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Pollution Index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9초

수목착생지의류(樹木着生地衣類)를 이용한 울산지역(蔚山地域)의 대기환경평가(大氣環境評價) (Estimation of Air Pollution Using Epiphytic Lichens on Forest Trees around Ulsan Industrial Complex)

  • 추은영;김종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04-414
    • /
    • 1998
  • 대기오염이 심한 것으로 판단되는 울산지역의 석유화학공단과 온산공단을 중심으로 수목착생지의류를 이용한 대기환경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단 주변의 산림에서 지의류의 출현종수와 피도, 생육한계분포농도에 따른 분포특성과 대기청정도지수(IAP)를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지의류는 총 16종류였으며, 그중 Lepraria sp.(30.85%)과 Lecanora strobilina(26.18%), Parmelia austrosinensis(13.42%)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석유화학공단과 온산공단 주변 조사지점에서는 지의사막대(地衣砂漠帶)의 형성과 더불어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출현종수가 증가했다. 조사지점별 평균피도는 I-V계급으로 오염물질이 공단이 위치하는 해안가로부터 내륙으로 유입됨을 추측할 수 있으며,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평균피도계급도 증가하였다. $SO_2$ 농도에 대한 지의류의 종별 생육한계분포농도에 따른 분포특성을 Cladonia sp.과 Dirinaria applanata, Parmelia austrosinensis, Lepraia sp., Lecanora strobilina를 대상으로 살펴 본 결과, 오염에 대한 민감정도에 따라 분포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대기오염에 내성 종인 Lepraria sp.과 Lecanora strobilina는 I부터 V의 피도계급으로 가장 폭넓게 분포하였으며, 분포형태가 비슷한 Lecanora strobilina도 대기오염에 강한 종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대기청정도지수(IAP)는 0-64.3으로 6계급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별 IAP 등치선도는 피도 등치선도와 비슷한 형태로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IAP가 높아졌다. IAP와 지의류 출현종의 분포는 IAP가 5-10으로 낮은 부분에서는 대기에 저항성 종으로 알려진 Lepraria sp.과 Lecanora strobilina가 출현하고 있었으며, IAP 5-10 사이부터는 Parmelia austrosinensis와 Dirinaria applanata가 IAP 10이상부터 오염에 비교적 약한 종으로 말려진 Cladonia sp.를 비롯하여 Candelaria concolar와 Parmelia borreri 등이 출현하였고, 조사지점의 IAP와 지의류의 출현종수는 정의 상관관계 (r=0.9308)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Urea Addition on Soda Pulping of Oak Wood

  • Cho, Nam-Seok;Matsumoto, Yuji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285-290
    • /
    • 2006
  • As an alternative method to solve air pollution problem and difficulty of pulp bleaching of kraft pulping process, NaOH-Urea pulping was applied. The properties of NaOH-Urea pulp were compared to those of NaOH and kraft pulps. Addition of urea in low alkali charges retarded delignification rate compared to NaOH pulping. But, in high alkali application, delignifica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not from the addition of urea but from the high alkalinity. It was disclosed that urea did not participate on delignification reaction by the experiment using lignin model compound. Compared to paper strengths at the same level of sheet density, NaOH-Urea pulp gave as almost same breaking length and tensile index as those of kraft pulp. Especially tensile energy absorption and burst index were higher than those of kraft pulp.

  • PDF

백운산(白雲山) 서식(棲息) 지의류(地衣類)를 이용(利用)한 오존 민감성(敏感性) 지표종(地表種) 선발(選拔) (Investigation of Lichen Species as a Biomonitor of Atmospheric Ozone in 'Backwoon' Mountain, Korea)

  • 허재선;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65-76
    • /
    • 2000
  •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분포 지의류(地衣類)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foliose) 및 수지상(fructicose) 지의류(地衣類)의 종(種)과 피도(被度)를 조사하고, 오존에 대한 생체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운산에 서식하고 있는 지의류(地衣類)는 총 9과 20종 34속의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로 대기오염에 내성인 종(Lecanora sp.)부터 예민한 종(Ramalina sp.)까지 매우 다양한 지의류(地衣類)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주요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는 Leptogium sp., Parmelia sp., Parmotrema sp., Phaeophyscia sp., Cladonia sp. 등이었다. 백운산 분포 지의류(地衣類) 중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동정이 용이한 엽상체 지의류(地衣類) 3종(種)(P. tinctorum, P. austrosinense, Certrelia braunsiana)과 수지상 지의류(地衣類) 1종(種)(Ramaliana yasudae)을 0.2ppm에서 1일(日) 8시간씩 2주간 오존에 노출시킨 결과 오존에 노출된 지의류(地衣類)는 MDA와 HPCD가 증가하고 엽록소가 감소되었으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존에 대한 민감 정도는 P. austrosinense > P. ticctorum > C. braunsiana > R. yasudae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평균 배기 압력 구배 지수를 이용한 실화 검출 (The misfire detection using the mean exhaust pressure gradient index)

