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pressurizatio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제연방식과 풍량에 따른 제연성능의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Smoke Control for Smoke Control Systems and Air Flowrate)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6-61
    • /
    • 2003
  • 제연방식과 풍량에 따른 실내에 유입된 연기의 제연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Fire Dynamics Simulator의 대와류모사를 사용하였다. 급기구와 배기구, 개구부가 있는 크기 2m X 2m X 2.4m의 실내에 급기방식과 배기방식, 급배기방식의 제연설비를 각각 가동했을 때 실내에 무작위로 분포한 입자의 감소율을 조사하였고, 급배기방식에서 풍량에 따른 입자의 감소율을 비교하였다. 세가지 제연방식 중 배기방식과 급배기방식은 제연성능에 차이가 없었으나, 개구부가 있는 경우에는 급기방식이 다른 두 제연방식에 비해 제연성능이 떨어졌다. 또 급배기방식에서 풍량이 감소하면 제연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대형 개구부가 많은 지하철역 등에는 급기방식 대신에 급배기방식 또는 배기방식의 제연설비를 사용해야하며, 신속하게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풍량을 높게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고층건물 샤프트의 수직구획이 연돌효과 및 급기가압 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Zoning at Shafts of Super-tall Buildings on the Stack Effect and Stairwell Pressurization)

  • 김범규;김학중;여용주;임채현;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92-98
    • /
    • 2012
  • 최근 개정된 초고층건물 특별법에서는 피난안전구역을 최소 30개층 마다 설정함과 동시에 계단실을 수직구획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앙코아 방식의 80층 초고층건물 계단실 수직구획이 연돌효과 및 계단실 급기가압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계단실 수직구획이 없는 경우 연돌효과로 인해 최대 차압 250 Pa 이상이 발생하였으며, 계단실만 수직구획한 경우에는 10 Pa 정도만 감소하였으나 계단실과 승강기의 승강로를 동시에 수직구획한 경우 최대차압이 약 125 Pa로 낮아져 연돌효과가 약 50 % 감소하였다. 또한, 계단실을 급기가압 할 경우 계단실온도가 실내온도와 외기온도 차이의 약 1/2일 때가 소요급기풍량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압제 토출시 온도강하율에 대한 연구 (Study on Temperature Drop Rate during Pressurant Discharge)

  • 정용갑;홍문근;권오성;김영목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6-121
    • /
    • 2006
  • 액체로켓 추진시스템에서 가압시스템은 발사체 추진제 탱크의 얼리지 공간에 제어된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다 가압시스템에서 고온 가스 열교환기를 적용하는 데는 가압제의 비용적을 증가시켜 전체 발사체 시스템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가압시스템 성능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개선점은 특히 극저온 시스템에서 얻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유체와 가압제로 공기와 $CN_2$를 각각 적용하였다. 가압제 토출 특성에 관한 수치 해석은 PTF에서 수행된 실험 결과와 비교되었다. 해석과 실험 결과의 오차는 약 ${\pm}15%$ 이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석적 접근을 사용하면 액체산소에 잠겨진 극저온 가압제의 온도강하율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승강로 가압 제연설비의 설계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Improvement for Smoke-Control System Us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Elevator Shaft)

  • 김일영;김경진;홍지환;권창희;유철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74-83
    • /
    • 2019
  • 승강로 가압방식은 미국에서 1972년에 시작된 방식으로 화재 시 피난 계단을 이용하기 곤란한 노약자등 피난 약자가 승강기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도록 개발한 방식이며 수직덕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공간 절약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국내 특허에 근거한 승강로 가압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풍량 계산 방법은 수직모델링을 제안하였다.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누설틈새는 실험데이터나 실측데이터를 통하여 재검토가 필요하다. 피난층을 구획하고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개구부를 화재신호에 자동폐쇄하고 릴리프 댐퍼를 설치하여 성능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방식은 자동차압댐퍼가 차압유지보다는 방연풍속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Contam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하였다.

액체로켓추진시스템의 가압제 탱크에서 가압제 토출시 온도강하율에 대한 연구 (I) (Investigation on Temperature Drop during Pressurant Discharging from Pressurant Tank of Liquid Rocket Propulsion System (I))

  • 정용갑;권오성;조남경;한상엽;조인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4-61
    • /
    • 2007
  • 액체로켓추진시스템에서 추진제 가압시스템은 추진제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의 얼리지 공간에 가압제인 가스를 제어된 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진제 가압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설계변수는 가압제를 저장하고 있는 탱크에서 토출되는 가압제의 온도이며, 기체상태인 가압제의 밀도는 토출되는 가압제의 온도에 따라 민감하게 변한다. 일반적으로 고추력을 요구하는 극저온 추진제가 적용되는 추진기관에서는 가압제를 고밀도 고압으로 저장하여 가압제 탱크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가압제 저장탱크를 극저온 추진제 탱크 내부에 설치하는 극저온 저장 가압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압제가 가압제 저장탱크에서 토출 될 때 강하되는 온도 변화를 실험 및 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유체는 외부유체로 공기와 액체산소 그리고 가압제로 $GN_2$와 GHe를 각각 사용하였다.

