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stache rugosa O. Kuntz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성분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vaud and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 이승은;박춘근;차문석;김진경;성낙술;방경환;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6-211
    • /
    • 2002
  • 박하와 배초향 정유의 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그 성분조성을 GC-MSD 분석에 의해 실험한 결과 박하 정유의 주된 성분은 isomenthol로서 전체 정유성분 중 25.84%, menthol이 25.48%이었으며 배초향 정유에는 estragole이 79.83%, limonene이 0.12%함유되어 있었다. 2, 5, 10 mg 농도에서도.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 정유의 생육저해환은 $(9{\sim}14\;mm)$, 배초향 정유는 $(10{\sim}18\;mm)$, S. typhimurium ATCC 7988에 대해서는 박하 정유가 $(9{\sim}13\;mm)$, 배초향 정유가 $(13{\sim}20\;mm으로 나타나 두 정유성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생균수 측정 실험에서 박하 정유는 2 mg이하의 저농도에서 9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5 mg 이상의 농도에서는 9시간이후 E. coli O157 : H7 ATCC 43895와 S. typhimurium ATCC 7988을 모두 사멸시켰다. 배초향 정유는 2 mg이하의 농도에서 12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5 mg이상의 농도에서는 6시간이후 세균이 사멸되었다.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 성분의 항균작용을 전자현미경 촬영에 의해 확인한 결과 형태학적인 변화와 세포막과 세포벽의 분리 및 세포내용물 유실이 관찰되어 두 정유성분의 항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약추출박 시용이 배초향(Agastache rugosa O. Kuntze.)의 주요형질과 전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cinal Herbs Remnant Used as Fertilizer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Agastache rugos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8-144
    • /
    • 2010
  • 최근 한약추출박은 배출되는 양이 많아 쓰레기화 되어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한약추출박을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 첩약(貼藥)인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의 한약추출박 성분을 분석하였고, 여기에 배초향을 재배하여 비료로 시용한 후 생육특성과 전초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약추출박의 분석 성분 중 유기물은 89.6%가 함유되어 있었고, 염분은 0.1%로 약초의 생장에 지장이 없는 공정규격(1.0%)이하의 범위였다. 약초의 생장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료 3요소 중 질소는 2.8%가 함유되어 있었고, 인산은 0.6%, 그리고 칼륨은 0.5%가 함유되어 있었다. 미량성분으로 식물체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성분은 아연과 구리 등이 함유되어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한약추출박 성분은 유기물과 질소, 인산, 가리, 미량요소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유기질 비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한약추출박의 시용에 따른 배초향의 생육은 한약추출박 시용이 무시용보다 초장과 경직경이 크고, 엽수와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양호 하였고, 수량도 전초 1주중이 무거워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한약추출박의 시용농도는 30~50 g의 시용에서 효과가 인정되었으므로 추출박 30 g의 농도가 적정 시용 농도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약추출박은 배초향과 같은 전초이용 약초에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국산 방아잎(배초향, Agastache rugosa O. Kuntze)에서 항산화물질 로즈마린산의 분리, 동정 및 활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Rosmarinic Acid, a Potent Antioxidant Extracted from Korean Agastache rugosa)

  • 김종범;조강진;황영수;박노동;김정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62-266
    • /
    • 1999
  • 국내 식물자원 30 가지의 항산화활성을 탐색한 결과 방아잎, 형개, 택란의 m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방아잎의 건조분말을 methanol로 환류냉각 추출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순으로 용매분획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농축한 다음 Sephadex LH-20으로 chromatography하여 순수물질을 얻었다. 이물질을 ESIM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이 360임을 확인하였고, IR과 UV spectra에 의해서 phenol계 화합물임을 확인하였으며 NMR 분석에 의해서 이 항산화물질이 rosmarinic acid임을 확인하였다. 이 물질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돈지와 팜유에 대해서 BHT나 ${\alpha}-tocopherol$보다도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방아잎의 methanol추출물의 항산화력은 rosmary의 methanol 추출물과는 비슷하였으나, sage의 methanol추출물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 PDF

