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replacement of para-grass with oil palm compounds on body weight, foo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functions and blood parameters in goats

  • Buranakarl, C.;Thammacharoen, S.;Semsirmboon, S.;Sutayatram, S.;Chanpongsang, S.;Chaiyabutr, N.;Katoh,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21-929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oil palm frond (leaf) (OPF) with and without oil palm meal (OPM) on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nd growth performance in goats. Methods: Six female crossbred goats were fed for 28 days of 3 diet treatments; 100% para-grass (T1); 50% para-grass + 50% OPF (T2), and 30% para-grass + 50% OPF + 20% OPM (T3). Body weight, rectal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urine volume, food intake, dry matter intake and water intake were measured daily. Nutrient digestibility was determined from five consecutive days of last week in each diet. Ruminal fluid, urine and blood were collected at the end for determination of rumen protozoa and volatile fatty acid contents, urinary allantoin excretion, blood cell count and chemistry profiles. Results: Goats fed T2 and T3 showed higher dry matter and nutrients intakes while protein digestibility was suppressed compared with those for T1. Crude fat digestibility declined in T2 but maintained after adding the OPM (T3). High fat intake by giving OPF and OPM corresponded to a higher ruminal acetate/propionate ratio (C2/C3) and serum cholesterol level. An increased urinary allantoin/creatinine ratio was found in T2 and T3 compared with T1, implying an increased number of ruminal microbes. Conclusion: Increased dry matter intake in T2 and T3 suggested that oil palm by-products are partly useful as a replacement for para-grass in goats. Replacement with the by-products increased plasma cholesterol level, which suggested that these products are a useful energy source. Changes in rumen parameters suggested an increased microbial number and activity suitable for acetate production. However, the limited digestibility of protein implies that addition of high protein feeds may be recommended to increase body weight gain of goats.

호박 Silage의 품질(品質) 및 이용성(利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and Utilization of Pumpkin Silages)

