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19 or older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5초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 자료를 활용하여 (Risk Factors Influencing Stroke : using data from the 7th(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명실;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277-28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 자료를 활용하여 2단계 층화집락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9세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복합표본 교차분석 및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특성및 질환특성과 뇌졸중과의 차이검정 결과 연령대(p<.001), 주관적건강상태(p<.001), 현재흡연(p=0.003), BMI(p=0.005), 고혈압진단(p<.001), 당뇨병진단(p<.001), 이상지질형증진단(p<.001)에 따른 뇌졸중 진단유무와의 차이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뇌졸중에 영향하는 위험요인으로는 70세이상에서 오즈비가 8.861배, 주관적건강상태가 나쁜그룹에서 오즈비가 4.501배, 고혈압진단을 받은 그룹에서 오즈비가 3.158배, 당뇨병진단을 받은 그룹에서 오즈비가 1.598배 더 높게 나타났다. 뇌졸중은 위험한 만큼 예방을 통해서 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과 노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나타났다.

만성통증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심리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Chronic Pain)

  • 이수인;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09-217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통증 노인의 우울, 두려움-회피신념, 파국적사고와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우울, 두려움-회피신념, 파국적사고와 같은 심리적 요인이 만성통증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19년 3월 4일부터 2019년 3월 18일까지 A시 소재의 일개 신경과통증의학과 의원을 방문한 65세 이상 만성통증 노인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만성통증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에서 연령(F=3.464, p<.001), 배우자(t=4.545, p<.001), 건강상태(F=31.04, p<.001), 통증정도(F=14.7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만성통증 노인의 삶에 질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우울(${\beta}=-.25$, p<.001) 통증정도(${\beta}=.25$, p<.001), 파국적사고(${\beta}=-.28$, p<.001), 건강상태(${\beta}=-.19$, p<.001)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전체설명력은 49 %이다. 따라서 만성통증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우울, 파국적사고와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극적인 통증조절 및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대한 상실감, 우울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41-54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상실감 및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1개 시군구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지역별·유형별 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관(10개소) 이용자인 65세 이상 노인 400명 대상으로 1:1 심층면접 조사하여 총 36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과 Bootstrapping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인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실감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우울감은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차별경험과 상실감 및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연쇄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유료방송 영화 VOD 월정액 서비스 이용자의 가입유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의기반과 구속기반 메커니즘의 이원적 모형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the Users' Intention to Retain the Monthly Movie Subscription VOD in the Pay-TV:A Dual Model of Dedication-Based and Constraint-Based Mechanisms)

  • 조성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57-66
    • /
    • 2019
  • 본 연구는 유료방송 영화 VOD 월정액 서비스 이용자의 가입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가입 유지의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틀로는 이용자 만족에 따른 자의기반과 전환장벽에 의한 구속기반 메커니즘의 이원적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서비스품질 요인인 이용요금, 콘텐츠 다양성, 이용용이성을 설정하였고, 가입유지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용자 만족, 경제적 전환비용, 절차적 전환비용과 대안매력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데이터는 유료방송에서 영화 VOD 월정액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대상으로 2018년 5월 8일부터 5월 14일까지 3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SPSS25와 AMOS 21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요금, 콘텐츠 다양성, 이용용이성은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에서 이용요금이 이용자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이용 용이성이 그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의기반 메커니즘에서 이용자 만족은 가입유지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속기반 메커니즘에서 경제적 전환비용과 대안매력도는 가입유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절차적 전환비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to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하영미;양승경;최문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41-149
    • /
    • 2021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G시와 S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99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한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태도는 3.79±0.74점, 주관적 규범은 3.43±0.66점, 지각된 행위통제는 3.12±0.71점, 사용의도는 3.23±0.77점이였다. 지역사회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규범(β=.35, p<.001), 지각된 행위 통제(β=.35, p<.001)였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8.7%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사용 의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위의 변수를 고려한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 임동혁;양영수;최혜랑;최성준;남현주;한규진;홍석찬;김진국;조재훈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0권10호
    • /
    • pp.504-511
    • /
    • 2017
  •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specific immunoglobuline E (IgE) value for some respiratory antigens in Korean adults. Subjects and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0-2012). All subjects who were aged 19 years or older completed questionnaires on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The subjects were first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and then into age groups of 19-29, 30-39, 40-49, 50-59, 60-69, ${\geq}70$ each. The lifetime and current prevalence rates for allergic rhinitis,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were calculated for each age group. The total and specific IgE level for Dermatophagoides farinae (DF), cockroach, and dog dander were also calculated. Results Final participants of 17542 were analyzed for the prevalence rate among the total of 25534 participants. The mean IgE level was calculated from 2028 subjects from the final participants. In asthma, the lifetime prevalence and current prevalence increased with age, but decreased with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Total IgE level increased with age, but IgE level of DF reached its peak at 20-29 years, and then decreased rapidly thereafter. There was no clear trend for cockroach and dog dande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n adults varies widely by age group. Asthma has a low prevalence after age 20 and gradually increases after age 50.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are the most prevalent in their 20s and gradually decrease thereafter.

