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ter parturition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2초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치어의 갑상선 분화 및 갑상선호르몬의 변화 (Differentiation of Thyroid Gland and Changes of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 during Early Development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정의영;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39-45
    • /
    • 2001
  • 조피볼락 갑상선 여포의 원시세포는 모체내 부화자어의 구강 아래쪽에 존재하는 때의 원형 여포 안에 존재하였다. 갑상선 여포는 구강 연골조직 아래쪽 제 1, 2,3 도입새동맥 부근에 흩어져 존재하고, 출산 직후에는 1${\sim}$3개 정도로 분화되어 있었다. 갑상선 여포의 수는 출산 직후(전장 6.3 mm)에 개체당 1.6${\pm}$0.8개였으며, 치어기로 전환하는 30일째에는 17.0${\pm}$2.1개, 50일째(전장 13.2 mm)에는 32.5${\pm}$6.9개로 그 수가 매우 많아졌다. 갑상선 여포의 직경은 출산 직후에 18.1${\pm}$0.6 ${\mu}$m였던 것이 출산후 30일째 30.5${\pm}$2.2 ${\mu}$m, 50일째 41.5${\pm}$1.7 ${\mu}$m로 그 크기가 증대되었다. 갑상선 여포세포의 높이는 출산직후 4.1${\pm}$0.2 ${\mu}$m, 20일째 5.7${\pm}$0.2 ${\mu}$m, 50일째 6.0${\pm}$0.2 ${\mu}$m로 성장하였다. 자치어의 전어체 내 갑상선호르몬을 분석한 결과, 난황을 가진 출산 직후에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난황이 완전 흡수되는 5일째에는 그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20일${\sim}$30일에 급격히 상승하여 50일째 최고치를 나타냈다. L-thyroxine (T$_4$)에 대한 3,5,3'-triiodo-L-thyronine (T$_3$) 농도는 출산 직후를 제외하고, 전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 PDF

한우의 생리적인 최적 번식적령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Age of Physiological Reproduction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이연근;최선호;장원경;이장형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9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생리적인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pm$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pm$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 $\pm$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pm$6.4일과 181.1$\pm$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 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 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 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 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후부터 포유 약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후 3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분만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14개월령과 체고 약 110cm, 체중 약 265kg 정도의 3가지 요건을 갖춘 후 초임유도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소형 애완견에서 초음파 검사에 의한 임신 구조물의 성장 곡선 (Growth Curve of the Gestational Structures by Ultrasonography Examination in Small Pet Dogs)

  • 오기석;김방실;박상국;박철호;김재홍;문병권;김희수;이주환;박인철;김종택;서국현;손창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7-153
    • /
    • 2008
  • Seri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s were daily performed from 15 days after ovulation until parturition to determine the growth curve of gestational structures in pregnant Maltese, Yorkshire terrier, Shih-tzu, and Miniature Schnauzer bitches, respectively. Gestational age was timed from the day of ovulation (day 0), which was estimated to occur when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 ng/ml. The inner chorionic cavity diameter were significantly and linearly relative to gestational age especially days 20 to 40, and the fetal hea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and linearly relative to gestational age especial1y day 40 to partur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ner chorionic cavity diameter were the most accurate for estimating gestational age before day 38 of gestation and the fetal head diameter were after day 38 of gestation.

한우 송아지의 초유섭취에 의한 수동면역 획득 상태 (A quantitative study of the transfer of colostral immunoglobulins to the newborn Korean native calf)

  • 김두;한홍율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5-81
    • /
    • 1989
  • The levels of the serum and colostral total protein and immunoglobulins of the Korean native cows immediately after parturition and colostrum-conferred passive immune status of the Korean native calves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The mean total protein, total immunoglobulin, IgG, IgM, and IgA concentrations in sera of 10 Korean native cows immediately after parturition were $6.8{\pm}0.4g/dl$, $24.39{\pm}3.41mg/ml$, $19.49{\pm}2.70mg/ml$, $4.56{\pm}1.14mh/ml$, and $0.35{\pm}0.08mg/ml$ respectively. And the mean total protein, total immunoglobulin, IgG, IgM, and IgA concentrations in colostrum were $15.0{\pm}1.1g/dl$, $116.13{\pm}23.07mg/ml$, $101.51{\pm}22.59mg/ml$, $9.46{\pm}1.99mg/ml$, and $5.17{\pm}1.59mg/m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protein and immunoglobulins in colostrum were 2.1 times to 14.8 times higher than those in serum.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protein, total immunoglobuln, IgG, IgM, and IgA in sera from 211 Korean native calves at 2 days old were $6.7{\pm}0.9g/dl$, $35.74{\pm}9.56mg/ml$, $29.06{\pm}8.07mg/ml$, $4.91{\pm}2.99mg/ml$, and $1,9{\pm}0.99mg/ml$ respectively. Although the calves had been suckled the dam's colostrum, each of calves was considerably various in levels of serum total protein and immunoglobulins and 16.1 percent of the calves were in a state of hypoglobulinemia.

