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myom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조기위암과 우연히 동반된 위의 샘근종(Adenomyoma) 1예 (Incidental Adenomyoma of Stomach Associated with Early Gastric Cancer)

  • 여민석;양현준;서동엽;김기홍;변창규;고영택;이효진;최석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43-46
    • /
    • 2006
  • 위의 샘근종과 이소성 췌장의 구별은 어려우며, 샘근종을 이소성 췌장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위의 샘근종과 이소성 췌장의 구별은 이소성 체장에서는 샘창자샘 (Brunner's gland)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위의 샘근종이 악성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의 경우, 위체부 하방과 유문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조직겅검 결과에서 위체부 하방의 종괴는 샘암종으로 진단되었고, 유문부의 종괴는 샘근종으로 진단되었다. 본 증례의 경우, 위의 샘근종이 위암과 우연히 동반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과 국소적 샘암종의 감별 (Differentiation of Adenomyoma from Localized Adeno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Using Multidetector CT)

  • 박영태;이지선;김육;조범상;박길선;우창곡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393-405
    • /
    • 2021
  • 목적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 영상에서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과 국소 샘암종을 감별할 수 있는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MDCT 영상을 이용하여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이 있는 16명의 환자와 국소 샘암종이 있는 30명의 환자를 평가하였다. 우리는 병변의 크기와 감쇠정도, 병변의 균일한 조영 증강의 여부, 간외담관과 주췌관의 직경, 국소 림프절 종대 유무를 측정하였고, 혈액검사 결과도 분석하였다. 바터 팽대부의 국소 샘암종과 비교하여 샘근종을 시사하는 독립적 소견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병변의 크기와 간외담관의 직경은 샘근종에서 국소 샘암종군보다 유의하게 작았다(all p < 0.001). 다변량 분석에서 병변의 크기가 1.3 cm보다 작은 것, 간외담관의 작경이 1.3 cm 보다 작은 것, alanine transaminase level이 31보다 낮은 소견은 바터 팽대부의 국소 샘암종과 비교하여 샘근종을 시사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독립적 소견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 소견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바터 팽대부에 생긴 샘근종의 진단적 특이도는 93.3%였다. 결론 MDCT 영상에서 병변의 크기와 간외담관의 직경을 측정하여 바터 팽대부의 샘근종과 국소 샘암종의 감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낭성 변화를 일으킨 자궁선근증 1례 (A Case of Cystic Degeneration of Uterine Adenomyosis)

  • 곽양수;이상원;황보호준;이두진;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405-410
    • /
    • 1994
  • Adenomyosis is a common disease of middle-aged women and adenomyoma is a variety of adenomyosis that formed localized tumor. Cystic degeneration of an adenomyoma is a rare clinical manifestation. A 30-year-old parous woman suffered from severe dysmenorrhea and menorrhagia for about 5 months, was operated under the impression of endometriosis of the pelvis. Following the operation, cystic degeneration of an adenomyoma was found incidentally.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adenomyosis that formed cystic tumor of uterus and presented with a pertinent literatures.

  • PDF

심와부 복통으로 내원한 5세 소아에서의 위 선근종 1례 (A Case of Adenomyoma of the Stomach in a Child Presenting Epigastric Pain)

  • 허미영;정지아;최금자;성순희;서정완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99-103
    • /
    • 2001
  • 심한 심와부 동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5세여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위유문동에서 중심요와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주름을 관찰하였다. 복통이 계속되어 이소성췌장으로 생각하고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위 선근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he Molecular Basis of Adenomyosis Development

  • Yang, Woo Sub;Lim, Jeong Mook;Ahn, Ji Yeo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9-54
    • /
    • 2018
  • Adenomyosis is a benign gynecological disease frequently affecting women of reproductive age. I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causing bleeding disorders, dysmenorrhea, chronic pelvic pain, and infertility.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adenomyosis development remain unclear. This paper summarizes the reports found in the MEDLINE database on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uterine adenomyosis. The literature 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erms: "adenomyosis," "adenomyoma," "pathogenesis," "molecular mechanisms," and "gynecological disorders." Only peer-reviewed, English-language journal articles were included. This review focuses on the molecular genetics, epigenetic modifications, and pivotal signaling pathways associated with adenomyosis development and progression, which will provide insights into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underlying pathophysiology.