  • 김용국;김상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7-84
    • /
    • 1976
  • 최근(最近)에 사료(飼料)의 요구량(要求量)이 급증(急增)되고 사료용(飼料用) 호박이 도입(導入) 재배(裁培)되므로서 호박의 사료화(飼料化)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많아졌다. 이에 본시험(本試驗)은 사료용(飼料用) 호박으로 Mammoth pumpkin(C. Maxima), Queensland blue pumpkin(C. Maxima), Korean pumpkin(C. Moschata)으로 부터 밀기울을 0, 10, 20%씩 각각(各各) 첨가(添加)하면서 Silage 제조(製造) 하였으며, 제조후(製造後) 40~60일(日) 사이에 화학적(化學的) 조성분(組成分), pH,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을 분석(分折)하고 산란계(産卵鷄)에 대(對)한 급여시험(給與試驗)을 하여 호박의 사료적(飼料的) 가치(價値) 및 이용성등(利用性等)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재료(材料)인 호박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Mammoth pumpkin의 경우(境遇) 약(約) 97%, Queensland pumpkin이 94%, Korean pumpkin이 91%였던 관계(關係)로 상당히 높았으며 Silige제조후(製造後) 성분변화(成分變化)는 가용무질소량(可溶無窒素量)이 약간(約間) 감소(減少)하였을 뿐, 기타(其他)의 성분(成分)은 변화(變化)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기울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수분(水分)을 조절(調節)할 수 있었고 영양분(營養分)도 증가(增加)되었으나 이는 단지 밀기울의 성분함량(成分含量)에 좌우(左右)되었다. 또한 Silage의 성분손실량(成分損失量)은 제조후(製造後) 2주(週)에서 1개월(個月)사이에 10%정도(程度)였으며 그후(後) 약간씩 감소(減少)하여 6개월후(個月後)에는 15%정도(程度)였는데 호박을 그대로 저장(貯藏)했을 시(時)는 9월(月)부터 12월(月)사이에는 수분함량(水分含量)이 특(特)히 많은 Mammoth pumpkin을 제외(除外)하고 그 감량(減量)이 심(甚)하지 않았으나 월동(越冬)을 한 2월(月)에는 3종(種)의 호박 거의가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상실(喪失)하였다. 2. Silage의 품질(品質) 또한 처리구간(處理區問)에는 특별(特別)한 차이(差異)가 없이 pH가 3.8~4.1, 유기산중(有機酸中) 유산(乳酸)이 2.09~2.93%였고 초산(醋酸)이 0.68~1.71%, 낙산(酪酸)은 0%로서 Flieg씨(氏) 평점법(評點法)에 의(依)하면 모두 98~100점(點)으로 양질(良質)의 Silage가 제조(製造)되었다. 3. Mammoth pumpkin silage를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하여 사료섭취율(飼料攝取率), 산란율(産卵率), 난중(卵重) 및 Haugh unit등(等)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고형물기준(固形物基準)으로 Silage를 5.0%와 7.5%급여구(給與區)가 가장 좋았고 다음이 2.5%구(區)였으며 10%급여구(給與區)는 대조구(對照區)보다 떨어졌다. (P<0.01). 이는 호박 Sil-age가 신선(新鮮)하므로 기호성(嗜好性)을 증진(增進)시켰고 Vitamin등(等) 풍부(豊富)하여 산란(産卵)을 촉진(促進)시키는 것으로 사료(恩料)되나 10%이상(以上)의 급여(給與)는 양(量)이 너무 많아 효과적(效果的)인 급여(給與)가 못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호박을 이용(利用)하여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고 또한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한 결과(結果) 산란율(産卵率)도 증진(增進)되었으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너무 많은 관계(關係)로 다량(多量)의 Silage가 요구(要求)되므로 가축(家畜)의 기본사료(基本飼料)로는 적당치 않고 단지 사료가치(飼料價値)가 떨어지는 타사료(他飼料)와 혼합(混合)하여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하므로서 타사료(他飼料)의 기호성(嗜好性)을 향상(向上)시켜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시키고 아울러 Vitamin을 공급(供給)할 수 있는 방향(方向)으로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함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일본도시근교낙농장(日本都市近郊酪農場) 유우(乳牛)의 우백혈병감염(牛白血病感染)에 대한 혈청학적(血淸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A serological survey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ion in dairy cattle in the suburban farming area of Japan)

  • 사카이 타케오;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1
    • /
    • 1989
  • 1983년(年)부터 1985년도(年度)까지 사이에 일본(日本) Saitama현(縣) 각소도시근교(各小都市近郊)의 낙농장(酪農場)에서 사육(飼育)되는 2,407두(頭)의 유우(乳牛)를 대상(對象)으로 BLV(bovine leukemia virus) 감염여부(感染與否)를 혈청학적검사(血淸學的檢査)(agar-gel immunodiffusion test)를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평균양성율(平均陽性率)은 4.9%이었고, 연령(年齡)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2.6%에서 부터 9.8%까지 양성율(陽性率)이 있으며, 동일지역(同一地域)에서도 조사낙농장별(調査酪農場別)로 양성율(陽性率)은 큰 차(差)가 있었다. 본조사연구(本調査硏究)의 결과(結果)를 BLV감염(感染)에 대한 수의역학적(獸醫疫學的)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제시(提示)하는 바이다.

  • PDF

복수(腹水)에 의(依)한 가토난자(家兎卵子)의 체외배양(體外培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in Vitro Culture of Rabbit Ova in Peritoneal Fluids)

