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Change Rate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9초

UR대비에 도움을 줄 논의 기계화재배를 위한 논의 용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surface Drainage of Artesian Groundwater in Wetted Paddy for the Mechanized Farming to be Prepared Against Uruguay Round)

  • 황은;허남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68
    • /
    • 1992
  • A Study was made to improve soil and water temperature and mechanized farming for a wetted paddy under the influence of artesian groundwater located at Samcheon-Dong, Chuncheon City, Kangweon Province. Half perforated PVC drainage pipes were installed in the test paddy to observe temperature change of water and soi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paddy and soil itself rai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half perforated PVC pipes. A subsequent improvement of growth and yield of rice on the paddy was achieved. Harvesting operation was also improved with firm ground condition so that cutting and threshing could be done simultaneously within the paddy plo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1.Temperature of the water in a paddy under the influence of artesian groundwater was not changed notably although air temperature was fluctuated during the crop period. Soil temperature was mostly affected by the artesian groundwater. However, the half perforated PVC pipe drainage system made it possible to raise temperature of water and soil remarkably up to the level of optimum farming. 2.Total precipitation was 534.Omm during the crop period of the paddy for 118 days from May 26 to September 20 in 1992. Due to heavy rainfalls of 105.6mm and 109.8mm occurred on August 7 and August 27.1992, respectively, the rate of the artesian groundwater increased to 35 litter per minute with two to three days of time lag. 3.Average rate of the artesian groundwater was 28 litter per minute from the one year of observation. The rate varied by 0.7 to 1.3 times of averag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Peak rate of the artesian groundwater decreased to 14.5 litter per minute when daily precipitation maintained at the amount of 20 to 30mm for a long time period. Contrarily, 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o 35 to 40 litter per minute when heavier precipitation of 50 to l00mm occurred in a short period of three to five days. 4.Growth and yield of Yemyung variety of rice planted on the paddy that was facilitated with a drainage system with half perforated PVC pipes were confirmed at a normal level, while paddy without this perporated drainage system showed abnormal growth with low yield.

  • PDF

인체기관지내의 입자펄스 확산 실험 (Dispersion of Particle Pulse in Human Lung Airway)

  • 이진원;이동엽;추경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11-518
    • /
    • 1998
  • 세기관지의 구조와 이상유무의 신속 정확한 측정을 위해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에어로졸볼러스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호흡과정 중 흡기에 공급된 입자펄스가 호흡의 진행에 따라 인체기관지내에서 대류분산된 결과로 호기중 입자농도의 증가된 분포폭을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인체에 무해한 sebacic acid를 이용하여 평균입경이 1 $\mu$m이고 기하표준편차가 1.2정도인 임자를 $10^{9}$개/cc 정도의 고농도로 발생하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호흡중의 원하는 시점에 정확히 짧은 펄스형태로 입자를 공급하며, 레이저광산란을 이용하여 흡기와 호기중의 입자농도의 시간변화를 측정한다. 흡기중의 농도분포는 매우 매끈한 분포를 보임으로써 발생장치와 측정장치의 정강작동은 잘 검증되었다. 농도의 시간변화 측정치로부터 계산된 분산도를 1차원 대류확산방정식 이론치 및 외국에서 보고된 실험결과와 비교한 격과, 입자도달깊이에 따른 분산도의 변화에 대한 정성적인 실험결과는 이론치와 상당히 잘 일치하고 기존의 결과보다도 견과의 산포가 개선되었다. 다만 아직도 산포가 상당히 남아있어 개선의 여지를 가지고 있으며, 외국 결과와의 분산도의 타이는 신체조건의 타이 등으로 파악되었다. 산포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호흡시에, 특히 최고농도점 부근에서, 호흡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불규칙 이차파형의 형성을 방지하여 측정결과의 해석에 오차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피해반응(被害反應)(II) - 엽피해(葉被害)와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을 중심으로 - (Injury Responses of Landscape Woody Plants to Air Pollutants - Visible Injury and Ethylene Production -)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28-336
    • /
    • 1993
  • $SO_2$에 의한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피해(被害)의 감수성(感受性)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처리(無處理), 0.5, 1.5 및 2.5ppm의 $SO_2$ 가스를 각각 하루에 4시간(時間)씩 6일간(日間) 처리(處理)하면서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과 내생(內生)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SO_2$ 농도(濃度)에 따른 묘목(苗木)들의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은 0.5ppm 이하에서는 조사대상(調査對象) 수종(樹種) 모두 피해증상(被害症狀)이 없었으며, 1.5와 2.5ppm 수준(水準)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가 나타났는데, 고농도(高濃度) 일수록 피해율(被害率)이 높았으며, 평균(平均) 피해율(被害率)은 튜립나무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스트로브잣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잣나무의 순(順)이었다. $SO_2$ 처리(處理)에 의한 내생(內生)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을 보면, 고농도(高濃度)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저농도(低濃度)에 서보다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이 많았으며, 발생량(發生量) 최대점(最大點)에 도달되는 시간(時間)도 빨랐다.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은 튜립나무가 은행나무에서보다 많았으며, 침엽수류에서는 스트로브잣나무, 소나무, 잣나무 순(順)으로 많았다. 특히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80% 이상(以上)이었던 스트로브잣나무는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ethylene 발생량(發生量)도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다가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40-50% 이상에 도달한 이후 ethylene 발생(發生)이 오히려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동결방법에 따른 냉동 과일의 내부압력 변화 (Changes in Internal Pressure of Frozen Fruits by Freezing Methods)

