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stem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8초

생육시기별 광량조절이 인삼의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Transmittance Control on the Growth Status of Aerial Parts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anax ginseng)

  • 천성기;이태수;윤종혁;이성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202-206
    • /
    • 2003
  • 전 생육기간동안 해가림내의 투광율을 약 8%로 고정한 대조구와, 생육시기별로 투광율을 6%와 18%로 조절한 투광량 조절구의 해가림밑의 미기상, 지상부 생육 특성 및 광합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가림내의 투광율을 고정한 대조구는 P.E4중직(흑1+청3) 차광망을 피복하여 약 8% 투광율을 전 생육기간동안 유지하였고, 투광량조절구는 P.E 차광망을 사용하여 7∼8월에 투광율을 6%, 4∼6월과 9∼10월의 투광율 18%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투광량조절구는 저온기인 생육초기(4∼6월) 및 후기(9∼10월)에 대조구보다 최고기온, 누수율 및 토양수분함량이 높았으나, 고온기인 생육중기(7∼8월)에는 최고기온, 누수율 및 토양수분함량이 낮았다. 투광량 조절구는 대조구 보다 생존율이 높고, 경직경이 굵었으며, 경장이 짧고, 엽면적 지수가 낮고, 줄기도 90$^{\circ}$로 직립하였다. 투광량 조절구는 대조구 보다 엽록소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비엽중(S.L.W)과 기공개도가 증가되었고, 일중 순광합성량이 26% 증가되었다. 광량조절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점무의병 이병율과 낙엽율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인삼에서 조기 화경출현개체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Early Peduncle Developing Plant in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남기열;김요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2-97
    • /
    • 1989
  • 2년생 인삼에서 화경출현 개체와 비화경출현 개체를 구분 선정하여 이들 개체간의 년생별 생육 및 개화특성 그리고 형질간 상관관계를 비교 조사하여 화경출현 개체의 육종소재로서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시험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년생에서 화경출현 개체는 비화경출현 개체에 비하여 경장, 엽장이 크고 장엽수가 많으 개체군에서 화경출현률이 높았다. 2. 2년생 시 화경출현 개체는 3,4년생에서도 2년생과 같은 경향으로 비화경 개체에 비하여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염실률, 근량도 증가되었다. 3. 착과수 및 근종과 상관이 높은 지상부 형질은 경직경, 경장, 엽장, 장엽수 등이었다. 4. 2년생 화경출현 개체의 3년생 지상부 형질 상관은 2년생 비화경 출현 개체의 4년생 지상부 형질상관과 진상을 보였다.

  • PDF

야생 산삼 지상부 및 지하부의 화학성분 분석과 피부 항노화 효능 평가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for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Wild Ginseng and Evaluation of Skin Anti-aging Efficacy)

  • 노석선;이광진;김병현;황보경;김효진;장윤희;유재군;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5-95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e chemical profiles of aerial(leaf, stem) and underground(rhizome, radix) parts of wild ginseng, and to investigate their anti-aging effects on human skin cells. Methods : Wild ginseng, estimated for over 20 years, was divided into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Total phenolic contents of each extracts were measured using a Folin-ciocalteu method. The contents of 18 amino acids, 8 minerals and 27 ginsenosides were determined by GC-FID, ICP-MS and LC-MS, respectively. The anti-aging effects, includ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ctiv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on human fibroblasts, an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n human keratinocyte progenitor cells, for the whole plant and underground part of wild ginseng were evaluated. Results : The total phenolic acids, amino acids, and minerals in the aerial part we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in the underground part. Compared to the cultivated ginseng roo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ginsenosides in both parts of wild ginseng, and the total amount was more than twice as high. In particular, the aerial part significantly contained ginsenoside F1, F2, C-Mc1, and C-O, and the distinctive patterns that distinguish each parts of wild ginseng from the cultivated ginseng root were derived. The whole plant and underground part of wild ginseng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effect(14.3-45.6%), activa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105.5-120.1%), and cell proliferation(112.1-125.4%). Conclusions : The entire plant and underground part of wild ginseng are high value-added plants and have beneficial effects on skin anti-aging properties through its abundant metabolites.

