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ir Pollution Modeling

Search Result 1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odeling the Effects of Late Sea Breeze on High Ozone Phenomenon (해풍지연이 고농도오존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모의)

  • 오인보;김유근;황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27-428
    • /
    • 2003
  • 일반적으로 도시/국지규모의 기상조건은 오존의 광화학 생성과 고농도현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특히 연안 대도시의 경우, 대기오염물질의 축적과 수송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륙풍 순환과정이 오존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륙풍의 반전에 따른 오전의 약한 풍속은 오후 오존농도 상승에 기여하게 되며, 해풍유입은 오존 및 전구물질의 단거리 수송을 유발하여 풍하측 오존축적에 관여한다(Cheng, 2002; Liu et al, 2002). 아울러 해륙풍에 의한 오염물질의 재순환 과정 역시, 연안지역 오존오염 현상에 영향을 주게 된다. (중략)

  • PDF

Comparing Meteorological Fields and Their Impacts on Carbon Bond Mechanism-IV Modeling

  • Lee, Hwa-Woon;Lee, Soon-Hwan;Kim, Heon-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9-450
    • /
    • 2003
  • Performance of photochemical models and their response to emission controls are heavily dependent on the inputs to the model. Two key inputs to these models are accurate meteorological and emissions data. But they can contain significant errors which contribute to uncertainties in photochemical simulation (Kumar and Russell, 1996; Sistla et al., 1996; Pielke and Uliase, 1998; Barna and Lamb, 2000; Nelson L. Seaman, 2000: Hogrefe et al., 2001; Biswas et al., 2001).(omitted)

  • PDF

Photochemical Modeling for the Ozone Episode in Metropolitan Area (광화학모델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고농도 및 저농도 오존 사례 모사)

  • 이종범;장명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9-300
    • /
    • 2003
  • 지난해 수도권에서 월드컵경기가 진행되었던 2002년 6월 6일에 구리 수택동 지점에서 203ppb에 이르는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다. 이때의 기상상태는 바람이 약하고 일사량이 강하고 운량이 적는 둥 고농도 오존의 좋은 조건이었다. 반면 2002년 7월 27일은 6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상조건은 고농도 오존생성의 호조건이었으나 수도권 67개 지점의 오존 평균 농도가 30ppb이하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화학모델인 Models-3/CMAQ을 이용하여 이러한 2가지 오존 사례를 모사하고 특징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중략)

  • PDF

Review of air pollution modeling in Korea (국내 대기오염모델링의 현황과 과제)

  • 장영기;송동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1
    • /
    • pp.1-14
    • /
    • 1995
  • 우리 사회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공업화와 대도시 인구 집중을 겪어왔다. 공업화는 필연적으로 대기오염배출시설의 증가를 가져왔고 도시의 인구집중은 연료의 사용과 자동차의 증가를 가져와 이들 지역의 대기오염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대기오염배출시설을 관리하고 주변 지역의 영향을 분석하며 도시의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 후반부터 대기오염 모델들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활용은 외국에 비하여 늦게 시작되었지만 지난 15년간 대기오염모델은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고 연구도 점차 활발하여 지고 있다.

  • PDF

Prediction of Ozone Concentration in Suwon by Empirical Kinetic Modeling Approach (EKMA를 이용한 수원시의 장래 오존농도 예측)

  • 서정배;장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68-370
    • /
    • 1999
  • 고농도의 오존 농도를 예측ㆍ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의 기상조건과 풍상쪽(up wind)으로부터의 오존ㆍ오존전구물질(precursor)의 중ㆍ장거리이동, VOCs 및 NOx의 배경농도 및 배출량과 관련된 VOC/NOx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VOCs/NOx의 농도 특성에 따라 차후 고농도의 오존 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오존전구물질의 저감대책이 결정되어지므로 대상지역의 광화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중략)

  • PDF

Two-Layer Box Modeling for Identifying Major Factors Forcing High-Concentration Ozone in the Seoul Area (이층 상자모델을 이용한 서울지역 고농도 오존 발생의 주요 인자 연구)