  • 정진웅;정승원;박기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59-4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과채류의 냉동냉장시 내부압력에 따른 조직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동결 방법에 따른 내부압력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과채류의 동결에 의한 중량감소율은 침지식 동결방식에서 0.44∼l.38% 수준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동결방식에 따른 중량감소율 차이는 수박에서 가장 심하여 수분함량에 클수록 동결속도에 따른 효과가 비교적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결속도에 따른 내부압력은 배, 사과 및 메론에 있어 침지식 방법에 의한 동결시 체적팽창 및 수축에 따른 내부압력 차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송풍식 동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동결속도가 빠를수록 내압의 크기는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딸기 및 수박의 경우는 오히려 침지식에서 내압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균온 처리하지 않은 동결에 있어 과일의 내부압력 변화는 약 2 psig 수준인 반면에 균온 처리한 수박의 내부압력 변화는 균온처리하지 않은 수박의 내부압력 변화 경향과 유사하지만 일정한 수준의 내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내부압력의 크기도 약 1.3 psig 수준으로 상당히 적게 나타났다. 또한, 해동시에 있어서도 균온처리한 시료의 내부압력 크기가 균온처리하지 않은 내부압력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균온처리 동결시, 다단계 처리보다는 3∼4회 수준의 일정한 균온 처리가 내부압력의 증감 폭을 줄일 수 있었다.

배추 력광 품종의 저장 중 1-MCP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1-MCP during Storage of Kimchi Cabbage Ryouckgwang Cultivar)