자연광기상실에서 인삼생육에 대한 광질의 영향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Growth of Panax ginseng in a Phytotron With Natural Light)

  • 박훈;이미경;안상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65-168
    • /
    • 1989
  • 묘삼을 분재배하여 인공기상실 $15^{\circ}C$ 자연광실에서 여러가지 색의 셀로판지를 차광재로로 5~10%의 투광율로 재배하였다. 상대근중9최종생근 중/최초 생근 중)은 청>녹>백>황>적의 순서였다. 지상부 생육 특히 경장은 청색 광하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상대근중은 경장과 부상관을 보였으며 이 관계에서 각 광질은 특수한 영역을 보여 청과 녹이 한 군, 적과 황이 다른 한 군으로 분리되었다. 경장은 주당엽 면적과 전체 또는 각개의 광질내에서 정상관을 보였는데 적색 광에서만 유의성이 없었다. 잎중의 엽록소 a 및 b의 함량 또는 엽록소 a/b 비율은 백>청>녹>적>황의 순이었으며 엽록소 a와 b간, 전엽록소와 a/b 비율간 a/b 비율과 엽록소 a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 정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사실들은 청색 차광자재가 인삼생산에 유리할 것임을 보여준다.

  • PDF

고려인삼의 근아휴면타파와 생육에 대한 Gibbrerllin과 Kinetin의 효과 (Effect of Gibberellin and Kinetin on Bud Dormancy Breaking and Growth of Korean Ginseng Root (Panax ginseng C.A. MEY.))

  • 박훈;김갑식;배효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05-112
    • /
    • 1979
  • Effect of gibberllin on the breaking of bud dormancy of root and growth of aerial parts were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 for the prolongation of shoot growth duration, shortening of fruit bearing age and the increase of root yield. Drop application of GA (0.5ml of 50ppm) on rhizome of one year old root broke bud dormancy better than by low temperature. Soaking for one hour of one year old roots which wintered in the field in GA (50-200ppm) greatly accelerated the emergence of new buds while kinetin was only effective at low level (50ppm). GA substantially increased stem length in early stage and petiole length later on while kinetin increased stem diameter. Under the field condition with polythylene film tunnel (PET) in early spring the soaking in GA (50ppm for 1 hour) of rhizome of 4 year old root with replanting and dropping GA (50ppm, 1ml) on rhizome without replanting brought earlier emergence (29days)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usual field. PET alone caused 14 day-early emergence. GA increased the length of stem and petiole only in early stage and replanting decreased only petiole length in later stage. Soaking in GA with replanting caused the Pronounced decrease in peduncle length, percentage of (ruin set and dry weight of reproductive organ (fruits and peduncle). Dropping without replanting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nly in dry weight of reproductive organ. Fruit maturing was 20 days earlier than in usual held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GA and PET. It is well expected that GA could be used for early emergence of bud, shortening of root dormancy period, thinning of fruit and higher root yield according to application amount and methods.

  • PDF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Pseudostellaria in Korea)

  • 조현;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5-178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에 분포하는 개별꽃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형태학적인 측면에서 재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현개별꽃(Pseudostellaria ${\times}$ bohyeonsanensis)과 설악개별꽃(P. ${\times}$ seoraksanensis)은 꽃받침 가장자리와 중륵에 털이 있고 꽃잎은 5장이며 개화기 이후 줄기가 덩굴성으로 되는 특징을 덩굴개별꽃(P. davidii)과 공유하나, 보현개별꽃은 소화경이 길고, 설악개별꽃은 소화경의 길이가 짧아 구별되며 둘다 종자 결실을 못한다. 태백개별꽃(P. okamotoi var. longipedicellata)은 결실기 소화경의 길이와 줄기 기부까지 굽는 특징, 폐쇄 소화경의 길이가 길다는 점에서 지리산개별꽃과 유사하나 괴경이 가는 방추형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고, 꽃잎이 5-9장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가거개별꽃(P. palibiniana var. gageodoensis)은 꽃의 수와 위치, 꽃잎의 수, 소화경의 길이 등에서 큰개별꽃과 유사하나 소화경에 1-2줄의 털이 있고, 꽃받침 길이와 너비, 꽃잎의 길이와 너비가 더 크고, 개화기에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분지되는 특징을 보인다. 비슬개별꽃(P. ${\times}$ biseulsanensis)은 태백개별꽃과 개별꽃의 중간형으로 괴경과 연결된 지상부 개체가 하나이고 정단부에 꽃이 한개만 피며, 꽃잎은 요두 또는 결각상이며, 소화경에 1줄의 털이 있고,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정영개별꽃(P. ${\times}$ segeolsanensis)은 지리산개별꽃과 큰개별꽃의 중간형으로 괴경과 연결된 지상부 개체가 다수이고, 정단부에 꽃이 한개 피며, 소화경에 털이 1-2줄 있고, 종자 결실된다는 점에서 비슬개별꽃과 구별된다. 따라서 한국산 개별꽃속 식물은 이번 연구를 통해 8종 4교잡종 2변종 5품종으로 정리되었다.