배초향으로부터 Grb2-Shc domain 결합저해 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Grb2-Shc Domain Binding Inhibition Component from Agastache rugosa)

  • 이은숙;안병태;이새봄;김혜경;복성해;정태숙
    • 생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4-408
    • /
    • 1999
  • SH2 domains and their associated catalytic or noncatalytic proteins constitute critical signal transduction targets for drug discovery. Grb2 associates with phosphotyrosine sites of the activated receptors or Shc via their SH2 domain to link receptor tyrosine kinases to ras signalling. Blocking of the Grb2-Shc complex may be to intervene the oncogenic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to develop a new antitumor drug. In the search for blockers of Grb2 SH2-Shc interaction, Lutein, a family of carotenoids, was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the leaf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as SH2 domain antagonists. The $IC_{50}$ of Lutein against Grb2-Shc binding was $6.8\;{\mu}M$.

  • PDF

배초향 종자처리가 발아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Treatment on Improved Germinability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 주형규;이정은;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5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optimal conditions for breaking dormancy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seeds. A series of experiments according to seed maturity and treatment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performed to improve germination percentage and synchronize germination of the seeds.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useful effect of seed treatment before sowing leads to healthy seedling and early vigorous growth. The average seed size was 1.85 mm (length) × 0.82 mm(width). The seed size was much smaller than other vegetable seeds. Seeds colorappeared dark brown, the shape of the seeds was oval and the weight of 1,000seeds was 352.8 mg.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2℃. Light exposure during germination did not affect germination promotion, suggesting that A. rugosa seeds are a kind of dark germinating seeds. Seed dormancy lasted for 40 days after harvesting, and GA3 treatment of dormant seeds could break dorma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te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seeds.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mature seeds was 10 - 18% higher than that of immature seeds, and germination rate was 2 days faster. GA3 treatment during growth regulator treatment improved germinability, but BAP or ethephone treatment did not. The optimal growth regulator concentration of for germination was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100 mM GA3 + 100 mM BAP.

배초향의 수확시기별 생육특성 및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의 변화 (Changes of Growth Characteristics, Rosmarinic Acid and Essential Oil Contents according to Harvest time in Agastache rugosa O. Kuntze)

  • 이성우;김정봉;김관수;김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3-88
    • /
    • 1999
  • 배초향 국내 수집종의 생육특성 및 수확시기별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종들의 개화기는 8월 13일${\sim}$8월25일로 진도 수집종이 가장 늦었고 초장은 $120{\sim}170cm$, 주당 분지수는 $13{\sim}21$개, 화방군(花房群)의 길이는 $10{\sim}15cm$였으며, 화방군(花房群)의 수(數)는 $13{\sim}22$개로 수집종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2. 수집종들의 부위별 건물수량 (kg/10a)은 꽃 $109{\sim}156kg$, 잎 $135{\sim}252kg$, 줄기 $421{\sim}932kg$, 뿌리$172{\sim}394kg$으로 꽃과 뿌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물수량은 개화 중기 (9월 20일)에 수확한 것이 가장 많았다. 3. 수집종들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꽃 $0.32{\sim}2.34%$, 잎 $0.97{\sim}1.64%$, 줄기 $0.03{\sim}0.21%$, 뿌리 $0.91{\sim}6.56%$로 뿌리의 함량이 가장 높고 줄기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4. 잎의 로즈마린산과 정유함량은 개화전(開花前)이 각각 3.76%, 5.78%로 개화후(開花後)의 1.55%, 2.10%보다 더 높았으며 지상부의 로즈마린산 함량은 개화전에 가장 높았으나 정유 함량은 개화말기에 가장 높았다.