  • 홍세진;김병섭;김병삼;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31
    • /
    • 2018
  • 배추를 저장하는 동안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수확된 배추는 즉시 실험실로 옮겨와 4개의 그룹(차압예냉 (forced-air cooling, FAC) 처리구, FAC + 0.03mm LLDPE film(Liner) 처리구, $FAC+2{\mu}L{\cdot}L^{-1}$ 1-MCP(1-MCP) 처리구, FAC + 1-MCP + Liner 처리구)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처리를 실시한 후 $2^{\circ}C$, 95% RH 저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품질변화는 무게 감모율, 가용성 고형물 함량, 경도, 그리고 색도($CIE\;L^*$, $a^*$, $b^*$, chroma, hue angle)를 통해 확인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각 실험구의 감모율은 Liner 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6주가 경과되면 FAC + 1-MCP + Liner 처리구는 12.5%의 감모율을 보이면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서 감모율을 최소화하였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시 $2.5^{\circ}Brix$였으며, 저장기간이 3주 경과되면서 FAC + 1-MCP + Liner 처리구에서 수확 시의 값이 유지된 반면, 다른 처리구 들은 증가하였다. 배추의 경도는 수확 직후 24.0N 이었으며, FAC + 1-MCP + Liner 처리구에서 저장 6주 경과 후 22.6N으로 수확 당시의 경도가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 동안 배춧잎의 색 변화는 $CIE\;a^*$와 hue angle 값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1-MCP 만을 처리할 경우에는 색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1-MCP를 처리한 다음 Liner 포장을 실시하면 $CIE\;a^*$와 hue angle의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수확 당시의 색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MCP 처리는 배추 력광 품종 저장에는 효과가 미비하나, Liner와 함께 처리할 경우 6주까지 품질유지가 가능하였다.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배지 종류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반응 (Photosynthetic Response of Foliage Plants Related to Light Intensity, $CO_2$ Concentration, and Growing Mediu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3-209
    • /
    • 2010
  • 연구는 관엽식물 4종을 배지종류,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환경 조절에 효율적인 식물을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싱고니움, 디펜바키아, 쉐프렐라 홍콩, 드라세나를 사용하였으며, 성분과 성질이 다른 두 배지(peatmoss, hydroball)에 각각 재배하였다. 광도는 PPFD 0, 30, 50, 80, 100, 200, 400, $600{\mu}mol{\cdot}m^{-2}{\cdot}s^{-1}$의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1000, $1500{\mu}mol{CO_2}{\cdot}mol^{-1}$의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광도 및 엽육내 $CO_2$ 농도변화에 따른 관엽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광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쉐프렐라 홍콩과 디펜바키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실내식물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서도 다른 두 식물에 비해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드라세나 와네키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였다. 두 배지 처리에 따라서는 각각의 관엽식물에서 엇갈린 광합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쉐프렐라 홍콩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광과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하이드로볼 배지에 비해 높은 광합성 속도를 보였지만, 디펜바키아는 그와는 정반대로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더욱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싱고니움의 경우는 광처리에 의해서는 피트모스 배지에서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지만 이산화탄소 처리에서는 배지간 차이가 없었다.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인 드라세나 와네키는 광에 의한 배지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산화탄소 증가시에는 피트모스에서 다소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한 4가지 관엽식물 중 광합성 효율이 가장 높았던 쉐프렐라 홍콩이나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높은 효율을 보인 디펜바키아가 실내 공기정화 및 실내 환경조절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축물 열환경 특성제어를 위한 상변화 축열재 (Heat Storage Material by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to Control Buildings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 윤희관;한성국;심명진;안대현;이웅목;박종순;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22-526
    • /
    • 2010
  • 축열이용기술은 열저장효과를 이용하여 냉난방 부하가 적을 때 남는 열을 저장하였다가 부하가 증가할 때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열저장 물질의 온도이용 특성에 따라 현열축열과 잠열축열로 구분한다. 잠열축열은 특정 온도 범위에서 상변화 할 때 높은 잠열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열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열저장을 위해 소요되는 공간 크기가 현열 축열에 비하여 작아지게 되고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열의 흡수 및 방출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냉난방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온 상변화물질을 축열재로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 석고 등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물질이 에너지절약성능은 물론 건축자재로서 필요한 물성을 갖추기 위하여 최적배합 방법 및 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중량비로 3% 들어간 축열모르타르의 냉각지연효과는 약 19%로 나타났다.

동결속도에 따른 쇠고기의 냉동저장중 이화학적 변화 (The Effect of Freezing Rates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Beef during Frozen Storage at $-20^{\circ}C$)

  • 김영호;양승용;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47-452
    • /
    • 1988
  • 냉동육에 대한 동결속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송풍동 결기를 이용하여 직경 10cm, 높이 10cm규격의 세절된 원통형 쇠고기를 0.97cm/hr, 2.05cm/hr, 3.71cm/hr의 속도로 동결시켰으며 $-20^{\circ}C$ 냉동고에서 16주간 저장하여 저장 중 쇠고기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는 다소 증가하여 16주 저장육에서 $0.1{\sim}0.2\;unit$의 pH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결속도가 빠를수록 pH 변화는 적었다. 유리지방산 함량 및 TBA가 역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3. 71cm/hr의 동결속도에서 가장 낮은값을 유지 하고 있었으며, TBA 가와 유리지방산 함량과의 상관계수가 0.804로 나타나 지방산패 에 유리 지방산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97cm/hr, 2.05cm/hr, 3.71cm/hr의 동결속도에서 16주 저장육의 염용성단백질 추출성은 각각 17.7%, 6.1%, 1.6% 감소를 보여준 반면 수용성단백질 추출성은 26.0%, 21.2%, 18.5%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어 동결속도의 영향이 염용성단백질추출성에 더욱 크게 나타났으나 동결변성은 오히려 수용성단백질이 더욱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accumulated soil carbon and soil respiration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 and alpine pastureland

