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ltural wat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상수처리과정 중 제초제 molinate의 제거 (Removal of Herbicide Molinate during treatment Processes for Drinking Water)

  • 박주황;박종우;김종수;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45-151
    • /
    • 2002
  • 수도용 제초제로 널리 사용되는 molinate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상수원수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수원수에 molinate가 유입되었을 경우 상수처리과정 중에서의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수처리과정중 응집제로 poly aluminium chloride(PAC)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molinate는 거의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독제로 NaCIO를 사용한 염소처리과정에서는 4시간까지 염소투입량을 증가시켜 줌에 따라서 $20.0%{\sim}39.8%$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고도정수처리과정에 해당되는 오존접촉과정에서는 접촉시간을 1시간까지 두었을 때 $28.9%{\sim}$58.2%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활성탄처리과정의 경우는 입상활성탄의 첨가량 달리 하였을 때 30분의 접촉시간이 지난 후 90%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으며, 1시간 후에는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의 형태에 따른 제거효율은 비표면적이 더 널은 분말활성탄이 입상활성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다 높게 나타났다. 고도정수처리과정인 오존접촉과 활성탄처리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한 결과 비교적 짬은 처리 시간에도 불구하고 $93.9%{\sim}100% 제거되었다. 상수처리의 각 과정별 molinatr치 제거율을 계산하여 모식화한 결과 전체 system에서의 효율은 99.5%로 나타나 수중 molinate의 제거에 상당히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排水) Catena에 있어서 세입질(細粒質) 화강암(花崗岩) 토양(土壤)의 특성(特性) (평택군(平澤郡) 현덕면(玄德面), 화양리(華陽里)) (The Characteristics of Fine Granitic Soils on a Drainage Catena in Hwayang Ri, Pyeongtaeg Area)

  • 임상규;정석재;문준;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6-281
    • /
    • 1985
  • 배수연쇄(排水連鎖)에 따른 세립질(細粒質) 화강암(花崗岩)의 풍화(風化) 모재물(母材物)에 기인(基因)된 식양질(植壤質)인 송정통(松汀統)(잔적토(殘積土)), 대곡통(大谷統)(곡간충적붕적토(谷間沖積崩積土)), 지산(芝山) 및 옥천통(玉泉統)(곡간충적토(谷間沖積土))의 형태적(形態的)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1. 이들 토양(土壤)은 연쇄성(連鎖性)(Catena)이 인정(認定)되며 또한 지형(地形) 지하수위(地下水位) 및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 때문에 토색연쇄(土色連鎖)(Soil color sequence)를 가진다. 2.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할 수록 미사(微砂)/점토율(粘土率), 토양산도(土壤酸度), 유기물(有機物) 및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은 그 반대(反對)인 경향(傾向)이었다.

  • PDF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Epilithic Algal and Change of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Quality in the Seomjin River)

  • 이경보;김백호;이덕배;김재덕;최민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6-283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과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섬진강 수계 총 16지점을 선정하여 수질의 오염성분 및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조류의 분포,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진강 수계 농업용수 시기별 수질변화에서 7, 8월에 오염성분 함량이 낮았으며, $NO^-\;_3-N$는 영농시기인 6월에 그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수계별 수질변화에서는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구례 서시천, 남원 요천이 EC 함량이 높았고, $NO_3-N$ 함량은 남원 요천에서 높았다. 섬진강 수계 주요 음이온의 당량합은 $Cl^->SO_4\;^{2-}>NO_3\;^->PO_4\;^{3-}$순 이었으며 양이온의 당량합은 $Ca^{2-}>Na^->Mg^{2-}>K^+>NH_4\;^-$순 이었다. 섬진강 부착 조류중 동정 분류된 부착조류는 총 6강 15목 9아목 33과 13아과 90속 290종 42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였으며, 녹조 171종류, 규조 106종류, 남조 46종류, 유글레나 10종류, 쌍편모조 4종류, 황색편모조 2종류 순이었다. 계절별 조사에서 여름조사에는 219종류로 출현중의 64.6%를 차지하였으나, 겨울은 147종류로 43.4%로 가장 낮은 출현을 보였고, 조사기간동안 산정된 부착조류 현존량은 총 $12,240{\times}10^4\;cells{\cdot}L^{-1}$(총 현존량의 20.6%)로 최저치를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봄에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smarium furcatospermum, Melsira granulata 등, 여름에는 Cyclotella meneghinana, Synedra ulna, Scenedesmus ecornis 등, 가을에는 Melsira granulata, Achnanthes minutissma, 겨울에는 Gomphonema parvulum,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Melsira varians 등이 높은 출현을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전체적으로 0.10 - 0.43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점 2, 4, 8, 9 등에 비교적 낮은 우점도지수를 보였고, 지점 5, 6, 15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