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tis ipsil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과실흡아류의 종류와 피해에 관한 조사연구(1) (Survey on the Kinds of the Fruit Sucking Moths and their Damages in Korea(1))

  • 이승찬;유재기;유창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7-41
    • /
    • 1970
  • 최근 우리나라 과수재배지대에서 과실성숙기에 문제가 되고있는 종류미상의 과실흡아류는 특히 산간지대의 배, 복숭아, 포도, 사과등에 대한 피해가 증가해가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들 흡아류에 관한 효과적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적자료를 얻고저 우선 그 종류와 과수의 피해를 수원과 진주지방에서 조사한 결과 과수흡아류로서 7속 10종이 채집되었으나 주로 간제되는 종빈는 Noctuidae과, Catocalinae아과에 속함을 알수 있었다. 흡아류는 우묵밤나방(Oraesia excavata BUTLER) 으름나방(Adris tyrannus amurensis S.), 칼페 우묵밤나방 (Calpe thalictri Brok.), 무궁화밤나방(Dermaleipa juno DELMAN)등의 4종은 우리나라에서 이미 알려진 종이었으나 그외 애우묵밤나방(Oraesia emarginata FABRICIUS), 큰우묵밤나방(Oraesia lata BUTLER), 정거세미나방 (Agrotis tipsilon ROTTEMBURG), 모무되뒷노랑나방 (Chrysorithrum amata Bremer et GREY) 디눔마방나방(Dinumma deponens WALKER), 그리고 모밀거세나방(Trachea atriplicis LINNE)등 6종이 조사 추가되었다. 과수흡아류중에서도 우묵밤나방의 피해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무궁화밤나방과 으름나방의 피해도 컸으나 재배지역이나 계절에 따라서 애우묵밤나방이나 으름나방의 발생이 많을 때가 있었다. 흡아류는 초여름부터 늦은 가을까지 성숙기에 있는 모든 과실에 흡수가해하며 습성은 완전 야행성이다. 수원지방의 포도에 대한 피해는 평균$8.9\%$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으며 진주지방의 배에 대한 피해율은 평균 $3.4\%$이였다.

  • PDF

경남 진주지역 골프장의 나방상 연구 (Moth (Lepidoptera) Fauna of Golf Courses in Jinju, Gyeongsangnamdo, Korea)

  • 김종주;이석준;정영학;이상명;추호렬;이동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0-42
    • /
    • 2011
  • 골프장에서 나방류 잔디해충과 나방류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남 진주에 있는 전주컨트리클럽에서 수은 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10일 간격으로 두 개의 홀에서 조사를 하였다. 18회 조사에서 채집된 잔디해충은 검거세미나방과 잔디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멸강나방이었으며 채집 개체수는 모두 23개체로 매우 적었다. 전체 나방류는 22과 388종 2028개체가 채집 되었으며 5월에는 노랑띠 알락가지나방(Culcula panterinaria)이 우점종이었고, 6월은 밤나무재주나방, 7월은 주홍애기비단명나방(Hypsopygia regina), 8월은 노랑띠알락가지나방, 9월과 10월은 검은줄포충나방(Flavocrambus striatellus)과 물결밤나방(Diarsia camescens)이 우점종이었다. 나방류의 종다양도는 두 조사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사 기간 내에는 차이를 보였다. 자연림에 둘러 싸여있고, 인근에 연못이 있는 11번 홀이 산정부에 위치하여 있으면서 자연림 이 코스 절개지 아래쪽에 있는 15번 홀에 비하여 종풍부도가 높았다. 나방류의 우점도는 10월부터 증가하였으나 다양도와 풍부도는 감소하였다. 밤나방과가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131종, 50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나방과(85종, 491개체), 명나방과(73종, 386개체), 재주나방과(25종, 277개체)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4과가 전체 채집 종의 80.9%를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