  • 정성원;심국상;김세웅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71-378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ct the misfired cylinder using a new misfire detection index. The new method of misfired cylinder is a comparison of pressure gradient during the blowdown period of exhaust stroke. If a misfire occurs, the engine will he lost some power and consumes the more fuel and the torque will be unsteady. Most of all, the misfire affects a bad influence of the 3-way catalyst and emits unburned hydrocarbon in the air. To prevent these unusual phenomena and eliminate the factor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important to detect the misfired cylinder. To do the experiment, set up the assist device on the manifold. This assist device is not deformed for conventional exhaust manifold and installed in the end of the exhaust manifol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using the mean gradient pressure index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the detection of misfired cylinder on gasoline engine regardless loads and revolutions of the engine.

  • PD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forestry 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Landsat TM data

  • Jo, Myung-Hee;Kim, Sung-Jae;Lee, Kwang-J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05-907
    • /
    • 2003
  •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at island effect and the vegetation in Deagu Korea was performed through using Landsat TM data. the island effect, presents high temperature on air like island, is connected with correlation between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n the air. In this study,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by detecting the change of urban forestry with remote sensing using the vegetation vitality statistics reference (ratio change of the Park greens in Daegu) the heat island effect not only brings the environment pollution but also brings serious problem such as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to city as a whole. Jeff Luvall has studied to restrain the heat island effect by making urban forestry. Even though Daegu had been the serious high temperature urban area the current temperature of Daegu has been dropp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at island effect and the vegetation index was analyzed by using satellite images.

  • PDF

복잡 지형의 대기질 예측을 위한 지상자료동화의 효용성에 관한 수치연구 (Numerical Study on Surface Data Assimilation for Estimation of Air Quality in Complex Terrain)

  • 이순환;김헌숙;이화운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3-537
    • /
    • 2004
  • In order to raise the accuracy of meteorological data,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about the usefulness of data assimilation to prediction of air pollution was carried out. Used data for data assimilation are surface meteorological components observed by Automatical Weather System with high spatial density. The usage of surface data assimilation gives changes of temperature and wind fields and the change caused by the influence of land-use on meterological simulation is more sensitive at night than noon. The data quality in assimilation it also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predict the meteorological field precisely and through the static IOA (Index of Agreement), simulated meteorological components with selected limited surface data assimilation are agree well with observations.

Predicting PM2.5 Concentration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Markov Chain, a Case Study Karaj City

  • Asadollahfardi, Gholamreza;Zangooei, Hossein;Aria, Shiva Homayo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0권2호
    • /
    • pp.67-79
    • /
    • 2016
  • The forecasting of air pollution is an important and popular topic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Due to health impacts caused by unacceptable particulate matter (PM) levels, it has become one of the greatest concerns in metropolitan cities like Karaj City in Iran.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PM_{2.5}$ was predicted by applying a multilayer percepteron (MLP) neural network, a radial basis function (RBF) neural network and a Markov chain model. Two months of hourly data including temperature, NO, $NO_2$, $NO_x$, CO, $SO_2$ and $PM_{10}$ were used as inputs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s. From 1,488 data, 1,300 of data was used to train the models and the rest of the data were applied to test the models. The results of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dicated that the models performed well in predicting $PM_{2.5}$ concentrations. The application of a Markov chain described the probable occurrences of unhealthy hours. The MLP neural network with two hidden layers including 19 neurons in the first layer and 16 neurons in the second layer provided the best result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Index of Agreement (IA) and Efficiency (E)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predicted data using an MLP neural network were 0.92, 0.93 and 0.981, respectively. In the MLP neural network, the MBE was 0.0546 which indicates the adequacy of the model. In the RBF neural network, increasing the number of neurons to 1,488 caused the RMSE to decline from 7.88 to 0.00 and caused $R^2$ to reach 0.93. In the Markov chain model the absolute error was 0.014 which indicated an acceptable accuracy and precision. We conclude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state duration and transition of $PM_{2.5}$ pollution is predictable using a Markov chain method.

