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gregate gradat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13mm 이하 순환굵은골재 치환이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Replacemen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s Under 13mm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Concrete)

  • 한민철;강병회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43-4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레미콘사에서 콘크리트 제조 시 13mm 이하 굵은골재의 부족으로 인한 품질저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3mm 이하 순환굵은골재를 치환하여 콘크리트의 제반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변수로 13mm 이하 순환 굵은골재를 13~25mm 굵은골재에 10~100%까지 치환사용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13mm 이하 순환 굵은골재 치환사용으로 유동성이 증가하였으며, 공기량은 골재간의 공극충전효과로 인해 감소하였다. 또한 골재간의 연속입도 구성으로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이 감소되어 강도의 향상과 건조수축이 감소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13mm 이하 순환 굵은골재를 13~25mm 굵은골재만 사용한 콘크리트에 30% 내외 치환사용시 콘크리트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골재의 입도분포곡선 (Gradation Curve of Aggrega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

  • 황택진;조재윤;이관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1-37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형상변환계수 및 등가직경이론을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수정입도분포곡선을 작성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골재는 천연골재(해변자갈) 2종 및 쇄석골재 2종 등 총 4종의 골재를 이용하였다. 4종의 골재에 대한 편평비는 각각 0.30, 0.36, 0.47 및 0.83으로 측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는 각각 0.77, 0.78, 0.84 및 0.92로 결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에 디지털이미지 처리기법에서 구한 입경을 곱하여 입자의 크기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입자크기를 이용하여 보정된 체적 및 중량을 구하여 수정입도곡선을 작성하였다.

Bailey Method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최적배합설계 평가 (Evaluation of Mix Design for Asphalt Mixtures by Bailey Method)

  • 이동항;이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32-4836
    • /
    • 2012
  •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는 많은 시간과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정밀한 배합설계 결과는 실험하는 사람의 숙련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ailey는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입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골재입도곡선에서 특정한 크기의 골재의 입도 및 통과중량비가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ailey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19mm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및 미연방도로국의 배수성포장(PA 20mm) 혼합물에 대한 배합설계를 시행하였다. Bailey 방법을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입도 결정방법은 기존에 시행착오를 통합 배합설계방법에 비해 좀더 짧은 시간에 최적배합설계를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9mm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CA, $FA_c$, $FA_f$는 0.724, 0.440 및 0.455로 기준값을 만족하였다. PA 20mm 아스팔트 혼합물의 계산된 CA, $FA_c$, $FA_f$는 0.646, 0.476 및 0.450으로 기준값을 만족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굵은골재의 입도분포곡선 (Gradation Curve of Coarse Aggregate by Digital Image Analysis)

  • 이관호;김영진;황택진;조재윤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1호
    • /
    • pp.69-78
    • /
    • 2011
  • 본 연구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골재입자의 형상을 분류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은 골재의 표면거칠기 및 형상계수 등의 정량적인 분석에 적합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골재입자는 주문진 표준사, 해양골재 2종, 쇄석골재 2종 등이 이용되었다. 해변자갈I, II의 형상계수는 0.35~0.54, 쇄석I은 0.74의 범위로 박편 형태의 편평상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주문진 표준사의 입자의 모양은 세장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변자갈II는 해변자갈I과 달리 모든 시료보다 세장비가 작으므로 장축과 중축의 차이가 크고, 긴 입자의 형상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체가름 시험 및 실측을 통해 결정된 골재의 세장비 및 편평비와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해 결정된 골재의 세장비 편평비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형상변환계수 및 등가직경이론을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수정입도분포곡선을 작성하였다. 4종의 골재에 대한 편평비는 각각 0.30, 0.36, 0.47 및 0.83으로 측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는 각각 0.77, 0.78, 0.84 및 0.92로 결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에 디지털이미지 처리기법에서 구한 입경을 곱하여 입자의 크기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입자크기를 이용하여 보정된 체적 및 중량을 구하여 수정입도곡선을 작성하였다.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를 혼합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및 내구성 분석 (Analysis of Fundament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Coal Gasification Slag as a Combined Aggregate)

