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renal gland neoplasm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척추와 대동맥주위 림프절로 전이한 거대 갈색세포종 (Huge pheochromocytoma presented with paraaortic lymph node and spine metastases)

  • 박연원;문한주;한정석;한지민;박종욱;구윤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47-253
    • /
    • 2017
  • Approximately 10-15% of pheochromocytomas are malignant. There are insufficient histologic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t pheochromocytoma. Thus, the term malignant pheochromocytoma is restricted to tumors with local invasion or distant metastases. We experienced a case of malignant pheochromocytoma recurred with spinal metastasis 4 years after the surgery for huge benign pheochromocytoma. A 68-year-old female was admitted for trunk and back pain.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surgery 4 years ago for a $10.0{\times}9.5{\times}7.5cm$ sized benign pheochromocytoma at the left adrenal gland. A thoracolumb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tumor in the 7th thoracic vertebral body and a 24-hour urinary norepinephrine increased, suggesting metastatic recurrence of malignant pheochromocytoma. After metastasectomy in the 7th thoracic vertebral body, urine catecholamine was normalized and pain also disappeared. However, a metastatic lesion was found in the paraaortic area on a follow-up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and an additional metastasectomy was performed. The pathology confirmed the diagnosis of metastatic pheochromocytoma in the paraaortic lymph nodes. She is supposed to be treated with adjuvant iodine 131-meta-iodobenzylguanidine therapy. In our experience, a close follow-up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ho had a huge benign pheochromocytoma due to the possibility of malignant metastases.

원발성 폐암에서 혈장 과립구 자극인자의 암표지자로서의 역할과 의의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Biomarker for Plasma G-CSF in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 송정섭;김소영;조향정;이강규;신정현;신성남;김동;박성훈;이영진;고창보;이미경;최순호;정종훈;박정현;김휘정;김학렬;정은택;양세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44-450
    • /
    • 2009
  • 연구배경: 폐암은 진단 당시에 완치할 수 있는 확률이 적어 예후가 불량한 종양으로 알려져 있어, 폐암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암 표지자(tumor marker)의 발굴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폐암에서 아직까지 특이적인 항원이 없고 현재까지 알려진 많은 종양관련 항원들의 민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 혈장 G-CSF를 측정하고 암의 진행 및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된 100명 환자와 건강 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127명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정상인에서 혈장 G-CSF 농도는 12.2$\pm$3.6 pg/mL (mean$\pm$SD), 폐암환자에서는 46.0$\pm$38.0 pg/mL였다(p<0.001). 비소세포폐암에서 G-CSF 농도는 유의하게 소세포폐암보다 높았으며(p<0.05), 비소세포 폐암중 대세포 폐암이 가장 높았고, 편평세포암, 선암, 세기관지폐포암 순이었다. G-CSF 농도는 국소형보다는 진행형 비소 세포폐암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다발성 전이에서는 뇌, 부신, 골 전이 순으로 혈청 G-CSF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결 론: 혈장 G-CSF 농도는 폐암이 진행한 경우, 특히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진행형 폐암의 추적관찰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