  • Jeong, Seok-Hee;Eom, Ji-Young;Park, Ju-Yeon;Lee, Jae-Ho;Lee, Jae-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1호
    • /
    • pp.20-29
    • /
    • 2018
  • Backgroun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agricultural and economical purposes, land-use changes are rapidly increas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leading to sh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arbon cycl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rge-scale ecosystem carbon cycle, it is necessary first to understand vegetation on this local scale. As a result,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change of the carbon balance attributed by the land-use chang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understand accumulated soil carbon (ASC) and soil respiration (Rs) related to carbon cycle in two ecosystems, artificially turned forest into pastureland from forest and a native deciduous temperate forest, resulted from different land-use in the same area. Results: Rs were shown typical seasonal changes in the alpine pastureland (AP) and temperate deciduous forest (TDF). The annual average Rs was $160.5mg\;CO_2\;m^{-2}h^{-1}$ in the AP, but it was $405.1mg\;CO_2\;m^{-2}h^{-1}$ in the TDF, indicating that the Rs in the AP was lower about 54% than that in the TDF. Also, ASC in the AP was $124.49Mg\;C\;ha^{-1}$ from litter layer to 30-cm soil depth. The ASC was about $88.9Mg\;C\;ha^{-1}$, and it was 71.5% of that of the AP. The temperature factors in the AP was high about $4^{\circ}C$ on average compared to the TDF. In AP, it was observed high amount of sunlight entering near the soil surface which is related to high soil temperature is due to low canopy structure. This tendency is due to the smaller emission of organic carbon that is accumulated in the soil, which means a higher ASC in the AP compared to the TDF. Conclusions: The artificial transformation of natural ecosystems into different ecosystems is proceeding widely in the world as well as Korea. The change in land-use type is caused to mak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arbon cycle and storage in same region. For evaluating and predicting the carbon cycle in the vegetation modified by the human activ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arbon cycl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natural ecosystems and converted ecosystem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carbon cycle using different forms in the same region. The land-use changes from a TDF to AP leads to changes in dominant vegetation. Removal of canopy increased light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slightly decreased SMC during the growing season. Also, land-use change led to an increase of ASC and decrease of Rs in AP. In terms of ecosystem carbon sequestration, AP showed a greater amount of carbon stored in the soil due to sustained supply of above-ground liters and lower degradation rate (soil respiration) than TDF in the high mountains. This shows that TDF and AP do not have much difference in terms of storage and circulation of carbon because the amount of carbon in the forest biomass is stored in the soil in the AP.

인공열화 시 공기질 및 습도가 밀랍지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ir quality and humidity on aged characteristics of beeswax-treated paper during artificial aging)

  • 양은정;최경화;강영석;조정혜;정혜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45-55
    • /
    • 2012
  • 제책 시료의 경우 낱장과 달리 제책 위치에 따라 공기, 습도, 빛 등의 접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열화특성 또한 제책 위치에 따라 다르다. 특히 밀랍지는 일반적인 한지와는 달리 통기성이 없으며 발수성이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밀랍지로 제작된 제책본의 경우 주위 보존환경과 접하는 부분과, 외부와 접하지 않는 내부에서의 열화 인자 및 기작(mechanism, 機作)의 상이성(相異性)은 일반 서적들에 비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랍본의 내 외부의 열화 특성의 상이성(相異性)을 분석하기 위해 공기 및 수분의 조건에 따라 밀랍지를 인공열화 시킨 후 각 조건별 열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공열화 후 밀랍지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 분석 결과, 산소가 밀랍지의 열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도 50 % RH 조건이 0 %RH의 조건보다 밀랍지의 열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화된 시편으로부터 추출된 밀랍의 GC/MS 분석을 실시하여 각 조건에 따른 밀랍의 분해산물을 비교분석한 결과,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팔미트 산 등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C9-C20의 탄소수를 가지는 저분자화합물이 증가되고, 탄화수소화물 및 지방족 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C21-C36의 탄소수를 가지는 화합물과 왁스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C34 이상의 고분자화합물은 감소되어 밀랍성분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조건에 따른 밀랍의 분해는 물리적, 광학적 특성 변화율과 마찬가지로 산소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도 50% RH에서보다 0% RH에서 높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