  • 김영진;김영성;김진영;윤순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24-425
    • /
    • 1999
  • 오존은 대기 중에 있는 질소산화물 (NO$_{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이 강한 햇빛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이다. 오존의 농도는 오염물질의 배출과 기상조건, 그리고 대기 중 화학반응이 상호 연결되어 나타난다. 다양한 변수들이 오존 농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과정을 유기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화학 수치 모델들이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A Study of Validity of the Wind Field according to Wind Flow Modeling Methods and Spatial Resolutions (공간적 해상도 및 바람장 생성방법에 마른 바람장의 유효성 연구)

  • 김성태;구윤서;최상민;윤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5-106
    • /
    • 2002
  • 대기 중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대기의 흐름과 배출원의 특성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대기확산 모델의 기상자료는 단일 측정기상자료를 입력자료로 이용하고 있지만, 이런 방법은 모델링 영역 전체를 동시간대에서는 같은 풍향과 같은 풍속이라고 가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중략)

  • PDF

A Study of Odor Dispersion Modeling using ISCST3 (ISCST3를 이용한 악취 확산 모델링에 대한 연구)

  • 김용규;구윤서;김성태;송선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97-398
    • /
    • 2002
  • 대기분야에서는 악취관련 민원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 환경부에서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악취방지법을 제정한 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한 결과로 악취물질 측정 분석 방법이 정립되었고, 대규모 공단지역에서 악취배출원 및 배출량에 대한 자료가 축적된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국내에서는 배출된 악취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모델링 기법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연구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중략)

  • PDF

A Recently Improved Approach to Develop Effective Emission Inventory for Air Quality Planning in US (미국의 대기질 관리계획 수립 시 활용성 강화를 위한 배출량 목록 산정에 대한 최근 접근 방안)

  • Kim, Byeong-Uk;Kim, Hyun Cheol;Kim, Soon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34 no.2
    • /
    • pp.342-355
    • /
    • 2018
  • Emission inventory (EI) is often recognized as a foundational pillar for air quality planning. In this manuscript, we reviewed national emission inventory (NEI) development processes in United States(US) and made recommendations for South Korean emission inventory development for the future. First, we examined history of emission inventory development in US while focusing on what has been success and failure. We noticed that, in general, emission reductions led to air pollution abatement although efficacy of same degree of reduction may not result in similar air quality improvement. Second, we described conventional approaches of developing NEI and differences between NEI and EI for State Implementation Plan which is required for air quality management in US. Last, we analyzed how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counterpart agencies in states came up with a new plan for the next major regulatory modeling project. Based on our analysis, we conclude that early and steady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will lead to effective and efficient emission inventory development and, in turn, will result in successful air quality planning that is necessary for actual air quality improvement.

Assessing the Health Benefits of the Seoul Air Quality Management Plan Using BenMAP

  • Park, Jeong-Im;Bae, Hyun-Joo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32 no.6
    • /
    • pp.571-577
    • /
    • 2006
  • Health benefits from implementing air quality control measures were assessed using the Environmental Benefits Mapping and Analysis Program (BenMAP). BenMAP developed by US EPA is a GIS-based software tool that estimates the health impacts and associated economic values connected with changes in ambient air pollution. Once a set of BenMAP-required data was collected, the health benefits from implementing Seoul Air Quality Management Plan (SAQMP), an official AQ improvement plan for Seoul Metropolitan Area, was assessed using BenMAP. The PM10 concentrations assuming the SAQMP implemented successfully were predicted with the MM5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version 5)/CMAQ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 A PM 10 exposure related premature mortality function was adopted trom a well-known epidemiology study. Economic valuation functions driven from benefit transfer methods were utilized. Through the SAQMP, PM10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to be lowered by $15{\mu}g/m^3\;to\;75{\mu}g/m^3$ depending on air quality modeling grids. 5,569 premature deaths (95% CI $3,264{\sim}7,809$ deaths) could be avoid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economic value of the deaths avoided was estimated to $13.2 billion $(95%\;CI\;$890\;million{\sim}$28.2\;billion)$ using the benefit transfer value. BenMAP could be a useful tool for developing effective air quality improvement policy, enabling the policy makers to anticipate the effects of regulatory changes on people's health and the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