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id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2초

바깥귀길에서 발생한 상피-근상피암종의 세포소견 - 1예 보고 - (Cytologic Features of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Occurring in External Auditory Canal - A Case Report -)

  • 이호창;송형근;최영석;이옥준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6
    • /
    • 2008
  •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EMC) is a low grade malignant neoplasm that commonly occurs in the parotid gland. Recently, we investigated a case of EMC that occurr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in a 35-year-old male, and this tumor was initially diagnosed as pleomorphic adenoma. The difficulty associated with diagnosing EMC by aspiration cytology arises from both the rare incidence of this tumor and the overlapping spectrum of cytological features found in various salivary gland tumors, such as pleomorphic adenoma, basal cell adenoma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비침이 비색증에 대한 영향 (A Clinical Observation of the Nasal Acupunture Therapy on Nasal Obstruction)

  • 김윤범;윤상협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5-211
    • /
    • 1999
  • We studied 32 patents, who had visited Kyung Hee downtown oriental hospital with nasal obstruction. They has been observed their nasal cavity through anterior rhinoscopy. We had paten't middle and inferior turbinte bleeding by acupuncture. This symptom had been disappeared after this treatmen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Sex and age distribution: The males were 18($56.2\%) and Female were 14($43.8\%$). The most common occurrence was found between 1-5 years old. 2. The most common duration of disease was between 2-6 months. 3. In decreasing order, the common complication & past history of otolaryngologic or allergic disease were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chronic sinusitis, adenoid or tonsil hypertrophy, otitis media with effusion and asthma. 4. In descending order, distribution of symptoms were rhinorrhea, sneezing, dry sensation, sputum, frontal headach, postnasal drip and cough. 5. The improvement rate in symptom were $31.3\%\;excellent\;and\;53.1\%$ good.

  • PDF

두경부에 생긴 선양 낭포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김원동;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5-41
    • /
    • 1992
  • 1979년부터 1990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8명의 환자가 두경부에 생긴 선양낭포암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5명의 환자는 대타액선의 병변이었고 나머지 33명의 환자는 주로 경구개와 상악동을 침범한 소타액선의 병변이었다. 11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았으며 37명의 환자에게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 추적기간은 49.5개월 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5년에 $71.1\%$,10년에 $44.3\%$였으며 근치적인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경주위로의 침범여부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는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한 경우에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field size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40\%$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폐를 침범하였다. 원격전이 이후의 생존율은 5년에 $19.5\%$로서 원격전이가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생존율은 5년에 $79.0\%$, 10년에 $19.2\%$였으며 8년 이후에도 생존율은 계속 감소하였다. 무병생존율은 5년에 $45.8\%$,였으며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같이한 그룹과 대타액선의 병변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선양 낭포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함으로써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 PDF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상피성장인자 신호전달 단백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ASSAYS FOR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SIGNALING PROTEINS IN ADENOID CYSTIC CARCINOMAS OF HUMAN SALIVARY GLANDS)

  • 박영욱;김정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499-510
    • /
    • 2006
  • 인간 타액선 선양낭성암종 조직 18례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종물 주변의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EGF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암종 조직의 50%에서 발현 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지 않았다. 2) $TGF-{\alpha}$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선포세포, 그리고 거의 모든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3) EGFR은 타액선 도관세포와 대부분의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나, 발현의 강도에서 정상 타액선 조직과 암종 조직간의 차이는 없었다. 4) pEGFR은 정상 타액선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며, 암종 조직의 종양세포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었다(P<0.05). 5) ErbB2/HER2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거의 모든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5). 6) 검색된 인자들 중 $TGF-{\alpha}$와 ErbB2/HER2는 관사상체형 암종 조직에서와는 달리 충실형 암종 조직에서 100% 발현되어, 충실형 선양낭성암종의 증가된 악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암시하였다. 7) 종물 내의 종양관련 혈관내피세포에서도 위의 인자들이 모두 발현되어 종양관련 혈관내피세포는 선양낭성암종의 증식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8) 종양 기질 내의 면역관련 세포들에서도 역시 위의 인자들이 발현되어 이들 세포들이 종양의 증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상피성장인자 신호전달계에 관여하는 인자들 중 $TGF-{\alpha}$, pEGFR, 그리고 ErbB2/HER2가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과발현 되었다. 따라서 이들 인자들이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증식과 생존, 그리고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추후 면역조직화학적 연구의 한계와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기법으로 이들 인자들에 대한 재검색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과연 이들 인자들이 암생물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전이 및 환자 생존율과 관계된 인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 평가해 보아야 할 것이다.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18}F$-FDG PET/CT: 임상상 및 병리소견과의 상관성 ($^{18}F$-FDG PET/CT in Patients with Initially Diagnose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Clinicoplathologic Correlation)