  • 최일경;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1-338
    • /
    • 2020
  • 본 연구는 CGS를 콘크리트용 혼합골재로서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양호한 입도분포의 부순잔골재(CSa) 및 미립자인 해사와 굵은 입자의 부순잔골재를 혼합한 혼합골재(MS)에 CGS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및 내구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는 CSa 및 MS 모두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공기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CSa를 사용한 경우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저하하였지만, MS를 사용한 경우는 CGS 50 %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내구성을 검토한 결과로, 건조수축 및 탄산화 깊이측정의 경우는 CGS 치환율에 따라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내동해성에서는 전반적으로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GS를 치환 사용하는 혼합잔골재 콘크리트의 경우는 공기량 감소를 보완할 수 있도록 AE제 추가 투입 등의 대책을 수립한다면, 큰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재생골재를 사용한 포장용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실험 (Evaluation of Concrete Material Properties for Pavement Using Job-site Processed Recycled Aggregates)

  • 양성철;김남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7-63
    • /
    • 2013
  • PURPOS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 feasibility of job-site use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exceeding 3% of absorption rate. Test variables are coarse aggregate types such as natural aggregate, job-site processed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processed from the intermediate waste treatment company. METHODS : First, aggregate properties such as gradation,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rate were determined. Next a basic serie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was tested. RESULTS : All strength test results such as compression, flexure and modulus were satisfied for the minimum requirements. Finally up to first 48 elapsed days the shrinkage strains of concretes made from both recycled aggregates (in case of volume-surface ratio of 300) appeared to be greater than 26% of the companion concretes made from natural aggregates. CONCLUSIONS : Drying shrinkage result is ascribed to greater absorption rate and specific gravity of those specimens made from recycled aggregate. This may be reduced with an addition of admixtures.

등가 구형입자를 이용한 DEM에서의 골재 슬럼프 실험 모사 (Simulation of Aggregate Slump Test Using Equivalent Sphere Particle in DEM)

  • 윤태영;안상혁;남정희;유평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1-29
    • /
    • 2013
  • PURPOSES: Simulation of aggregate slump test using equivalent sphere particle in DEM and its validity evaluation against lab aggregate slump test METHODS : In this research, aggregate slump tests are performed and compared with DEM simulation. To utilize spheric particles in YADE, equivalent sphere diameter concept is applied. As verification measures, the volume in slump cone filled with aggregate is used and it is compared with volume in slump cone filled with equivalent sphere particle. Slump height and diameter are also used to evaluate the suggested numerical method with equivalent concept RESULTS : Simulation test results show good agrement with lab test results in terms of loose packing volume, height and diameter of slumped particle clump. CONCLUSIONS : It is concluded that numerical simulation using DEM is applicable to evaluate the effect of aggregate morphological property in loose packing and optimum gradation determination based on the aggregate slump test simulation result.

A 2-D numerical research on spatial variability of concrete carbonation depth at meso-scale

  • Pan, Zichao;Ruan, Xin;Chen, Airon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5권2호
    • /
    • pp.231-257
    • /
    • 2015
  • This paper discusses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carbonation depth caused by the mesoscopic structure of the concrete and the influence of the spatial variability o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cover. To conduct the research, a method to generate the random aggregate structure (RAS) based on polygonal particles and a simplified numerical model of the concrete carbonation at meso-scale are firstly developed. Based on the method and model, the effect of the aggregate properties including shape, content and gradation on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carbonation depth is comprehensively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a larger degree of the spatial variability will be obtained by using (1) the aggregates with a larger aspect ratio; (2) a larger aggregate content; (3) the gradation which has more large particles. The proper sample size and model size used in the analysis are also studied. Finally, a case study i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carbonation depth on the proper thickness of the concrete cover. The research in this paper not only provides suggestions on how to decrease the spatial variability, but also proposes the method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spatial variability in design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c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