  • PDF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 추출물들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 이부용;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용매혼합비율 등의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의 꽃, 잎, 줄기의 3가지 부위와 부위별 추출물들의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여 배초향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단백질함량은 꽃이 16.0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은 잎에 9.54%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다른 아미노산들보다도 로이신과 같은 필수아미노산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모든 부위에서 K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보다는 에탄올, 에탄올보다는 NaCl용액으로 추출할 때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부위 등에 상관없이 모두 15-20분 정도면 가용성성분이 거의 다 추출되었다. 추출물의 pH는 거의 중성에 가까웠고, 유리당도 에탄올추출물에만 매우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색도 및 관능검사 결과도 추출조건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초향의 3가지 부위의 추출물들은 추출용매의 종류나 농도, 온도별로 위에서 측정한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들이 절대적으로 어떤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더 좋다고 판단하기보다는 각기 다른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성들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소재로 사용하고자 최종제품의 특성이나 목적에 맞는 추출조건들을 앞에서 측정된 자료들을 참고하여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아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sition of Bangah(Agastache rugosa O. Kuntze) Herb)

  • 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5-378
    • /
    • 1991
  • 방아의 단백질 함량은 부위별로 볼 때 잎에서 14.90%로 가장 높았고 꽃대에는 10.63%, 줄기에서는 3.83%로 부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방함량은 $5.25{\sim}7.74%$의 범위로 부위별 함량이 비슷하였다. 회분은 잎과 꽃대에 각각 8.43%와 7.71%로 비슷하였으나 줄기에서는 1.42%로 현저히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당은 잎과 꽃대에서 각각 27.53%와 14.86%으로 함유되었고, 환원당은 각각 11.80%와 2.75%의 함량으로 부위에 따라 차이를 보이었다. 지방산은 각 부위에서 총 15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linoleic acid 등이 주된 성분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잎과 꽃대에는 linolenic acid 함량이 각각 35.45%와 52.77%로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은 잎과 꽃대에서 17종이 동정되었으며 tryptophan을 제외한 7종의 필수아미노산이 분포되어 있었고, 각 아미노산 함량별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등의 순으로 높게 함유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잎과 꽃대에서 각각 37.82%와 33.49%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잎에서 histid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alanine 등의 순으로 높게 함유되었으며 꽃대에는 serine, histidine, proline, glutamic acid, arginine 및 aspartic acid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의 조성은 Ca과 Fe를 제외한 Zn, K, Na, Mg, Cu 및 Mn 등이 줄기에 비하여 잎과 꽃대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광곽향(廣藿香)과 토곽향(土藿香)의 외부(外部) 및 내부형태연구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ical Standard of original plants and herbal states in Pogostemonis and Agastachis Herba)

  • 김홍준;최정;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2호통권17호
    • /
    • pp.75-83
    • /
    • 2006
  • Pogostemonis and Agastachis Herba are the whole of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 or 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 KUNTZE (family Labiatae) which is produced in all part of Korea and China. This drug is used for removing dampness by means of aromatics in oriental medicine. The standard formula of this drug is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the quality control. A characteristic discrim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ical standard in original plants and herbal states of Pogostemonis and Agastachis Herba are as follows. 1.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Pogostemon cablin has hairs and brown-like in stem, elliptical fruit. In the other hand, Agastache rugosa has no hairs and red-like in stem, obovatic trigone fruit. 2.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Pogostemon cablin is gray in whole, has hairs in stem and numerous hairs of ash in leaf. In the other hand, Agastache rugosa is yellow-green in whole, has no hairs in stem. Specially the latter has deep-green colour and numerous hairs presenting mostly at lower epidermis in leaf. 3.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currents: Pogostemon cablin is brown, has hairs and round-like stem. In the other hand, Agastache rugosa is green or yellow-green, has no hairs and tetragon in stem. 4.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Pogostemon cablin has progressed spongy tissue in epidermal cell of leaf and many rank of epidermal cell in stem. In other hand, Agastache rugosa has 1 rank palisade tissue in leaf and few rank of epidermal cell in stem. In the external shape, it was possible that herbs we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artificial classification and that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among herbs could be distinguished by more precise and active observation. In the shape of real herbs, I compared current herbs in market with original herbs which were just collected or were on the course of drying.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hat the internal shape could be identified by using microscope after butanol series. Though it was impossible to make distinction of herbs which are not current in my search contents, this search contents will be a standard for applying herbs in the future. An Additional standard establishment including physiochemical reaction and gene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fault of this 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