  • 이지영;최준영;고영혜;백정환;손영익;조숙경;천미주;이경한;김병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395-401
    • /
    • 2009
  • 목적: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PET/CT의 영상소견을 선양낭성암종의 병리적 소견, 병기 결정, 가장 흔한 두경부암인 편평세포암종의 $^{18}F$-FDG 섭취 양상, 예후와 상관 지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으로 처음 진단되어 $^{18}F$-FDG PET/CT를 시행한 16명의 환자가 대상이었다. PET/CT의 병기 결정 능력을 알아보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를 원발종양의 조직학적 아형(고형 대 관상형/사상형상), 병변의 크기와 일치하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SUV_{max}$, 무병생존율과 비교하였다. 결과: 16명의 환자들 중, 관상형 또는 사상형을 가진 군은 10명이었고 나머지 6명은 고형을 가진 군이었다. 고형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는 관상형 또는 사상형 선양낭성암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6.7{\pm}3.2$ vs. $4.2{\pm}0.9$, p=0.03). $^{18}F$-FDG PET/CT로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 전이를 18.7%의 환자에서 발견하여, 치료방침 변경에 기여하였다.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는 병변 크기가 같은 편평세포암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하게 낮았다($5.1{\pm}2.4$ vs. $13.6{\pm}6.0$, p<0.001).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무병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원발종양의 $SUV_{max}$가 6.0 이상인 환자들의 무병생존율은 $SUV_{max}$가 6.0 미만인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2). 결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섭취양상은 조직학적 아형과 무병생존율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18}F$-FDG PET/CT는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전이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상형상 또는 관상형선양낭성 암종의 $^{18}F$-FDG 섭취는 낮을 수 있어, 선양낭성암종이 의심되지 않은 환자들의 PET영상 판독에 주의가 필요하다.

편측성 순$\cdot$구개열자의 기도 분석 (Airway analysis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손우성;백재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91-598
    • /
    • 2000
  • 본 연구는 순$\cdot$구개열자의 호흡과 발음, 그리고 안모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완전 편측성 순$\cdot$구개열자 78명(남성 48명, 여성 30명)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도 및 설골에 대한 전후방적, 수직적 거리 및 각도를 계측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춘기성장급등기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집단을 다시 남녀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계측된 자료들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녀 모두에서 설골 위치가 보다 낮아졌다. 2.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녀 모두에서 인두 용적에 관계된 CV3ia-APH, PNS-ad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adenoid감소와 하악의 전하방 성장과 관련된 것으로 사춘기 이후 호흡 및 발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3. 사춘기 성장급등기를 이후 남성에서 모든 계측항목이 여성보다 큰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성별간 성장량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4. 남녀 성별간 비교에서 사춘기 성장급등기 전후 시기 모두에서 남성의 설골 위치가 여성보다 낮았다. 5. 남녀 성별간 비교에서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성에서 CV3ia-APH수치가 매우 크게 증가했고, 이는 남성의 하악골 성장이 보다 커 악이복근등 근활성이 야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관지 선종의 외과적 치료[17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Bronchial Adenoma - Reports of 17 Cases -)

