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Imag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9초

적응적 피부색 검출과 에지 정보를 이용한 유해 영상분류방법 (Adult Image Classification using Adaptive Skin Detection and Edge Information)

  • 박찬우;박기태;문영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1호
    • /
    • pp.127-132
    • /
    • 2011
  • 본 논문은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적응적 피부색 검출 방법으로 생성된 피부색 영역과 에지 정보의 결합을 특정 벡터로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유해(누드, 성인물)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네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기존의 피부색 검출 방법들을 적용하여 얻은 모든 결과 영상들에 대해서 논리곱 연산을 통해 초기 피부색 영역을 검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초기 피부색 영역의 화소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색 확률 분포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피부색 확률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피부색 확률 영상에 임계값을 적용하여 이진화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이진 피부색 영역과 에지의 결합 영상을 생성하고 피부색 영역을 확산하여 최종 피부색 영역을 검출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최종 피부색 영상과 최종 피부색 영역 안에 있거나 인접한 에지들의 결합 영상을 특정 벡터로 생성한다. 생성된 특정 벡터를 support vector machine(SVM) 학습을 통해 생성된 분류 모텔로 입력 영상의 유해 여부를 판별하여 유해 혹은 무해 영상으로 분류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유해 영상 분류 방법에 비해 분류 성능이 9.6%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옷차림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특성 연구 - 성인여성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Properties Affecting in Wearing - Focused on Adult Women's Town Wear -)

  • 이은령;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49-55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properties affecting in evaluated image by adult women's town wear in un-limited circumstance. The stimulus, adult women's town wear, were collected from shopping mall, department stores and churches and evaluated by 20's 150 people. Through the estimations, the 76 pictures of 'good image' and 65 pictures of 'bad image',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classification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ood Image' is classified 6 groups which are like active casual, feminine casual, adult casual, modern, sporty casual, and elegance. 2) "Bad Image' is classified 5 groups which are like easy casual, active casual, soft casual, modern casual, and feminine casual. 3) Central code of adult women's town wear from 'Good Image' are simple, bright, and harmony and 'Bad Image' are complicate, heavy, and inharmony. The coordination, how to wear,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image of women's town wear with other properties. Also, body shape appeared by important variable in evaluation.

인터넷에서의 유해 이미지 컨텐츠 등급 분류 기법 (Classification Method of Harmful Image Content Rates in Internet)

  • 남택용;정치윤;한치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3호
    • /
    • pp.318-326
    • /
    • 2005
  • 본 논문은 인터넷 둥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 이미지를 그 특징을 이용하여 무해, 선정, 유해(누드), 심한 유해(성인물)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의 등급으로 선별하기 위한 이미지 특징 추출 방법과 이미지분류 기술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입력 이미지에서 유해 정보임을 인식하기 위한 피부 영역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노이즈를 줄이고 효과적으로 유해성 정도를 추출하기 위해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그 관심 영역 안에서만 특징을 정의하는 관심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4 종류의 등급으로 선별하기 위해 유해 이미지 분류 모델을 생성하는 다중 SVM 학습 기법과 생성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타의 유해 등급을 분류하는 다중 SVM 분류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피부색 영역 이미지의 형태 정보와 피부색 비율 이미지의 색깔정보를 합하여 만든 피부색 가능성 분포 이미지를 제시하고, 이 피부색 가능성 분포 이미지를 축소하여 학습 과정에서 특징 분류를 위해 이용하는 이미지 특성 벡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해 이미지 등급 선별 기법을 적용한 실험 결과와 이미지의 유해 둥급 분류에 대한 판별 성능을 평가한다.

점포 이미지에 의한 패션점포의 유형화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Apparel Stores in Seoul, Korea)

  • 김현숙;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5-168
    • /
    • 199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image dimensions of apparel stores according to how the consumers rate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2) to classify the apparel stores in Seoul, Korea according to consumers' perception of the image attributes of their preferred store; (3) to develop a positioning map of the apparel stores according to their salient image dimensions; and (4) to classify the female adults in Seoul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ir preferred store an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customers according to storetyp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store patronag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store image attributes, perception of the store image attributes for the respondent's most frequently patronized store, and demographic information. Data from 520 female adults living in Seoul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mage dimensions of fashion stores were product quality, shopping convenience, location, promotion, atmosphere, product information, design characteristics and price. 2. The apparel stores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by the perception of store image, which were labeled as national chain store, designer store, specialty store, wholesale store and independent store, according to their discriminant characteristics. 3.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map, product quality and location convenience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apparel store type patronage criteria. 4. The female adult group divided by store preference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Each group showed multi-store patronage.

  • PDF

Optimised ML-based System Model for Adult-Child Actions Recognition

  • Alhammami, Muhammad;Hammami, Samir Marwan;Ooi, Chee-Pun;Tan, Wooi-Haw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2호
    • /
    • pp.929-944
    • /
    • 2019
  • Many critical applications require accurate real-time human action recognition. However, there are many hurdles associated with capturing and pre-processing image data, calculating features, and classification because they consume significant resources for both storage and computation. To circumvent these hurdles, this paper presents a recognition machine learning (ML) based system model which uses reduced data structure features by projecting real 3D skeleton modality on virtual 2D space. The MMU VAAC dataset is used to test the proposed ML model. The results show a high accuracy rate of 97.88% which is only slightly lower than the accuracy when using the original 3D modality-based features but with a 75% reduction ratio from using RGB modality. These results motivate implementing the proposed recognition model on an embedded system platform in the future.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유해영상 분류 (An adult image classification using Haar-like feature)

  • 박민수;김용민;박찬우;박기태;문영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2-373
    • /
    • 2011
  • 인터넷 매체가 급증함에 따라 많은 이들에게 쉽게 노출 되어 유포되고 있는 유해 영상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류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유해 영상 내의 피부색 영역에서의 Haar-like 특징을 추출하여 유해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단계에는 샘플 영상에 대하여 기존에 제안된 피부색 검출 방법을 적용하고, 두 번째 단계에는 검출된 피부색 영역 내의 Haar-like 특징을 추출한다. 각 샘플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들은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각각 2000 장의 유해, 무해 영상을 학습한다. 학습된 모델은 유해 및 무해 영상이 혼합되어 있는 영상 집합들을 분류하는데 사용한다.

인공지능 기반의 백내장 검출 플랫폼 개발 (Ai-Based Cataract Detection Platform Develop)

  • 박도영;김백기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0-28
    • /
    • 2022
  • 인공지능기반의 건강 데이터 검증은 임상 연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필수 요소가 되었다. 미국 식품의약 관리국이 의학진단 분야 중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성인 당뇨병 환자의 경증 이상 당뇨병성 망막증을 감지하는 의료기기 마케팅을 승인한 이래, 인공지능을 이용한 테스트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에서 지원하는 Teachable Machine 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모델을 생성하고, 학습을 통한 예측 모델을 완성하였다. 이는 현재 만성질환의 환자들 중 발생하는 안구 질환 중 백내장의 조기 발견하는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눈 건강을 위해 헬스케어 프로그램으로 안 질환 예방을 위한 디지털 개인건강 헬스케어 앱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