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nis amurensi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식물자원으로부터 신생혈관 억제제 검색 (I) (Screening of angiogenesis inhibitors from Korean plants (I))

  • 유영제;박진영;안인파;김영호;강종성;안병준;배기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0-324
    • /
    • 2000
  • Methanol extracts of 94 Korean plants were screened for angiogenesis inhibitors using the tube-like formation assay of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and evaluated for growth inhibitory activity on A549 cells, human lung cancer cells. Extracts of Euphorbia sieboldiana, Adonis amurensis, and Anthriscus sylvestris showed antiangiogenic and growth inhibitory activity at $50\;{mu}g/ml$. Aristolochia manshuriens and Styrax obassia expressed antiangiogenic activity without growth inhibitory action.

  • PDF

덕유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n T$\v{o}$kyusan National Park)

  • 임경빈;김용식;전승훈;전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1-103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나아가 식물구계학적 논의와 자원식물의 생태학적 보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1993년 4월부터 7월까지 3회에 걸쳐 9개 조사구역별로 야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관속식물의 수는 97과 297속 541종류로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19종류는 인공식재된 수종이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 희귀식물은 16종류로 나타났다. 덕유산 국립공원내 식물의 구계학적 위치는 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대팻집나무, 비목, 감태나무, 복분자딸기, 주목, 개비자나무 및 구상나무 등의 한국구 대표인자와 온대남부의 공통요소들이 자생하고 있는 전형적인 한국구남부에 속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을 대표하는 식물요소로는 복수초 군락, 주목 군락, 사스래나무 군락, 원추리류 군락, 흰참꽃나무 군락, 철쭉 군락, 금강애기나리 군락, 뻐꾹나리 군락, 구상나무의 분포사실 및 두문산 일대의 습지군락의 분포와 향적봉 일대의 고산초원 발달 등을 들 수가 있었다. 식물자원적 가치가 높아 과도한 이용압력을 받고 있는 종으로는 천마 외 15종의 약용식물, 복수초 외 7종의 관상식물 및 곰취 외 13종의 식용식물로 나타났는데 앞으로 현지주민의 소득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밀한 생태분류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에 따라 보전대책이 수립되야 하겠다.

  • PDF

낙엽수림하에서의 수종 봄꽃식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Some Spring Flowering Plants under the forest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 이일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2호
    • /
    • pp.87-94
    • /
    • 1974
  • This survey has been carried out on ten species(Erythronium japonicum, Symplocarpus renifolius, Adonis amurensis var. ramosa, Corydalis turtschaninovii var. genuina, Primula sieboldii forma spontanea, Anemone raddeana, Gagea Iutea, Heloniopsis japonjca, Hylomecon japonicum, and Convallaria majalis var. keiskei in the undergrowth of a forest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in the Kwangnung area of Kyung-Ki Province. They always bloom towards the end of March which is earlier than most of the other plants do. They completely finish up their matter productions before foliage of the deciduous trees, which are the upper strata plants, grows broader or to cite in other terms, before the relative light intensity in the lower strata is fallen to the lowest degree to become to insufficient to allow for photosynthesis. These phanerophytes naturally wither down between June and July. The above mentioned phenomenon clearly demonstrates a kind of the ecological niches and habitat segregation in terms of using sunlight to her greatest advantage. Soon after these herbs wither they make their own winter buds-life form-around their roots and then go into hibernation. The intensity of light in this forest zone was measured through the use of a lux meter in order to investigate it's seasonal variations. In additions, an intensive survey on the duration of their efflorescence was fullfil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