  • PDF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Ditrema temmincki)의 임신기 동안 체내자어의 체액삼투압 및 모체 난소조직상의 변화 (Changes of the Osmolarity in Embryonic Body Fluid and the Maternal Ovarian Tissue of the Viviparous Teleost, Ditrema temmincki, during the Gestation Period)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7-164
    • /
    • 1996
  • 태생 경골어류 망상어, Ditrema temmincki의 임신기 동안 체내자어는 건중량과 체액삼투압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모체는 난소강액의 증가와 함께 난소 내부조직상의 현저한 변화를 나타냈다. 체내자어는 난황흡수 완료시기인 전장 6.0 mm부터 전장 60.0 mm 사이에 373.76mg의 건중량 증가를 나타냈으며, 체액삼투압은 출산직전인 전장 64.0mm에는 796.8mOsmo1/kg으로 나타났다. 모체의 난소외막은 수정 이후 뚜렷히 비후되기 시작하여 임신중기인 3월에 가장 비후되고, 난소습곡은 임신후기인 4월말에 가장 팽창되며, 혈관의 팽창 및 혈구의 증가는 출산직전에 최고에 달한다. 이와같은 변화양상은 임신기 동안 체내자어와 모체의 영양${\cdot}$환경적 적응현상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Dexamethasone을 투여(投與)한 Rat 유선조직(乳腺組織)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관찰(觀察) (A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n the Mammary Gland of Lactating Rat Injected with Dexamethasone)

  • 류시윤;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7
    • /
    • 1983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mammary gland of lactating rats and rabbits injected with dexamethasone. White rats were intramuscularly injected with 0.25mg, 0.5mg or 1.0mg of dexamethasone sodium phosphate (containing $9{\alpha}$-fluoro-$16{\alpha}$-methylprednisolone, 5.0mg/ml) daily for 3 to 10 days on the 3rd day after parturition and white rabbits were intramammary infused with 4mg or 20mg of dexamethasone daily for 4 days on 7th day after parturition.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mammary glands, ovaries and adrenal glands of rats and rabbits were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e. In the mammary glands of rats, the microscopic findings encountered were decrease of the milk in the alveolar lumina, necrosis and desquamation of epithelial cells, atrophy of alveoli,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thickness of alveolar walls, destruction of alveoli, presence of fat droplets within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and proliferation of adipose tissue, which were relative to the dose and duration of injection. Especially, in the cases of the administration of large doses or long duration, there were severe fibrosis and focal necrosis of glandular tissue. In the mammary glands of rabbits,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similar to those findings in the rats. The milk in the alveolar lumina was de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dose and duration of injection, while milk fat concentration regarded to increase.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ovaries, necrosis of granulosa cellos, vacuolization and necrosis of luteal cells, atrophy and necrotic foci in the corpora lutes were observed. In the adrenal glands, hyperemia, hemorrhage, vacuolization of adrenal cortical cells, necrotic foci and atrophy of adrenal cortex were observed.

  • PDF

2-DE and MALDI-TOF MS-based identification of bovine whey proteins in milk collected soon after parturition

  • Lee, Jae Eun;Lin, Tao;Kang, Jung Won;Shin, Hyun Young;Lee, Joo Bin;Jin, Dong 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635-643
    • /
    • 2018
  • Bovine milk is widely consumed by humans and is a primary ingredient of dairy foods. Proteomic approaches have the potential to elucidate complex milk proteins and have been used to study milk of various species. Here, we performed a proteomic analysis using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E) and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MALDI-TOF MS) to identify whey proteins in bovine milk obtained soon after parturition (bovine early milk). The major casein proteins were removed, and the whey proteins were analyzed with 2-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2-D PAGE). The whey proteins (2 mg) were separated by pI and molecular weight across pH ranges of 3.0 - 10.0 and 4.0 - 7.0. The 2-DE gels held about 300 to 700 detectable protein spots. We randomly picked 12 and nine spots that were consistently expressed in the pH 3.0 - 10.0 and pH 4.0 - 7.0 ranges, respectively. Following MALDI-TOF MS analysis, the 21 randomly selected proteins included proteins known to be present in bovine milk, such as albumin, lactoferrin, serum albumin precursor, T cell receptor, polymeric immunoglobulin receptor, pancreatic trypsin inhibitor, aldehyde oxidase and microglobulin. These proteins have major functions in immune responses, metabolism and protein binding. In summary, we herein identified both known and novel whey proteins present in bovine early milk, and our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alysis revealed their expression pattern.