  • 전창기;이시지마 요시로
    • 농업과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35-39
    • /
    • 1974
  • 본시험(本試驗)은 과배란처리가토(過排卵處理家兎)에서 많은 양(量)이 채취(採取)할수 있는 복수(腹水)(peritoneal fluid)가 가토수정난자(家兎水精卵子)의 in. Vitro 배양(培養)의 배양액(培養液)으로서 이용(利用)할수 있는지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2) 2세포(細胞), 4세포(細胞), 8세포(細胞), 16세포기(細胞期)의 가토난자(家兎卵子)를 복수(腹水)를 써서 $37^{\circ}C$에서 48시간(時間) 배양(培養)한 결과 분할(分割)된 난자(卵子)의 정도(程度)는 각각(各各) 78.1%, 83.3%, 91.7% 및 93.6%로서 이들의 성적(成績)은 가토혈청(家兎血淸)으로 배양(培養)했을 경우보다도 어느 것이나 좋았다. 2) 2세포(細胞)의 난자(卵子)를 복수(腹水)로 96시간(時間) 배양(培養)했을 때 배양난자(培養卵子)의 88%가 상실기이상(桑實期以上)으로 발달(發達)되고 24%가 배반포(胚盤胞)에 이르고 있으며 가토혈청(家兎血淸)으로 배양(培養)한 성적(成績)과 거의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상(以上)과 같은 점(點)에서 가토난자(家兎卵子)의 배양액(培養液)으로서 가토(家兎)의 복수(腹水)가 유효(有效)하라는 것이 입증(立證) 되었다.

  • PDF

항생제 대체제로서 첨가제가 육성 및 비육돈의 성장능력과 사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 Additive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Cost in Growing-finishing Pigs)

  • 김종덕;셔윈 아부엘;심금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3-244
    • /
    • 2010
  • 본 시험은 육성돈과 비육돈에서 항생제 대체를 위하여 두 가지 첨가제의 가축의 생산성과 사료비를 평가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첨가제는 두과식물인 호로파(Trigonella foenum graecum) 추출물(HE)과 aminolevulinic acid(ALA)를 사용하였다. 시험 1은 자돈 128두를 4처리 4반복으로 돈방 당 8두씩 28일간 사양시험을 하였다. 항생제 첨가구(PC)의 일당증체량은 580.6g으로 532.2g의 ALA처리구보다 많이 증체하였다(p<0.05). 한편 일일 사료섭취량과 사료효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자돈의 두당 사료비는 첨가제 처리구인 HE 및 ALA 처리구 모두 항생제 처리구(PC)보다 적었으나, 1.0kg 증체당 사료비는 HE 처리구가 항생제(PC) 처리구보다 높았다. 시험 2는 육성 비육돈 80두를 4처리 4반복으로 돈방당 5두씩 70일간 사양시험을 하였다. 육성 비육돈의 1일 사료섭취량은 HE 처리구가 2,425.8g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많이 섭취하였다(p<0.05). 한편 육성 비육돈의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HE 처리구는 두당 사료비와 1.0kg 당 사료비 모두 항생제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ALA 처리구는 1.0kg 당 사료비가 항생제 처리구와 같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항생제를 대체를 위한 첨가제는 가축생산성이 항생제 처리구보다 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aminolevulinic acid는 사료비에서도 항생제와 차이가 없어 경쟁력이 있었다.

가축분뇨 시용이 총체 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on the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Feed Value and Soil Fertility)

  • 임영철;윤세형;정민웅;김원호;김종근;이종경;서성;박남건;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7-296
    • /
    • 2007
  • 본 시험은 논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한 총체벼 재배 시 생육특성,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축산과학원(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품종 간에는 추청벼에서 길었으며 가축분뇨 종류 간에는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 발효우분구 순이었다. 주당 경수는 수원468호보다 추청벼가 많았으며 가축분뇨의 종류 간에는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 화학비료구> 발효우분구 순으로 적었다. 시용방법 간에는 수원468호는 차이가 없었으나 추청벼는 가축분뇨 100%구> 가축분뇨 75% + 화학비료 25%구> 가축분뇨 100% + 화학비료 25%구 순이었다. 식물체중 질소 함량은 돈분액비구 2.61%, 발효우분구 1.60%, 발효돈분구 1.33%, 화학비료구 1.07%순으로 가축분뇨를 시용한 경우 모두 높았다. 시용방법 간에는 가축분뇨 100% + 화학비료 25%구> 가축분뇨 75% + 화학비료 25%구> 가축분뇨 100%구 순이었다. 등숙률은 식물체내에 질소 함량이 높았던 처리에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에 비하여 돈분액비구 7%, 발효돈분구 15%, 발효우분구 8% 증수되었다. 시용방법 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 간에는 수원 468호보다 추청벼가 증수되었다. TDN 수량도 건물수량과 같은 경향 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가축분뇨시용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RFV는 화학비료구> 발효우분구> 발효돈분구> 돈분액비구 순이었다. 토양의 화학성은 pH, 유기물, T-N는 대차 없으나 인산은 가축분뇨 시용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중금속 중 Cu와 Zn은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에서 증가되었으나 발효우분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Micrococcus pyogenes var aureus에 의한 유산양(乳山羊)의 괴저성유방염(壞疽性乳房炎)에 관한 임상학적(臨床學的) 연구(硏究) (Clincal Studies on the Gangrenous Mastitis Caused by Mircrococus pyogenes var aureus in Goats)

