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id Veget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소아에서 구개편도 비대와 상악동염, 아데노이드 비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ypertropied Palatine Tonsil with Maxillary Sinusitis and Adenoid Vegetation)

  • 이영규;채병윤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3-179
    • /
    • 1996
  • Hypertropied palatine tonsil is a common disorder in pediatric otolaryngology. It could be easily observed and adenoid vegetation could induce maxillary sinusitis by the obstruction of nasopharynx and choanae. This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hypertropied palatine tonsil, 42cases, with maxillary sinusitis and adenoid vegetation The results was as followings ; 1. The sex distribution was male 30cases($71.4\%$), female 12cases($28.6\%$) and age distribution was from 3 to 17year-old. 2. Hypertropied palatine tonsil distribution was the degree of both 3, 2cases($4.8\%$), one 3 the other 2, 3cases($7.l\%$), both 2, 22cases($52.4\%$), one 2 the other 1, 9cases($21.4\%$), both 1, 5 cases($11.9\%$). and only one 1, 1case($2.3\%$). 3. By the PNS X-ray, there were resulted 29 cases($69.0\%$) both maxillary sintis, 4cases($9.5\%$) only one maxillary sinusitis and 9cases($21.4\%$) norma] sinus. 4. By the Head latera] X-ray, there were resulted 13cases($31.0\%$) large adenoid, 24cases($57.l\%$) mediate adenoid, and 5cases($l1.9\%$) small adenoid.

  • PDF

아데노이드 비대증에 의한 비정상 비강 내 유동의 PIV해석 (PIV Measurement on Airflows in the Abnormal Nasal Cavity with the Adenoid Vegetation)

  • 김성균;손영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4호
    • /
    • pp.518-523
    • /
    • 2003
  • Airflow in the nasal cavity of Korean adults i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by PIV measurement. Quantitative data for normal and abnormal nasal cavities with adenoid vegetation are obtained. The CBC PIV algorithm with window offset is used for PIV flow analysis. Average and RMS distributions are obtained for inspirational and expirational nasal airflows. Comparisons between western and Korean nasal airflows are appreci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geometry of the frontal part of nasal cavity, the flow near nares shows the difference. For the joint research on nasal deceases, PIV measurements of nasal airflow for nasal cavities with 50% and 70% adenoid vegetation are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Comparisons in nasal airflows for both normal and abnormal cases are also appreciated.

Investigation on Airflows in Abnormal Nasal Cavity with Adenoid Vegetation by Particle Image Velocimetry

  • Kim, Sung Kyun;Son, Young Rak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799-1808
    • /
    • 2004
  • Knowledge of airflow characteristics in nasal cavity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nasal breathing. Several studies have utilized physical models of the healthy nasal cavi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sal anatomy and airflow. Since the final goal of these works is their contribution to the diagnosisand treatment of nasal diseases, the next step on this topic is naturally studies for disordered nasal cavities. In this paper, as the first application, airflows in the normal and abnormal nasal cavities with adenoid vegetation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by PIV, and comparisons of both cases are appreciated. Dense CT data and careful treatment of model surface under the ENT doctor's advice provide more sophisticatedcavity model. The CBC PIV algorithm with window offset is used for PIV flow analysis. Average and RMS distributions are obtained for inspirational and expirational nasal airflows. Airflow characteristics that are related with the abnormalities in nasal cavity are presented.

6세에서 17세 사이의 정상 교합 아동의 아데노이드와 악골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adenoid and jaw growth of normal occlusal children aged 6 to 17)

  • 유형석;박선형;최은빈;문제상;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9-712
    • /
    • 2000
  • 림프조직은 비인두 부위에서 Waldeyer's ring의 일부조직으로 tonsil을 이루며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림프조직이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정도로 과증식한 것을 'Adenoid vegetation or Adenoids'라고 이른다. 아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유년기에 발생하며 $2\~12$세때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사춘기시기에 이르면 절대적인 아데노이드 크기 감소와 주변의 비인두의 성장으로 인한 상대적 크기 감소가 나타난다. 그리하여 성인이 되면 아데노이드는 퇴화된 상태로 변하게 된다. 아데노이드는 구호흡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아데노이드 얼굴'이라는 특징적인 안면형태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데노이드에 의한 구호흡이 안면 형태와 치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은 오래 전부터 제기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이들간의 상호연관정도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교합 아동에서의 골 연령에 따라 아데노이드와 악골 크기의 정상치와 성장변화량을 제시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 연령에 따른 남녀별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2. 같은 골연령을 비교시 남자는 여자보다 약 2년 가량 성장속도가 느렸다. 3. 비인두의 height과 depth는 남자에서는 CVMI 1과 2 때 많은 성장을 보이고, CVMI 4 이후에서는 성장을 보이지 않았으며, 여자에서는 모든 골 연령에서 유사한 정도의 성장이 나타났다. 4. 비인두의 상대적 면적은 남자에서 CVMI 1에서 2로 이행되는 시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비기도의 상대적 면적과의 상관분석에서 남녀 모두에서 아데노이드 항목중에서는 Ad2와 관련된 항목과 uppe pharynx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열궁과 관련된 항목중에는 상$\cdot$하악의 견치간 너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우리나라 유아난청의 원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auses of Child Hearing Loss Under Age 5 in Korea)