Predicted functional analysis of rumen microbiota suggeste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postpartum subacute ruminal acidosis in Holstein cows

  • Yoshiyuki Tsuchiya;Ena Chiba;Atsushi Kimura;Kenji Kawashima;Toshiya Hasunuma;Shiro Kushibiki;Yo-Han Kim;Shigeru Sat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7.1-27.15
    • /
    • 2023
  • Backgr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stpartum subacute ruminal acidosis (SARA) occurrence and predicted bacterial functions during the periparturient period are still not clear in Holstein cows.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s of rumen fermentati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predicted bacterial functional pathways in Holstein cows. Methods: Holstein cows were divided into the SARA (n = 6) or non-SARA (n = 4)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y developed SARA during the first 2 weeks after parturition. Reticulo-ruminal pH was measured continuously during the study period. Reticulo-ruminal fluid samples were collected 3 weeks prepartum, and 2 and 6 weeks postpartum,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3 weeks before, 0, 2, 4 and 6 weeks postpartum. Results: The postpartum decline in 7-day mean reticulo-ruminal pH was more severe and longer-lasting in the SARA group compared with the non-SARA group. Changes in predicted functional pathways were identified in the SARA group. A significant upregulation of pathway "PWY-6383" associated with Mycobacteriaceae species was identified at 3 weeks after parturition in the SARA group. Significantly identified pathways involved in denitrification (DENITRIFICATION-PWY and PWY-7084), detoxification of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PWY1G-0), and starch degradation (PWY-622) in the SARA group were downregulated. Conclusions: The postpartum SARA occurrence is likely related to the predicted functions of rumen bacterial community rather than the alterations of rumen fermentation or flui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Therefore, our result suggests the underlying mechanisms, namely functional adaptation of bacterial community, causing postpartum SARA in Holstein cows during the periparturient period.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 Cuvier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ltured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Cuvier)

  • 최희정;홍경표;오승용;노충환;박용주;명정구;김종만;허준욱;장창익;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7-15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식산 볼락, Sebastes inermis Cuvier의 자 치어 시기부터 성어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여, 본 종에 대한 수산생물학적 연구 및 양식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50마리의 어미로부터 생산된 동일한 일령의 자어를 대상으로 산출 직후부터 1,350일째까지의 성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볼락에 있어서 산출 후 경과 일수(days after parturition, X)에 대한 전장(total length, TL)의 성장은 $TL=0.0217X\;(r^2=0.8867)$, 그리고 체중(body weight, BW)의 성장은 $BW=0.0001X^2+0.0713X\;(r^2=0.9858)$의 관계가 있었다. 또한 전장에 대한 체중의 상대성장은 $BW=0.0072TL^{3.4373}\;(r^2=0.9945)$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 후 경과일수(X)에 따른 눈지름(eye diameter, ED) 성장은 $ED=-2E-5X^2+0.0326X$ ($r^2=0.9886;$ X, 산출 후 기일)의 관계식에 따랐다. 전장에 대한 두장(head length, HL), 주둥이길이 (snout length, PHL) 눈지름(ED), 후두부길이(postorbital head length, PHL)와의 관계는 각각 $HL=0.2652TL\;(r^2=0.9758),\;SL=0.0613TL\;(r^2=0.9602),\;ED=0.0752TL\;(r^2=0.9715)$, 및 $PHL=0.2652TL\;(r^2=0.9501)$로 나타났다.

한우의 최적 번식적령기의 생리적 현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y of Optimal reproductive age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이장형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110-118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최적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생리적 현상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 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 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6.4일과 181.1±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각각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 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 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 후부터 포유 약 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 후 4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분만 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 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생후 일령 14개월령과 체고가 약 110cm, 체중은 약 265kg 정도인 3가지 요건을 갖춘 후에 첫 임신을 유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