  • 김교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85-94
    • /
    • 1976
  • 유산양(乳山羊)의 자연발생(自然發生) 괴저성유방염(壞疽性乳房炎) 6예(例)에 대하여 임상소견(臨床所見)을 관찰(觀察)하는 한편 분리균(分離菌)에 의한 인공감염시험(人工感染試驗), 각종항생물질(各種抗生物質)에 대한 감수성시험(感受性試驗)을 통(通)하여 치료법(治療法)을 확립(確立)할 목적(目的)으로 실시(實施)한 시험성적(試驗成績)을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유산양(乳山羊)에 자연발생(自然發生)한 6예(例)에 유방염(乳房炎)은 임상소견(臨床所見)에 있어 이미 보고(報告)된 우(牛), 면양(緬羊) 및 산양(山羊)의 저성유방염(疽性乳房炎)과 같았다. 2. 환산양(患山羊)에서 분리(分離)한 Micrococcus Pyogenes Var Aureus는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한 균주(菌株)로서 산양(山羊)의 유방내접종(乳房內接種)에 의하여 괴저성유방염(壞疽性乳房炎) 또는 경도(輕度)의 유방염(乳房炎)을 일으킬 수 있었다. 3. 산양(山羊)의 괴저성유방염(壞疽性乳房炎)은 유선간질내(乳腺間質內)의 대소정맥지(大小靜脈枝) 혈전(血栓)이 형성(形成)되었을 때 야기(惹起)될 수 있다. 4. 환산양(患山羊)에서 분리(分離)한 Micrococcus Pyogens Var Aureus는 Penicillin에 대(對)하여 6예중(例中) 2예(例)만이 내성(耐性)이 있고 나머지는 모두 Strepomycin, Chloromycetin, Oxytetracycline, Erythromycin, Achromycin, Aurcomycin, Neomycin 및 Kanamycin등과 같이 예민(銳敏)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5. 치료시험(治療試驗)에 있어 괴저부(壞疽部)가 편측성(片側性)이고 한국성(限局性)인 것은 외과적(外科的) 유방적출술(乳房摘出術), 심(甚)한 괴저(壞疽)와 한계(限界)가 광범(廣範)하여 유두(乳頭)까지 괴사(壞死)한것은 유두절제술(乳頭切除術)과 근육주사(筋肉注射)하고 괴저(壞疽)가 경미(輕微)한것은 유두관내주입법(乳頭管內注入法)과 유방조직내주사법(乳房組織內注射法)이 가(可)할것이다.

  • PDF

강제환우시킨 산란노계에서 생산성 제고를 위한 대사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의 탐색 (Exploiting the Maximum Productive Potential of Spent Laying Hens with Various Metabolizable Energy and Protein Levels after Induced Molting)

