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sthetic sense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1초

이브 생 로랑(Yves Saint Laurent) 작품에 수용된 예술과의 교류 (Interchange with Art Contained in the Works of Yves Saint Laurent)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2호
    • /
    • pp.283-295
    • /
    • 2011
  • This study deals with the interchange with art that is contained in the works of Yves Saint Laurent, and it is disclosed through his works that modern fashion is part of expressive art while pursuing creative function as a work of art. The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s, the pictures of his works and interviews posted in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magazines such as Vogue, Fashion News, Mode & Mode, Gap, Collections, etc. Regarding the scope of this study, it specifically deals with works he created from 1958 until 2002, when he announced his last col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with respect to Post-Impressionism, his works were greatly affected by van Gogh(who had used colors as active media in depicting his internal mental state) which gave birth to gorgeous and handicraft-like 'Couture-style clothes'. With respects to Fauvism, the works of Matisse also had an impact on Yves Saint Laurent, who added a sense of fauvism in his works through the use of colors, motif, or full reproduction of images from paintings. We see the influence of cubism upon Laurent when we examine his works of 'clothes with artistic value,' which utilized applique, beaded decoration, patchwork, embroidered patterns, relief-like ornaments, etc. using motif or objet much as we see in the works of Picasso and Braque, artists who expressed a new dimension of the formative arts. Laurent's use of neoplasticism, or plainness of painting, demonstrates a new formative art on the three-dimensional human body by using the works of Mondrian, which consist of black lines and primary colors, although generally Laurent's 'neoplastic'works differed from the works of Mondrian by more actively utilizing the lines and colors when designing dress and its ornament. In addition, the paintings and poems of surrealism artists and poets were directly used in the clothes or their images were sometimes borrowed. In order to express respect toward the spirit of surrealism and its artists, the human body motifs such as lips and eyes(which were frequently used by the surrealism artists) were applied to embroidery, printing and beaded decoration. Finally, being inspired by such Pop artists as Andy Warhol, Roy Lichtenstein and Tom Wesselman, Laurent further emphasiz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popular consumer image in his own work, resulting in the wide recognition of the designs of Yves Saint Laurent as representing the new wave of the Pop Art school.

에바 알머슨 작품 연구 -보편성의 미, 미술과 디자인의 탈경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Eva Armisen's Artworks -Focused on Beauty of Universality, Deterritorialization of Art and Design-)

  • 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35-447
    • /
    • 2016
  •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순수미술과 디자인과의 교류 및 융합 현상이 더욱 활발해 졌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스페인 출신의 예술가 에바 알머슨의 주요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시대 미술과 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그녀의 작품 세계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학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에바 알머슨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그녀의 작품의 주요 주제는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일상이나 동심보다는 인간 관계성, 즉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가져야 할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태도 등 사회성 측면에 더 비중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알머슨의 작품에서 특히 여성 성인 캐릭터가 전체 작품 중 등장 빈도가 가장 높고 각 작품 주제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캐릭터는 그녀이 심미적 원인, 시대적 특성, 문화적 요소가 어우러져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의 상황과는 다르게, 현재 알머슨의 작품 속 여성 인물이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으로서, 대중들이 미를 향유하는 영역이 순수미에서 보편성의 미로 변화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녀의 캐릭터적 여성 인물이 순수미술의 특성과 캐릭터 디자인의 특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점과, 알머슨의 작품이 갤러리에서 거래됨과 동시에 마트에서도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의 모습 갖추고 거래된다는 점 등에서 포스트모던작품의 특징인 미술과 디자인의 탈경계 현상이 알머슨의 작품에서도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녀 작품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 독창적인 조형요소, 아포리즘적 특성 등은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전북지역 교육자원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STEAM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opophilia Using Jeonbuk Educational Resources)