대기오염 배출량 변화의 경제적 요인 분해 (An Economic Factor Analysis of Air Pollutants Emission Using Index Decomposition Methods)

  • 박대문;김기흥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4권1호
    • /
    • pp.167-199
    • /
    • 2005
  •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가 1991년부터 매년 조사, 발표하고 있는 "대기오염물질배출량"은 난방, 산업, 수송 및 발전의 4부문으로 분류되어 있어 자료의 활용가치가 매우 낮아 조사 통계 내용의 다양화 및 산업분류기준이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대기오염 대량배출산업은 석탄 석유(s7), 전력 가스(s17), 운송 보관(s20) 산업이다. 이들 산업에 대한 기존의 대기규제정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비효율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대기정책에서도 유념하여야 할 사항으로 여겨진다. 셋째, 시멘트 석회 석제(s10), 전력 가스(s17) 산업은 대량의 오염배출산업인 동시에 배출 유발효과도 상대적으로 가장 큰 산업이다. 넷째, 배출량 변화의 가장 큰 감소요인은 배출계수의 변화(${\Delta}f$)이며, 가장 큰 증가요인은 경제성장 효과(${\Delta}y$)였다. 생산 또는 투입기술의 변화(${\Delta}D$), 수요구조의 변화(${\Delta}u$)는 배출량 증감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그 영향은 미미하였다. 다섯째, 대기오염 총량관리제 도입, 고(高)오염산업의 차별관리 및 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위한 대기정책의 효율적 시행을 위해서는 산업별 배출량 기본자료의 산정 방법 개선 및 경제적 분석과 평가 기준의 활용, 확대가 필요하다. 여섯째, 1990년대 한국의 경제성장은 1960~1970년대와 같이 배리 코머너 가설에 상응한 오염지향적 경제성장은 아니었으나 산업 전체의 기술 및 수요구조가 환경친화적이라 할 수도 없었다. 이것은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정책이 오직 환경당국의 환경정책수단에만 의존했을 뿐이며 국가경제 전체의 산업구조나 친환경 생산기술의 발전 등 범정부적 차원의 환경정책이 병행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 PDF

Geographic Distribution and Epidemiology of Lung Cancer During 2011 in Zhejiang Province of China

  • Lin, Xia-Lu;Chen, Yan;Gong, Wei-Wei;Wu, Zhao-Fan;Zou, Bao-Bo;Zhao, Jin-Shun;Gu, Hua;Jiang, Jian-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299-5303
    • /
    • 2014
  • Background: To explore etiology for providing scientific clues for the prevention of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Data for lung cancer incidence and meteorological geographic factors from 25 counties in Zhejiang province of China during 2011 were studi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epidemiology of lung cancer. Results: 8,291 new cases (5,998 in males and 2,293 females) of lung cancer during 2011 in Zhejiang province were reported in the 25 studied counties. Reported and standardized incidence rates for lung cancer were 58.0 and 47.0 per 100,000 population,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increased with age. Geographic distribution analysis shows that the standardized incidence rates of lung cancer in northeastern Zhejiang province were higher than in the southwestern part, such as in Nanhu, Fuyang, Wuxing and Yuyao counties, where the rates were more than 50 per 100,000 population. In the southwestern Zhejiang province, for instance, in Yueqing, Xianju and Jiande counties, the standardized incidence rates of lung cancer were lower than 37 per 100,000 population. Spearman correlation tests showed that forest coverage rate, air quality index (AQI), and annual precipitation level are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Conclusions: Lung cancer in Zhejiang province shows obvious regional differences. High incidence appears associated with low forest coverage rate, poor air quality and low annual precipitation. Therefore, increasing the forest coverage rate and controlling air pollu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lung cancer prevention.

산성비 및 대기오염물질이 침엽수 잎에 미치는 피해의 조기판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arly Diagnosis of Injuries for Needles of Conifer by Acid Rain and Air Pollutants)

  • 이경재;송근준;김선희;이윤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52-269
    • /
    • 1994
  • 본 연구는 산성비 및 대기오염물질이 수도권지역의 침엽수 잎에 미치는 피해의 조기판단을 위해 피해도지수, 침엽접촉각, 엽내영양물질, 침엽내 wax, 토양의 화학적 성질 등의 항목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1990년 6월부터 1년 동안 하였고, 재료는 대기오염에 민감한 수종으로 알려진 독일가문비나무와 전나무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해도지수는 1990년 6월에는 무피해지(광릉, 양평), 경피해지(인천, 보라매공원, 서울여대, 안양, 양수리, 과천), 심피해지(남산, 서울시립대, 어린이대공원, 금곡릉)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1990년 12월에는 인천, 과천이 심피해지로 포함되는 등 시간이 경과할수록 피해가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침엽의 접촉각에서도 1990년 6월보다 1990년 12월의 값이 감소하였으며, 두수종 모두 1년생잎에서 2, 3년생잎으로 갈수록 접촉각이 낮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어린묘목일수록 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피해도지수와 접촉각간에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엽내영양물질분석에서 Ca, Mg, K의 값은 대체로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엽령이 높을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Wax정량분석은 심피해지역에서는 엽령이 높을수록 wax함량이 적었고, 무피해지역에서는 엽령이 높을수록 많았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위 항목의 분석방법들이 상호보완적으로 적용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될 경우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