약상의 사고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승객간의 분쟁에 의한 사고는 협약상의 사고로 보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 PDF

여행 수용 파악 및 항공 노선 전략 연구 : 웹 크롤링 기반 분석 기법 (Study of Travel Demand and Air Route Strategy : Web Crawling-based Analysis Technology)

  • 조창현;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8-381
    • /
    • 2020
  • 항공/여행 상품은 타 산업보다 불확실성에 취약하며 시간의 절대적인 종속성으로 인해 정확한 수요 파악 및 예측을 하지 못할 경우 가치가 0으로 수렴한다. 이에 본 논문은 웹 크롤링을 기반으로 잠재여행 욕구를 파악하고, 향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항공 노선 및 취항지를 예측 및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항공마일리지의 법적 성격과 약관해석 (The Legal Nature and Problems of Air Mileage)

  • 김대규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3-199
    • /
    • 2010
  • 최근 수년간 항공 마일리지의 이용제한 문제가 여러 차례 사회적 이슈로 부각돼 왔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마일리지의 법적 성격에 대한 항공사와 소비자의 견해가 다르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항공사는 마일리지를 항공운송서비스나 제휴사의 재화 또는 서비스이용에 대한 보상으로 여긴다. 이와 달리 소비자는 굳이 다른 경쟁 항공사들을 포기하고 특정항공사를 계속 이용한 것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 또는 구매금액에 포함된 것으로 유상으로 취득한 채권적 청구권으로 생각한다. 이에 이 글은 항공사의 마일리지 이용약관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성 심사를 계기로 마일리지 회원계약의 유상성 및 마일리지의 법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항공운송업의 영업적 특성과 마일리지의 경쟁적 회계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마일리지는 일정한 대가관계에 기초하여 취득한 것으로서 마일리지 회원계약은 유상계약으로 판단된다. 기업회계기준이 마일리지를 선수 수익으로 인식하여 부채로 계상하도록 하고 점, 제휴마일리지 제도를 통하여 막대한 수익을 얻는 점 등을 고려할 때에 '마일리지회원계약'을 무상계약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으며, 판례나 조정례에서 살피는 것과 같이 마일리지 회원계약을 유상 쌍무계약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므로 소비자는 항공사에 대해 마일리지라는 조건부 채권을 가진 채권자이며, 반대로 마일리지 채무자에게는 마일리지 이용을 단순히 인용 허용하는 소극적 의무만이 아니라 마일리지 이용에 하자가 있을 경우에 이를 치유해야 할 적극적 의무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채무자가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에 채무자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배상책임을 부담하며, 조건부 법률행위에서 조건의 성취를 약관변경을 통해 제한하는 것은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약관조항인 동시에 계약상대방의 권리실현 조건의 성취를 방해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반신의행위(민법 제150조)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이러한 약관은 약관규제법 제6조 제2항 제1호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으로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되어 무효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 PDF

미시적 탄소배출량 및 대기확산 모형을 이용한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 질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Air Quality of Mobile Sources using Microscopic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

  • 양충헌;양인철;윤천주;성정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67-175
    • /
    • 2013
  •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pability of the combined model of traffic simulation, emission and air dispersion models on the impact analysis of air quality of mobile sources such as vehicles. METHODS :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brings about the increasing interest of the public environment. Many endeavors including the travel demand management, the application of the state-of-the-art ITS technologies, the promotion of eco-friendly vehicles have been tried in transportation area to reduce the modal emission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eco-friendly vehicles in the road network would be able to reduce the pipe-tail emissions tremendously. From this perspective, we have performed a study on the impact analysis of the popularization of the eco-friendly vehicle in the place of the fossil fuel energy powered vehicles on the surrounding air quality using the combined framework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emission and air dispersion model. RESULTS : The combined model successfully captured the effect of moving to the eco-friendly vehicles on the air qualit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ing usage of eco-friendly vehicles can improve the surrounding air quality tremendously and that the air dispersion model plays a crucial role in the investigation of the air quality change around the main corridor.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apability of the combined model showing the spatio-tempral change of emission concentration.

Threats of MANPADS and Its Counter-Measures

  • Choi, Jin-Ta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3호
    • /
    • pp.89-96
    • /
    • 2010
  •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ation industry provides a vital communication link which brings prosperity to many states in our modern age. This invaluable link has been threatened by terrorism. Airlines have been one of the most attractive targets in the eyes of terrorists for several reasons, including particularly the international and symbolic nature of aviation, and the potential of multigovernmental involvement which can inevitably generate wide publicity. Terrorist attacks against civil aviation have been committed since the earliest days of civil aviation history. The first attack against civil aircraft dates back to the early 1930s. Since then, aircraft hijacking and other forms of attack against air transport operation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to the safety of flying. In recent years, a new form of threats against civil aviation has appeared. 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s (MANPADS) in the hands of criminals, terrorists, and other non-state actors pose a serious potential threat to passenger air travel, the commercial aviation industry, and military aircraft around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attacks. In order to foste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n introduction of MANPADS and a brief history of attacks using MANPADS are presented. It also examines the level of threats, trends of attacks using MANPADS and the possible countermeasures to be take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