  • 윤마병;김학성;이종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41-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교육자원을 활용하여 토포필리아를 함양할 수 있는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 캠프에 적용했다. 토포필리아는 고향의 장소와 구체물에 대한 어린 시절의 아름답고 행복한 애착과 그리움으로 학생들에게 긍정적 정서를 형성하고 학습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 고추장과 한옥마을, 마이산 역고드름, 최북의 예술을 학습소재로 하여 8개의 체험활동과 2개의 탐방 프로그램으로 총 32차시 STEAM 수업 자료를 개발했다. 특히 공감각의 미학적인 경험과 감성적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수업의 재미와 자발적인 학습, 의미부여의 과정을 강조했다. 개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과학을 더 잘할 수 있다는 내적인 자신감(4점 만점 중 2.5점)과 과학에 대한 관심과 즐거움(3.3점)이 향상되었다. 즐겁고 자기주도적인 수업 참여로 이루어진 행복한 경험들은 가치인식과 의미부여 학습을 통해 아름다운 추억을 형성했다. 수업에 참여한 93.3%의 학생들이 토포필리아 과학캠프를 다른 학생들에게 적극 추천하고 싶다고 했고,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3.8점(5점 만점), 수업이 재미있고 흥미로웠다는 평가는 4.1점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PDF

일본 현대 산업직물에 나타난 신기술과 전통공예의 접목 경향 (A Trend of Combining New Technology and Traditional Craft in Modem Japanese Industrial Textiles)

  • 박남성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29-242
    • /
    • 2007
  • 일본은 전통적으로 수공예를 대단히 존중하여 뛰어난 공예기술은 대를 이어 전수되어 오고 있다. 현대 일본의 산업직물은 이러한 전통기술을 현대 과학기술과 접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재조합하여 미래와 전통의 양면가치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과 수공예의 접목은 신기술 개발이나 디자인에 있어 다양성과 독창성을 타나내고 있어 현대 산업직물의 중요한 경향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경향을 주도함으로서 현대 직물산업계에서 독자적 발전을 이룩한 일본 직물산업의 발전배경을 알아보고 이 새로운 경향이 제시한 현대 직물 개념과 조형적 혁신에 대해 고찰하여 현재와 미래의 창의적 직물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된다. 신기술과 수공예의 접목 경향은 1) 일본인의 전통문화 존중 의식과 선진 섬유산업에 대한 빠른 인식이 결합되어 출현하게 된 것으로, 전통 수공예는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갖게 되어 결국 직물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였다. 2) 현대 산업직물에 요구되는 고품질, 고기능, 고감도를 위해 직물의 첨단화, 예술화, 감성화를 추구함으로서 직물의 현대적 개념을 구축하였다. 3) 산업직물에 조형적 혁신을 이루어 표현의 다양화, 재료의 다양성, 재질감의 강조로 새로운 디자인 발상과 새로운 스타일의 창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일본은 전통과 신기술의 접목을 시도하여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독자적이고 수준 높은 미를 제시함으로서 미래 직물에 대한 가장 중요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한복에서 표출되는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감성 추출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to Measure Emotions Expressed by Traditional Korean Clothes (Hanbok))

  • 박은정;서종환;정상훈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61-72
    • /
    • 2018
  • 최근 들어 한복에 대한 문화수용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한복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문화수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한 한복이 일상복으로까지 확산되려면 한복의 기능성 측면뿐만 아니라 한복을 착용하면서 느끼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가져다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한복을 경험하면서 표출되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학, 언어학, 감성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연구결과와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수집한 182개의 감성어휘를 활용하여 델파이 기법과 적합성 평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복에서 표출되는 감성어휘 28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28개의 감성어휘는 한복에서 느끼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어휘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선택된 28개의 감성어휘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어휘들을 그룹핑하였다. 결론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6개의 요인에 적재된 감성어휘들은 각 요인에 적재된 감성어휘들의 공통적 특성에 따라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 등 6개 감성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6개의 감성 카테고리는 사용자들이 한복에서 느끼는 대표감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28개의 감성어휘와 6개의 대표감성은 한복에서 표출되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본 연구에서 추출한 대표감성을 이용하여 한복에서 느끼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스케일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숀 탠 (Shaun Tan)의 3D 애니메이션 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Metaphors Appeared on Shaun Tan's 3D Short Animation, )