  • 노관택;민양기;이희배;고건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2-8
    • /
    • 1978
  • 언어는 청각을 통해서 발달하는 것으로서 난청이 있어서 듣지 못하는 경우 그 사람의 언어발달은 정지되어 농아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유아난청의 조기진단 및 치료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저자를은 유아난청의 원인을 조사함으로써 유아난청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1977년 1월부터 8월까지 8개월 동안에 본원 외래 난청실로 내방한 만5세 이하의 난청아 18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세한 병력과 상세한 임상적 검사 및 Impedance audiometer(Madsen ZO 70)에 의한 청역검사를 실시하고 그 원인에 대한 통계적 고찰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아난청 중 감각신경성난청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유아자신의 감염(123례중, 44례, 35.8%)이었으며 임신중의 모체의 상태(37례 30.1%), 분만시 외상 혹은 두부외상(18례, 14.7%)의 순이었다. 2. 유아난청 중 부음성난청의 가장 흔한 원인은 급성 혹은 만성중이질환이었으며(62례중 32례, 51.6%), 다음으로는 잦은 상기도감염(19례, 30.6%), 아데노이드 증식증(7례, 11.3%)의 순이었다. 3. 유아난청은 외인성원인이 185례중 179례(96.8%), 내인성원인이 6례(3.2%)로 대부분이 외인성 원인이었다.

  • PDF

삼출성중이염과 중이내 통기관 유치술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Considerations of Serous Otitis Media and Ventilation Tube)

  • 김영명;박인용;장태영;심형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5
    • /
    • 1982
  • 삼출성 중이염은 이 질환중 가장 많은 도를 차지하는 질환의 하나로서 1869 년 Politzer가 최초로 기술하고 치료법을 소개한 이후로 현재까지 그 병인 및 다양한 치료법이 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이중 중이내 통기관 유치술은 1954년 Armstrong에 의해 성공적으로 시행된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변형 발전되어 최근에 이르러서는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또한 그에 따른 합병증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연자 등은 삼출성중이염의 임상적 측면을 재검토하고 중이내 통기관유치술의 치료효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 하고자 1981. 1. 1부터 1982. 2. 28 까지 1년 2 개월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중이내 통기관유치술을 시행한 환자 97명 (157이)을 대상으로 하여 삼출성중이염의 증상, 연령분포, 동반질환, 고막의 이학적 소견, 청력손실의 정도와 술후의 청력증진,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용한 통기관으로는 Sheehy의 collar button tube와, Per Lee tube였다. 1) 증상의 빈도는 29례중 청력소실 29례(100%) 이명 19례 (65.6%) 자성강청(Autophony), 12례 (44.4%) 이충만감 10례 (34.5%)의 순이었다. 2) 연령분포는 6∼10세가 42례 (43.3%)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20세 이상의 성인도 23례(23.5%)나 있었다. 3) 소아에서는 주로 양측성으로, 성인에서는 일측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4) 동반질환으로는 편도 및 아데노이드비후가 49례 (50.5%). 부비동염 15례 (15.5%), 비알레르기 4례 (4.1%)등의 순이었다. 5) 술전 고막소견은 함몰 62귀 (42.7%), 팽윤 37귀 (23.6%), 변색(21.7%)등의 순이었으며 특별한 병적 소견이 없는 경우고 29귀 (18.5%)나되었다. 6) 삼출액의 특성은 15세이하의 소아에서는 점액성이 84.2%로 많았고 성인에서는 장액성이 62.5%로 많았다. 7) 술전 기골도차는 21∼30dB가 48귀 (30.6%)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25.3dB이었다. 8) 술후 청력증지은 10dB 이상 증가한 경우가 24귀 (72.7%)로서 평균 17.2dB였다. 9)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37귀 (23.6%) 무기화 3귀(1.9%)과립조직의 증식 2귀 (1.3%) 영구천공 2귀 (1.3%)의 순이었다. 10) 술후 감염증이 있었던 37 귀중 수술직후부터 계속되었던 경우가 19 귀(51.4%), 도중에 발생한 경우가 18 귀(48.6%)였으며 이들중 26귀(70.3%)에서는 대증요법으로서 치유되었으며 11귀 (29.7%)에서는 통기관을 제거한 후에야 감염증이 치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