인삼의 근, 엽 및 경의 일반성분, 용매별 엑기스 및 사포닌 함량 비교 (Content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Saponins in Root, Leaf and Stem of Panax Ginseng)

  • 김석창;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18-122
    • /
    • 1987
  • 인삼의 재배과정중에 부산물로 산출되는 지상부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엽과 경의 반성분, 용매별 엑기스 및 사포닌함량을 근의 함량과 대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엽은 총당의 함량이 21.5%로 근보다 낮았으나 조직유질, 조지방질 및 회분은 각각 9.41%, 3.43% 및 6.83%로 높았다. 경은 조직유질이 39.2%로 현저하게 많았고 총당과 조단백질은 22.7% 및 8.54%로 근보다 낮았다. 2. 용매별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용매의 극성이 클수록 높았으며 근과 경에 비하여 엽은 methanol 및 ehanol 추출물의 수율이 35.9% 및 27.3%로 현저하게 많았고, acetone 및 ethyl acetate추출물도 5.64% 및 3.52%로 높았으며 그 외의 비극성 용매의 추출물의 수율도 대체로 높았다. 3. 총 조saponin의 수율은 근과 경은 4.78% 및 2.22%였으나 엽은 19.58%로 현저하게 높았다. HPLC에 의한 분석결과 엽에는 ginsenoside-Rg1(3.32%), -Re(3.24%), -Rd(2.32 %), -Rc(0.65%), -Rb2(0.92%), -Rbl(0.29%), and -Rf(0.11%)가 함유되었고, 경에는 ginsenoside-Rgl(0.28%), -Re(0.3%), -Rd(0.05%), -Rf(0.11%)외에 미량의 -Rbl, -Rb2, -Rc가 검출되었다. 특히 엽은 총 saponin과 ginsenoside-Rg1, -Re 및 -Rd외에도 -Rc와 -Rb2의 함량이 높아서 이들 성분의 분리용 시료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Helicobactericidal Activity of Cissus quadrangularis L. Variant I

  • Austin, Anoop;M, Jegadeesan;R., Gowrishankar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5호
    • /
    • pp.217-219
    • /
    • 2004
  • Cissus quadrangularis L. variant I (Family: Vitaceae), the common variant with square stem is widely used for peptic ulcer disorders (PUD) in traditional medicine. Aerial parts were collected during flowering and vegetative seasons and analysed. Aqueous (hot and cold) and solvent extracts (acetone, chloroform and ethanol) were screened for their anti-Helicobacter pylori (Hp) activities. Among them chloroform extract was observed to recover bioactive principles markedly with low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al lethal concentration (MLC). MIC was $30\;{\mu}g$ in both samples and MLC was $35\;{\mu}g$ for vegetative and $30\;{\mu}g$ for flowering seasons, respectively. Extracts from samples collected during flowering season were better than thse of vegetative season.

불두화 지상부의 진통소염작용 및 간 보호 효과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erial part of Viburum sargentii for. sterile)

  • 허연구;강자훈;이숙연;임동술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26
    • /
    • 2007
  • Leaves and stem of Viburnum sargentii for. sterile(Caprifoliaceae) has been used as therapeutic agents as a pain of the joints, skin disease as styptics, analgesics for traditional folk medicines.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analgesic, anti-inflammatory,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its m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butanol fraction. Among them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inflammation and writhing test.

First Report and Characterization of Pestalotiopsis ellipsospora Causing Canker on Acanthopanax divaricatus

  • Yun, Yeo Hong;Ahn, Geum Ran;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366-370
    • /
    • 2015
  • Acanthopanax divaricatus, a member of the Araliaceae family, has been used as an invigorant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uring disease monitoring, a stem with small, irregular, brown lesions was sampled at a farm in Cheonan in 2011. The symptoms seen were sunken cankers and reddish-brown needles on the infected twig. The isolated fungal colonies were whitish, having crenated edges and aerial mycelium on the surface, and with black gregarious fruiting bodies. The reverse plate was creamy white. Conidia were $17{\sim}22{\times}3.5{\sim}4.2{\mu}m$, fusiform, 4-septate, and straight to slightly curv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partial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gene of the fungal isolate, shares 99% sequence identity with that of known Pestalotiopsis ellipsospor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e fungal isolate was identified as P. ellipsospora. In Kore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anker on A. divaric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