  • 장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3호
    • /
    • pp.1-17
    • /
    • 2011
  • 본 논문은 최근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하며 국제무대에서 객관적인 작품성을 인정받은 숀 탠의 애니메이션 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단편 애니메이션 은 내용적 시각적인 면에서 많은 부분이 은유적인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분석의 방법은 언어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개념적 은유 분석틀'을 이용하여 스토리와 시퀀스를 분석하고, 개념들이 구조화될 때 파생되는 시각적 차원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각적 은유 분석틀'을 이용하여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이 관객과 소통하는 방식을 기존의 다양한 관점 중에서 은유라는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언어적 대상을 통해 애니메이션이 자신을 실현하는 방식, 애니메이션이 자기 조직화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 은유는 파편과도 같은 이미지들 간의 연계와 총체성을 생산하고 관객에게 창조적 소통을 유도하는 본질적인 수단으로 기능한다. 애니메이션 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은유들의 시동 동기로서 작용하는 본질적 의미는 현대인이 느끼는 상실과 그리움의 정서이며, 열차, 병뚜껑, 음식, 물품 처리소, 좁은 틈새 공간, 소속을 알 수 없는 분실물을 통해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의미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품 분석을 통하여 알아본 은유의 기능은 우선 미적 기능으로서 간결미와 신선미를 준다. 또한 경제적 기능으로서 장황한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며, 여러 가지 의미를 한꺼번에 내포한다. 그리고 창조적 기능으로서 은유가 새로운 의미생산의 도구로서 사용되었다. 즉 애니메이션은 단지 어린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오락적인 장르만이 아닌 사유와 소통의 도구로서 보다 폭넓은 대중들에게 감동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며, 이러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의미전달을 위한 장치로서 은유적인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세기 전반기 회화와 한국적 요소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캐쥬얼 웨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Early 20th Century Art and Korean Factor-focusing on Casual Wear-)

  • 전현경;송미령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3호
    • /
    • pp.511-522
    • /
    • 2001
  • Various art trends of the 20th century that contributed to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bstract art had showed the transition from the convention of mere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to the formative sensitivity emphasizing self-expression. Noticing that such trends had influenced the fashion industry to move toward a free and individualized style, this study attempts to express the formative way from the existing art to wear, especially, based on early 20th century paintings, 5 casual wears were made which applied korean materials and silhouettes that are functional, sample and show traditional korea bea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solution to expand the world market by producing dresses utilizing our own tradi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e global market and that derive inspiration from the formative of the sensitivity of the painting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t also aims to let national economy as a high-added industr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method and element of various styles of art such as Fauvism, Expressionism and Cubism,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to abstract art, clearly presented the direction toward the artistic liberation and made possible a new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of dress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Their ideas inspired the dress designers of the time with a reformative and creative sense of fashion and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era of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Second, the color and the simplicity of form of the early 20th century paintings are suitable fro utilizing a motive of functional dresses and express unique and concise modern beau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utilizing our tradition in contemporary dress can be a significant method of creation in which the uniqueness and creativity of Korean dress can be expressed, distinguishing it on the global scene, as well as inspire the originality and pride of our culture. Fourth, a possibility has been discovered. It is the functionality and uniqueness of aesthetic expression technique of the contemporary arts that can contribute to the fashion of tomorrow, by searching a modern fashion which was affected by the past and also by taking a look at the trend of modern fashion as the same field as casula wear.

  • PDF

고구려(高句麗) 고분벽화(古墳壁畵)에 나타난 문양(紋樣)과 상징성(象徵性)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about pattern and symbol shown in the mural painting of Koguryo dynasty's tomb)

  • 최혜정
    • 복식
    • /
    • 제13권
    • /
    • pp.51-72
    • /
    • 1989
  •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mental, philosophical aspects and the aesthetic sense of our ancestors through the study of the patterns pictured in the mural paintings of Koguryo dynasty's old tomb. To view the mode of construction in Koguryo dynasty from present angle,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patterns was done. As a result, I could fully understand the formative consciousness of our nation. 1. I defined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the mural paintings by putting some 70 mural aintings into the form of a diagram. 2. The cultural aspects of the mural paintings in Koguryo dynasty were characterized by the fusion of our primitive religion and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which were introduced from China. From this fact, I could inferred that Koguryo people were giving off the strong desire for the faith by means of the mural paintings. Further more I found that configuration of the patterns such as religious elements. 3. The types of the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is is, geometric type, natural type, cultural type and abstract type, Among these types, geometric type and natural type were nonsymbolic in nature but became cultured and abstracted in course of time. cultural pattern and abstract pattern got the symbolic meaning in the long run. Of all the constitution of the patterns represented in the mural paintings such as repeat constitution, left and right symmetric constitution, top and bottom symmetric constitution and rotary symmetric constitution,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constitution was mainly used and some monotony of left and right symmetric constitution. The analysis of motif which was got from the mode of the patterns showed that the mixing of symbolic and nonsymbolic patterns made it possible to regard the separate symbol as compound in nonsymbolic patterns and the combination between nonsymbolic patterns ensured the understanding of other patterns in certain cases. Our ancestors made great efforts to transmit certain meaning symbolically. Also to heighten the symbolism, they drew the meangless patterns firstly and then appended meaning to those patterns secondly. Furthermore, they offered the background to the patterns comblined with symbolism, so that meaning transmission was clarified at last. As mentioned above, the patterns shown in the mural paintings of Koguryo dynasty's old tomb were characterized by natural beauty. And natural beauty was found out clearly in the form and constitution of the patterns. Therefore I concluded that our nation's religious, philosophical tradition was acted on the patterns strongly.