다가구 및 다세대 원룸주택의 기밀성능 실측연구 (The Measurement of Airtightness Performance of Multi-Family Housing)

  • 백남춘;한승현;이왕제;윤종호;신우철
    • KIEAE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117-121
    • /
    • 2014
  • Even though a study of airtightness performance of apartment and detached house have been done constantly, there are few of studies of multi-family housing which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irtightness performance of 20 households of one room in Daejeon to investigate airtightness performance standar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except sealing windows to investigate airtightness performance without sealing windows (natural condition) and airtightness performance with sealing windows of studio apartment. As results, (1) average ACH50 without sealing windows was 19.2/h for pressurization, and 12.8/h for depressurization and (2) average ACH50 with sealing windows was 16.0/h for pressurization, and 10.7/h for depressurization and ACH50 in both condition, ACH50 under pressurization was about 50% higher than that under depressurization. Throughout this experiment, we can figure out that about 16% of air infiltration rate is occurred in windows, and the other 84% is occurred in rest of places such as Junction structure, socket and ventilating opening.

MIDLOOP Code Analysis of a ROSA-IV/LSTF Experiment for the Loss of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Event During Mid- loop Operation

  • Han, Kee-Soo;Lee, Cheol-Sin;Park, Chul-Jin;Kim, Hee-Cheol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683-690
    • /
    • 1996
  • The MIDLOOP code has been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RES pressurization transients initiated from a loss-of-Residual Heat Removal System (RHRS) during mid-loop operation after reactor shutdown. It provides a fast running and realistic tool for studying parametrically the response of important plant parameters such as pressure, temperature, and level to various plant combinations of the primary side vent, makeup, and leakage procedures and the steam generator (SG) conditions. The code consists of ten nodes represent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sides of a nuclear power plant and can analyze the effect of air on the primary system pressurization and primary to secondary heat transfer.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IDLOOP code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OSA-IV/LSTF experiment without opening in the RCS.

  • PDF

Full Scale Testing of the Effect of Stairwell Pressurization on Pressure Differential and Flow Velocity

  • Son, Bong-Sae;Park, Kyung-Hwan;Chang, Young-Bae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83-89
    • /
    • 2011
  • 계단실을 직접 가압했을 경우에 계단실과 부속실 사이의 차압 및 부속실과 세대 사이의 차압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기 위해 실건물을 사용해 실험했다. 또한 열린문에서의 유속분포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건물은 지상 20층 지하 2층의 공동주택이다. 계단실을 가압하기 위해서 송풍기를 지하 1층에 설치하여 외부공기를 계단실로 공급했다. 13가지 경우에 대한 실험을 실시했으면 주 실험변수들은 문이 개방된 층의 숫자와 위치 및 송풍량이었다. 지상 1층 문들만이 열린 상태에서는 계단실과 부속실 사이의 차압 및 부속실과 세대 사이의 차압이, 1층 부근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었다. 실험결과 180~270 CMM에서 한 층이 개방되어도 화재안전기준의 방연풍속을 만족하였고, 계단실은 전체적으로 양압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최소차압 조건(10 Pa)을 항상 만족시키지는 못하였다. 두 층의 문들이 개방된 경우, 유량을 증가함으로써 최소유속조건은 만족시킬 수 있었으나 가압지점 인근에서 과압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최소차압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비현실적임을 발견했다.

항공기 내 실내공기질에 관한 고찰: 이동의 증가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블리드에어의 영향 (Indoor Air Quality in Aircraft: The Impact of Increased Mobility and Health Effects and the Influence of Bleed Air)

  • 함승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29-133
    • /
    • 2023
  • Background: With the rise in global mobility, aircraft indoor air quality has become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This study focuses on the health implications of increased travel and bleed air-air drawn from aircraft engines for cabin pressurization and air conditioning.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related to exposure to aircraft cabin air, particularly the effects of bleed air during fume events.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studies on aircraft cabin air quality. We focused on both the immediate and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cabin air,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bleed air contaminants. Results: The review found a possible link between exposure to aircraft cabin air and certain health issues, especially in cabin crew and frequent flyers. There was an increased incidence of respiratory and neurological symptoms related to bleed air exposure. However, the cumulative health effects of frequent air travel remain inconclusive due to limited data.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aircraft to protect public health. Whil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umulative effects of frequent air travel, the reduction of exposure to bleed air contaminants should be a priority. These findings underline the need for regulatory changes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s in aircraft cabin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