관광 SNS 효익이 관광 SNS 가치를 통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ourism SNS Benefits on the Customer's Intention to Reuse through the Value of Tourism SNS)

  • 김대석;홍정인;서영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26
    • /
    • 2021
  • 본 연구는 관광 SNS 효익의 하위요인(경제적 효익, 고객화 효익, 심리적 효익)과 관광 SNS 가치의 하위 요인(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관광산업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고객에게 지속적인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증대를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고객 유지 및 확보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통해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세 이상의 성인 326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SNS 효익 하위요인(경제적 효익, 고객화 효익, 심리적 효익)과 관광 SNS 가치의 하위요인(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의 관계에서 관광 SNS 효익의 하위요인이 관광 SNS 가치의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광 SNS 가치의 하위요인(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과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SNS 가치의 모든 하위요인이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관광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객 강화를 위한 장기적인 관계 형성이 필수이다. 모빌리티 앱(App)과 같은 콘텐츠를 개발하여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고객이 인지하는 관광 SNS 효익과 관광 SNS 가치를 극대화한다면 관광상품의 재이용의도가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에 관한 연구: Chatman의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Povert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Based on Chatman's Information Poverty)

  • 민수진;이용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1-261
    • /
    • 2022
  • 본 연구는 Chatman(1996)의 정보빈곤이론(Theory of Information Poverty)을 바탕으로 정보 빈곤이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정보빈곤의 개념을 은폐(Secrecy), 기만(Deception), 위험감수(Risk-taking), 상황적 관련성(Situational relevance)에 따른 정보 수용이라는 네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적응을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거쳐 2021년 8월 4일부터 8월 30일까지 북한이탈주민 지원 단체 <우리온>을 통해 국내 입국 후 최소 1년이 경과한 민법상 성년인 만 19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100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보빈곤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만" 변수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정보빈곤층으로 정의하고, 그들의 한국사회적응을 Chatman의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질적 연구를 수행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변수의 조작화를 통해 양적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Maternal and fetal outcomes of pregnancies in kidney donors: A 30-year comparative analysis of matched non-donors in a single center

  • Yoo, Kyung Don;Lee, Hajeong;Kim, Yaerim;Park, Sehoon;Park, Joong Shin;Hong, Joon Seok;Jeong, Chang Wook;Kim, Hyeon Hoe;Lee, Jung Pyo;Kim, Dong Ki;Oh, Kook-Hwan;Joo, Kwon Wook;Kim, Yon Su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
    • 제37권4호
    • /
    • pp.356-365
    • /
    • 2018
  • Background: Woman kidney donors face obstetric complication risks after kidney donation, such as gestational hypertension and preeclampsia. Studies on childbirth-related complications among Asian women donors are scarce.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woman donors aged 45 years or younger at the time of kidney donation in a single tertiary hospital between 1985 and 2014. Pregnancy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questionnaires for 426 pregnancies among 225 donors. Matched non-donor controls were selected by propensity score and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onors. Primary outcomes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complications, and secondary outcomes were fetal outcomes in pregnancies of the donor and control groups. Results: A total of 56 cases had post-donation pregnancies. The post-donation pregnancies group was younger at the time of donation and older at the time of delivery than the pre-donation pregnancies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imary outcomes between the groups except the proportion receiving cesarean section. Comparison of the complication risk between post-donation pregnancies and non-donor matched contro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al hypertension, preeclampsia, or composite outcomes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including age at delivery, era at pregnancy, systolic blood pressure, body weight,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io (odds ratio, 0.63; 95% confidence interval, 0.19-2.14; P = 0.724).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and fetal outcomes between woman kidney donors and non-donor matched controls were comparable. Studies with general population pregnancy controls are warranted to compare pregnancy outcomes for donors.

식이 질 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한 한국 성인의 식생활과 대사 위험인자와의 관련성: 2016 ~ 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dults Diet Evaluated Using Dietary Quality Indices and Metabolic Risk Factors: Based on the 2016 ~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딩총위;박필숙;박미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3-24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risk factors, Index of Nutrition Quality, and the dietary quality index score of Korean ad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8,652 Korean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7,899 males, 10,753 femal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pre-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 syndrome (MetS)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metabolic risk fac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About 44.7% of men in the MetS group were at least college graduates (P < 0.001), whereas 52.0% of women in the MetS group were middle school graduates or lower (P < 0.001). The frequency of fruit and dairy products intake tended to decrease as the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in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P for trend < 0.001). As the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decreased, the frequency of grain intake tended to decrease in men (P for trend < 0.001) while the frequency of intake of red meat (P for trend = 0.001), poultry (P for trend < 0.001), and eggs (P for trend < 0.001) decreased in women. The total scores of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men P < 0.001, women P < 0.01) and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men and women P < 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etS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the total score of DQI-I and KHEI tended to decrease as the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increased. Conclusions: Dietary quality evaluation using various indices can provide more information on the dietary problems related to metabolic risk factors. Nutrients and foods that have been confirmed to be related to metabolic risk factors can be used to develop dietary guidelines for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metabolic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