  • PDF

댄스필름의 역사와 영상기법에 대한 연구 : 빔 반데키부스(Wim Vandekeybus)의 <블러쉬(Blush)>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Dancefilm: Focusing on the Wim Vandekeybus's Blush)

  • 박유정
    • 트랜스-
    • /
    • 제1권
    • /
    • pp.45-66
    • /
    • 2016
  • 융·복합이라는 시대사조에 발맞추어 댄스필름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영상기법에 대해 분석한다. 댄스필름은 무용이 영화라는 장르와 명백하게 결합하여 생성된 장르임을 이해하고 댄스필름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영화적 문법이 어떻게 사용되었고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나아가 댄스필름의 가치를 파악하고 장르특성규정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댄스필름 문법에 대한 분석과 자료가 미비하여 연구를 위해 영화에서 사용하는 기법을 차용하여 영상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작품은 빔 반데키부스의 Blush를 선정하여 분석하는데 연구 제한점이 있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영화의 기본 문법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연출에 반영하였으며 무용을 기반으로 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작품들이 영상기법을 활용하는 방식에서도 감독의 예술 성향에 따라 차별성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또한 영화적 문법의 시용으로 움직임의 효과를 배로 증진시켰으며, 표현의 목적을 강조하여 주제가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영상문법을 통한 정확한 의도전달은 창작자와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용장르의 대중화에 기여를 할 것이며 융·복합 시대에 무용장르가 생존 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댄스필름이 현재보다 다양한 스토리를 가지고 제작된다면 문화산업으로써 자리매김 할 수 있으며,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정평면적 카메라 앵글이 갖는 우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eatorism of Frontal-Flat Camera Angle)

  • 이용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263-288
    • /
    • 2013
  • 본고는 영화에서 정평면적 앵글의 특성이 내포하는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제한적 카메라 앵글은 수용자로 하여금 무언지 모를 긴장감을 갖게 하는데, 본고는 그 긴장감이 우연성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본다. 본고는 하나의 서사물에서 그 우연성이 어떤 가치 면으로 어떻게 작용하여 어떤 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담론적 고찰이다.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은 내러티브를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영화 자체의 미학적 가치에 접근하자는 주장을 해 왔는데, 이는 감각적인 각성이 지나친 감정이입을 막고 반성적 사유를 하게 한다는 브레히트의 소격화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영화에서 시각적인 각성은 내용과의 관련에 따라서 때로는 반성적 사유보다는 더 깊은 관조로의 침잠을 유도하기도 한다. 본고는 정평면적 앵글이 쓰인 영화의 쇼트들 속에서 우연성의 가치를 조형적으로, 내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연성에 대한 좀 더 세밀한 정의를 제시한다. 왜냐하면 회화, 사진 같은 정지영상에서 언급되어 왔던 우연성과 서사극에서 말하는 우연성이 성질을 달리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형식상의 우연과 내용상의 우연으로 분류되어 고려되어질 것이다. 그리고 사실상 영화에서 '정평면적 앵글'의 조형적 범주가 무척 애매하므로 가능한 한 몇 개의 제한을 둠으로써 그 범주를 최대한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사례분석은 형식과 내용 면을 구분하여 담론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영화의 정평면적 앵글은 일차적으로 시각적 각성에 의한 주목성의 효과를 갖기는 한다. 하지만 감각적 각성이 항상 서사적 가치의 약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전체 내용에 대한 사건의 인과성에 따라 정평면적 앵글이 갖는 우연성은 각성이 아닌 몰입의 가치에 봉사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