Successful laparoscopic surgery of accessory cavitated uterine mass in young women with severe dysmenorrhea

  • Park, Joon Cheol;Kim, Dong Ja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235-239
    • /
    • 2021
  • Accessory cavitated uterine mass (ACUM) is a rare and unique condition seen in young women. We report cases of ACUMs in two patients, a 14-year-old girl and a 25-year-old woman, both with complaints of severe dysmenorrhea that had started at menarche and had progressively worsened since. A large cystic lesion was localized in the anterolateral wall of the myometrium separate from the endometrium, which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congenital uterine anomalies. Laparoscopic excision of the ACUMs was successful and completely resolved the dysmenorrhea. Early investigation of severe dysmenorrhea in young women can provide appropriate management and relieve symptoms.

간만곡부 대장암으로 오인된 국소형 담낭 선근종증: 증례 보고 (Localized Adenomyomatosis of Gallbladder Mimicking Advanced Hepatic Flexure Colon Cancer: A Case Report)

  • 서배선;김보현;이다근;이기명;이제희;김혜진;김재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5호
    • /
    • pp.290-293
    • /
    • 2018
  • 국소형 담낭 선근종증은 드물게 담낭 벽의 용종형 비후를 유발하며 담낭암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담낭 선근종증이 인접한 대장의 간만곡부를 침범하여 수술 전 대장암으로 오인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단일 병원에서의 재발성 장중첩증과 병적 선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and the Pathologic Lead Point in a Single Center)

  • 이건송;박윤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63-170
    • /
    • 2009
  • 목 적: 저자들은 단일 병원에서 발생한 장중첩증의 환아들 중 재발성 장중첩증의 특성 및 예후 그리고 병적 선두의 유무 및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4년 5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장중첩증으로 단국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외과에 입원하였던 590명의 환자 중 2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발생한 54명의 환아와 비수술적 정복술에 실패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병적 선두가 의심되었던 90명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44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특성(재발률, 재발 횟수, 첫 재발까지의 기간, 정복술 각각의 재발률)과 병적 선두의 종류, 선두의 위치, 재발의 유무, 진단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예후는 3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있었고, 2009년 7월까지 전화방문을 통해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Pearson 선형상관분석, Fisher's exact test 그리고 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중첩증의 재발률은 총 590명 중 54명(9.2%)이었다. 54명 중 남아 37명(68.5%), 여아 17명(34.2%)으로 남아에서 2.1배 더 많았다. 초기 중첩증 시 평균 연령은 11.7${\pm}$9.2개월(2~38)이었다. 재발의 빈도는 1회가 35명(64.8%), 2회 10명(18.5%), 3회 3명(5.6%), 4회 3명(5.6%), 5회 1명(1.9%), 6회 1명, 7회 1명이었다. 첫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30${\pm}$175일(12시간~3년)이었다. 재발의 빈도와 처음 재발사이 기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064, p=0.643). 공기 정복술은 118회 시행 후 재발은 77예(65.2%), 바륨 정복술은 21회 시행 후 14예(66.7%), 도수 정복술은 9회 시행 후 3예(33.3%)로 재발률은 바륨 정복술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1). 병적 선두는 전체 590명 중 18명 (3.0%)에서 관찰되었고,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환자 중에서는 7명(12.9%) 있었다. 병적 선두로는 림프양 증식증이 13예(72.2%), Meckel 게실 2예(11.3%), 중복 낭종 1예(5.5%), 소장 용종 1예, 그리고 선근종 1예가 관찰되었다. 다른 유도 병변으로는 맹장과 말단 회장에 선천성 밴드가 4예가 있었다.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 중 병적 선두가 있었던 7명에서 중첩증 횟수의 평균은 4.7${\pm}$1.9회로 47명의 2.4${\pm}$0.9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23).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었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7.4${\pm}$19.8개월(2일~72개월)이었다. 수술을 하지 않았던 9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8.8${\pm}$16.3개월(2일~45개월)이었고 마지막 중첩증 시 평균나이는 32.6${\pm}$16.2개월이었다. 추적관찰 동안 17명 모두 재발은 없었다. 결 론: 병적 선두가 존재하는 환아에서 재발성 중첩증의 빈도가 높으며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는 경우는 병적 선두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제거술을 시행하거나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하며 추적관찰을 할 수 있다. 추후 중첩증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