  • 무하마드 아크람;박재홍;류명선;신기형;류경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69-376
    • /
    • 2003
  • 본 연구는 대사에너지(ME)와 조단백질(CP) 수준이 강제환우를 실행한 산란노계의 생산성과 난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강제환우를 실시한 66주령의 이사브라운 산란계 432수 ME 3 수준(2,750, 2,800, 2,850 kcal/kg)과 CP 2수준(15, 17%)의 전체 6 종류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조사항목으로 ME와 CP의 수준에 따른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량을 24주간 측정하였으며, 1일 산란양과 사료요구율을 조사하였다. 난품질은 산란시기별로 5, 50%, 산란피크, 피크 후기, 실험 종료시에 각각 Haugh unit과 난황색, 파각강도를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ME 2,800 kcal/kg과 CP 15%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P<0.05). 난중은 ME 2,800 kcal/kg을 급여한 닭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1일 산란양은 CP 15%와 ME 2,800 kcal/kg을 섭취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섭취량은 ME와 CP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05). 난황색은 CP 17%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CP 15%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CP 17%와 ME 2,800 또는 2,850 kcal/kg 급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파각강도는 CP 15%와 ME 2,800 kcal/kg을 급여한 닭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강제 환우계에서 산란율과 난품질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료내 최적의 ME와 CP는 15%와 2,800 kcal/kg 수준으로 사료된다.

농업인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Korean Farmers: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이민지;김경수;최동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4호
    • /
    • pp.255-267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farmers.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farmers, data of 'Occupational Disease Survey for Farmers' was performed by the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ults: The odds ratio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female farmers were 1.42(1.30-1.56) times higher than male farmers. The older aging and longer the agricultural work period, the higher odds ratio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shown. By major crops, all crop farmers showed higher odds ratio of musculoskeletal symptoms compared to rice crop farm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odds ratio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y body parts, female farmers had higher odds ratio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male farmers by 1.38(1.26-1.51) times in waist, 1.58(1.44-1.74) times in knee, 1.32(1.05-0.67) times in hand/wrist, and 1.30(1.06-1.59) times in foot/ankle. By crops, animal husbandry farmers had higher odds ratio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rice crop farmers by 1.44(0.89-2.35) times in waist, and field crop farmers were 1.37(1.07-1.77) times higher in knee. Compared with rice crop farmers, odds ratio of the shoulder part the shoulder parts were 1.19(0.81-1.76) times higher in greenhouse crop farmers and 1.16(0.97-1.38) times higher in dry field crop farmers. Odds ratio of the hands/wrist parts were higher odds ratio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rice crop farmers by 1.69(1.00-2.87) times in greenhouse crop farm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to select the group that needs to be managed first, and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revention programs.

일본중부(日本中部)와 남부(南部)의 우(牛)에서 일본뇌염감염(日本腦炎感染)에 관한 역학적(疫學的) 연구(硏究)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fection in cattle: comparison of antibody distribution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Japan)

  • 사카이 타케오;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4
    • /
    • 1989
  • 1982년(年)부터 1984년도(年度)까지 3년간(年間)에 걸처, 일본내(日本內) 중부(中部) Saitama현(縣)의 우(牛) 1,306두(頭)와 남부(南部)의 Kagoshima현(縣)의 우(牛) 536두(頭)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일본뇌염(日本腦炎)바이라스 (JEV)의 적혈구응집억제(赤血球凝集抑制) (HI) 항체양성율(抗體陽性率)을 검사(檢査)한 바, Kagoshima현(縣)에선 68.8% 그리고 Saitama 현(縣)에서는 65.5%가 양성(陽性)이었다. 계절별(季節別)로는 양지역(兩地域)이 공(供)히 하절(夏節)에 항체양성율(抗體陽性率)이 높았고, 연령별(年齡別) 양성율(陽性率)은 Saitama 현(縣)의 경우 64.0%부터 82.8%까지 분포(分布)하고, Kagoshima현(縣)의 우(牛)는 1세군(歲群)에서 29.4%, 2세군(歲群)에선 50.0%, 3세군(歲群)에선 47.4% 그리고 4세군(歲群)에선 74.5%의 양성율(陽性率)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양지역(兩地域)의 연령(年齡)과 항체력가간(抗體力價間)에는 상관성(相關性)이 없었고, Saitama현(縣) 우(牛)의 역가(力價)는 연령(年齡)에 따라 15.3~22.5, Kagoshima 현우(縣牛)은 20.0~32.3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