  • 문석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3호
    • /
    • pp.247-257
    • /
    • 1992
  • Bronchial adenoma, firstly described by Muller[1882] had been reported on the subject stressed their benign nature prior to 1940`s, but these tumors including carcinoid tumor, mucoepidermoid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pleomorphic adenoma are now known to possess the various degree of malignant natures from benign course, low grade malignant potential to distant lymphatic or hematogenous metastasis or combination. Although histologically diffeerent, four varieties except carcinoid tumor which is a spectrum of neu-roendocrine tumor originating Kulchitsky cell of the bronchial epithelium and form the part of the APUD tumor spectrum, are morphologically and in many respects clinically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tumor of the salivary gland is a specific varient of adenocarcinoma that occurs most commonly in the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 and less frequently tra-cheobronchial tree, esophagus etc. To better underst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ess more precisely the malignat nature of bronchial adenoma, we studied 17 cases of bronchial adenoma, which had been experienc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of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April 1977 to september 1991. Seventeen cases of bronchial adenoma consist of 2 carcinoid tumors, 6 adenoid cystic carcinomas, 8 mucoepidermoid carcinomas and one pleomorphic adenoma. There is a slight predominace of male patients[10/17] and the age of pt studied varied with a higher incidence occurring between the ages of 40 years and 60 years[mean age, 46.5 years]; the youngest being 15 years and oldest 69 years. Their leading complaints were hemoptysis[4], exertional dyspnea[8], fever & chilness [4], and symptoms mimicking the bronchial asthma[4]. Diagnosis was aided by the radiologic studies such as chest X-ray, polytomography, CT scan, brochography and bronchoscopy. The preferred locations of fumor were in the trachea[4], main stem bronchus[3], bronchus intermedius[3], bronchus of RUL[2], LUL[1], RLL[1], LLL[3] with no peripheral location. Modalities of treatments were single or combination of surgical resection, radiation therapy, chemotherapy. Complete resections were permitted in 12 cases with late recurrences of 4 cases ranging from 6 months to 10 years: pneumonectomy[4], lobectomy[4], bil-obectomy[2], sleeve resection[2]. Gross findings of resected specimens in 14 cases showed that 4 cases were polyp-like pedunculated mass[entirely intraluminal mass] with intact mucosa, 8 cases were broad-bas-ed sessile mass[predominatly intraluminal] and the main portions were located below the mucosa similar to tip of iceburg[predominantly extraluminal] in 2 cases. Follow-up information was availble in all 17 cases ; eight were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se ranging from 1 month to 13 years. But seven cases died of the causes related to tumor[6 cases within 12 months, one case 10 years after pneumonectomy]. We concluded that 8 cases[47%] of 17 cases were metastasizing bronchial adenoma and precise survival rate cannot be answered by the scanty materials available for study.

  • PDF

비호흡 장애가 치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안모 형태별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of Influence of Difficulties in Nasal Breathing on Dentition between Different Facial Types)

  • 이명진;이창곤;김종섭;박진호;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1993
  • 인두편도 증식으로 인한 비호흡 장애가 치열 및 핵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안모형태에 따라 비교 연구하기 위해 인두편도 증식으로 인두편도 절제술을 시행하기로 한 환자의 안모를 형태에 따라 mesofacial, brachyfacial, dolichofacial type으로 분류하여 각 type별로 20명의 환자를 설정하여 서로 비교 연구한 결과 1.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에 있어서 안모 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dolichofacial type의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가장 좁은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을 보였다. 2. 혀의 수직적 위치에 있어서 안모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dolichofacial type의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혀가 가장 하방에 위치함을 보였다.

  • PDF

이하선 악성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효과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 김원동;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43-50
    • /
    • 1994
  • 1979년 3월부터 1989년 7월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55명의 환자가 이하선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재발한 경우로 방사선 치료만 받았으며 나머지 47명에게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mucoepidermoid ca가 25명으로 제일 많았으며 malignant mixed tumor와 adenoid cystic ca가 각각 12명, 6명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10년에 65.7%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이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71.8% 대 28.6%). 조직학적 grade 및 종양의 크기, 임파절의 전이 여부가 국소치유율을 결정하는 요인이었으며 안면신경의 절제유무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23.6%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high grade 병변에서 폐를 침범하였다. 전체생존율은 10년에 72.2%였으며 5년이후에는 plateau를 이루었다. 무병생존율은 10년에 49.4%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과 low grade 병변에서 좀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하선 악성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이하선 절제술과 적절한 방사선치료를 병합함으로써 수술 혹은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국소치유율의 향상 및 안면신경의 기능유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 PDF

Strain elastography of palatal tumors in conjunction with intraoral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2 case reports

  • Ogura, Ichiro;Toshima, Hiroo;Akashiba, Tohru;Ono, Junya;Okada, Yasu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1호
    • /
    • pp.73-79
    • /
    • 2020
  • Comput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an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palatal lesions, and strain elastography (performed together with intraoral ultrasonography) is a relatively new sonographic imaging modality. This report describes 2 clinical cases in which strain elastography was used to assess palatal tumors in conjunction with intraoral ultrasonography, CT, and MRI. In the first case, diagnosed as a myoepithelioma, the strain was determined to be 0.000% (strain of normal tissue, 0.556%). In the second case, diagnosed as an adenoid cystic carcinoma, the determined strain was 0.000% (strain of normal tissue, 1.077%).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traoral strain elastography can be useful for evaluating palatal le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