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orestation of fire damaged are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 및 일제시대의 적지적수 사료 발굴 (Historical Documents on Proper Tree Selection System during the Periods of Chosun Dynasty and under the Japanese Rule)

  • 강영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41-347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적지적수 연구사에 관한 사료를 제시하였다. 필자는 조선시대의 임금에 대한 진상을 목적으로 한 적지적수사와 일제강점 초기의 간이적인 적지적수 연구 및 실시사례, 강점중기에 이르러서는 조선수목죽류 기후상적지도, 후기에는 속성수의 절지식재시험 및 지역별 조림수종 선발시험 등에 관한 주요 자료를 해외에서 수집 발굴하였다. 조선수목죽류 기후상적지도는 아직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자료로서 향후 우리나라 산지의 지원화 및 산불 피해지 복구조림, 남북통일을 대비한 북한지역 녹화사업의 기초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고유임상 및 식생연구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Virtual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복구 경관분석기법 개발 (Developing Landscape Analysis Method for Forest Fire Damaged Area Restoration Using Virtual GIS)

  • 조명희;이명보;김준범;임주훈;김성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5-83
    • /
    • 2004
  •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와서 산불 발생건수 및 피해지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불피해지 복원기술은 주로 사방복구와 조림 등 녹화기술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산불피해지를 중심으로 GIS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산불피해지의 공간 특성과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기법을 개발하고 virtual GIS의 활용을 통하여 공간정보자료가 산불피해지역 복원에 있어서의 경관생태학적 접근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적용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산불방지를 위해 GIS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하고, 조성된 내화수림대 및 연구대상지에 3D modeling 기법을 통하여 구축된 3D 수종을 적정하게 임분배치하였다. 아울러 지위지수분류곡선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에 경년에 따른 산림경관을 조성하였으며, virtual GIS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와 가장 유사한 3차원지형을 구축하고 tracking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 PD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in Bulgaria

  • Iliev, Nasko;Iliev, Ivan;Park, Young-G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291-301
    • /
    • 2005
  • Robinia pseudoacacia is one of most widely cultivated exotic species in Bulgaria. The total area of black locust plantations amounts to 2.9% of the total forest area of the country. 15.34% of the plantations are of management afforestations category, where the priority is given to timber production. They have been created on rich and moisture soils, which ar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species in order to achieve its biological potentials of high productivity. The rest of the available plantations in the country are planted on poorer and drier soils up to 600~800 m altitude. The high adaptive ability of the species to un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well as the high sprout potential was used for their creation. These stands are mainly done with the aim to protect and ameliorate damaged environments and production of small-size timber and fire woods. They are cultivated until 15-20 years and are revived by sprouts. Therefore the management goals searched, 45.69% of those forests are low productive and 38.97% with average productiveness. The present report deals with growth and productivity capacity of black locust plantations; production of sowing materials; production of reproductive and vegetative saplings for afforestation;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afforestation works; the management and use of black locust plantations as well as some more important diseases and pests affecting the species. The report is entirely based on Bulgarian scientific research works and experience with the Robinia preudoacacia. Recommendations for optimizing the use of species are given.

산불지역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식생복원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Consider Analysi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Burned Area)

  • 김정호;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0-414
    • /
    • 2007
  •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역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생태적 식생복원 모델을 제시하고자 2000년도에 산불이 발생하여 사방사업차원에서 잣나무, 자작나무 등을 조림한 영인산 자락 일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현존식생 조사대상지로 선정한 $1,152,404.3m^2$ 중 산불지역은 69.2%이었고 이중 관목숲이 24.67%로 가장 넓었다. 현존식생유형과 산불피해상태를 고려해 설정한 27개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분석한 결과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산불지역은 관목층 식생이 우점하였고 잣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곰솔군락, 졸참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나뉘어졌고 비산불지역은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종다양도는 산불지역이 $0.3679{\sim}0.5907$로 비산불지역 $0.5728{\sim}0.8865$보다 낮았다. 출현종수는 산불지역이 $5{\sim}8$종으로 비산불지역 $8{\sim}12$종보다 작았으며 개체수는 산불지역 ($156{\sim}465$개체)이 비산불지역($61{\sim}227$개체)보다 많았다. $100m^2$당 층위별 생육밀도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가 $1{\sim}8$주, 졸참나무가 $3{\sim}5$주,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 $2{\sim}4$주, 신갈나무 1주 등이 출현하였다. 토양의 경우 산불지역 pH가 5.45로 비산불지역 pH 5.25보다 높았다. 식생복원모델은 천이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졸참나무 중경목군락을 모델로 설정하여 식재종과 식재밀도 그리고 식재모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