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uctor muscl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Shucked Oyster Crassostrea gigas Stored in Salt Water at 3℃

  • Tanimoto, Shota;Kawakami, Koji;Morimoto, Satosh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63-69
    • /
    • 2013
  • Shucked oysters were soaked in an equal weight of salt water and stored at $3^{\circ}C$ for 7 days.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whole body and in the adductor muscle were evaluated by a practical distribution method. With the exception of aspartic acid and tyrosine, no significant changes in free amino acids or ammonia were observed in whole-body shucked oysters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contrast, the majority of free amino acids in the adductor muscle decreased significantly. Most of these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considerable amounts in the surrounding salt water after 7 days of storage. Both the weight of the whole body and the salinity of the surrounding salt water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ee amino acids were eluted from the cutting surface of the adductor muscle and indicate that the free amino acid content per shucked oyster and in the adductor muscle, decreases during cold storage.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Female Pen Shell (Atrina Pectinata)

  • Baik Sung-Hyun;Kim Kang-Jeon;Choo Jong-Jae;Choe Sun-Nam;Chung Ee-Yung;Park Kwan H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261-264
    • /
    • 2001
  •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profiles was examined in the visceral mass and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of the female pen shell, Atrina pectinata. Total percentages of saturated fatty acid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organs, and there was not a prominent seasonal change in both tissues. While the percentages of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HUFAs) in the visceral mas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were high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HUFA contents, especially in $20: 5\omega3$, $22: 5\omega3$ and $22: 6\omega3$, markedly decreased in September in the visceral mass, and this decrease was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total MUFAs in the same organ. A similar pattern of change in September was noted in the posterior adductor muscle MUFAs and HUF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20:\omega3$ and $22:\omega3$ HUFA changes in the visceral mass and posterior adductor muscle reflect the reproductive stages in pen shell.

  • PDF

생체자기제어 측정 기구를 이용한 교각운동이 척추세움근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rector Spine and Gluteus maximus Muscle Activity on Bridging Exercise with Stabilizer Pressure Biofeedback)

  • 고성욱;인태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1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of muscle activitis of erector spine muscles and Gluteus maximus during the bridge exercise with adductor muscles. Method: After attaching the EMG device to the Gluteus maximus and erector spine muscles of the 100 healthy adult males in their 20s, applying the stabilizer pressure biofeedback device between the knees, the bridge movement was carried out 10 seconds. Result: During the exercise of the bridge movement, the muscular activities in erector spine and gluteus maxim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alation to the simultaneous contractive adductor muscles of the bridge(p<.05). Conclusion: Thus, the bridge exercise i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taneous contraction of adductor muscles that suggests that the training are more effective in erector spine and gluteus maximus activities.

Obturator Nerve Block with Botulinum Toxin Type B for Patient with Adductor Thigh Muscle Spasm -A Case Report-

  • Choi, Eun-Joo;Byun, Jong-Min;Nahm, Francis Sahng-Un;Lee, Pyung-Bok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4권3호
    • /
    • pp.164-168
    • /
    • 2011
  • Obturator nerve block has been commonly used for pain management to prevent involuntary reflex of the adductor thigh muscles. One of several options for this block is chemical neurolysis. Neurolysis is done with chemical agents. Chemical agents used in the neurolysis of the obturator nerve have been alcohol, phenol, and botulinum toxin. In the current case, a patient with spasticity of the adductor thigh muscle due to cervical cord injury had obturator nerve neurolysis done with botulinum toxin type B (BoNT-B).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used BoNT-A with only a few reports that have used BoNT-B. BoNT-B has sever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ver BoNT-A. Thus, we report herein a patient who successfully received obturator nerve neurolysis using BoNT-B to treat adductor thigh muscle spasm.

선택적 갑상피열분지 및 측윤상피열분지의 절단과 경신경고리 신경재지배 방법을 이용한 연축성발성장애의 수술적 치료 1례 (A Case of Selective Laryngeal Adductor Denervation-Reinnervation Surgery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 박영학;배성천;이석은;조승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6-148
    • /
    • 2006
  • Spasmodic dysphonia is a voice disorder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voice breaks during speec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s most common and characterized by strained and strangled voice breaks. The current standard of treatment of therapy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s chemodenervation of thyroarytenoid muscle with botulinum toxin(Botox). However, Botox is a temporary treatment with each injection lasting approximately 3 months on average and require repeated injections. In this study,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surgical treatment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n this procedure, the thyroarytenoid branch and lateral cricoarytenoid branch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is selectively denervated unilaterally, and its distal nerve stump of thyroarytenoid branch is reinnervated with branch of the usa cervicalis nerve. And lateral cricoarytenoid muscle partial myotomy was done unilaterally. After 6 months of treatment, voice fluency had improved and no period of breathiness or dysphagia was noted.

  • PDF

진주 가공부산물(육 및 패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rl Oyster Muscle and Adductor Muscle as Pearl Processing Byproducts)

  • 김진수;김혜숙;오현석;강경태;한강욱;김인수;정보영;문수경;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64-469
    • /
    • 2006
  • 진주 채취 후 폐기되는 진주조개 육 및 패주를 기능성 식품의 추출소재 또는 가공품의 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진주조개 육 및 패주의 식품성분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진주조개 육의 중금속은 수은과 크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고, 카드뮴의 경우 0.06 ppm, 납의 경우 0.11 prm이 검출되었다. 또한 패주의 경우 검토한 4종의 중금속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휘발성염기질소 함량과 pH는 진주조개 육의 경우 각각 11.6 mg/100 g 및 6.31이었고, 패주의 경우 각각 8.6 mg/100 g 및 6.33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진주조개 패주 및 육은 식품가공 소재로서 식품위생적인 면에서 문제가 없었다. 패주의 조단백질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6.5%와 15.691 mg/100 g으로서, 진주조개 육(11.2% and 10,131 mg/100 g)과 대조구인 굴(12.1% and 11,213 mg/100 g)보다 높았으며, 칼슘과 인의 함량은 육이 각각 93.4mg/100g과 116.0mg/100g, 패주가 75.2 mg/100 g과 148.1 mg/100 g이었다. 유리아미노산과 taste value는 진주조개 육이 각각 635.5 mg/100 g과 40.2, 패주가 각각 734.9 mg/100 g과 24.1이었으나, 굴의 경우 각각 883.8 mg/100 g과 40.2로 진주 가공부산물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영양적 특성으로 살펴본 결과, 진주조개 패주는 육에 비하여 단백질 및 탄수화물, 총 아미노산 함량 및 무기질 함량이 높아 근육에 비하여 영양적인 면에서 식품 재자원으로서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진주조개 패주 및 육은 굴이나 기타 패류에 비하여 맛 특성은 낮아 맛 추출 소재로는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세부속성별로는 "분위기가 조용하고 편안하다.", "불만이나 고충이 신속히 처리된다."라는 속성이 중점개선 영역에 포함되어 분위기와 고충처리 부분에 대한 개선을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내부시설 및 기물이 쾌적하다.", "종업원이 친절하다." 항목은 유지관리 영역에 포함되기는 하였으나, 수행도 수준이 중요도에는 다소 못 미쳐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일반 베이커리 연구들에서 나타난 선택속성 및 고객인지 중요도가 제품중심이었던 결과와는 달리 베이커리카페에 대해 고객이 인지하는 중요 선택속성은 제품, 서비스, 인테리어 등의 복합적인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베이커리카페 관련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명확히 파악하고 연구를 전개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업체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있어서도 고씩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큰 선택속성 차원과 세부항목을 중점대상으로 하여 일반 베이커리와는 구분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베이커리카페 이용고객은 특징적인 선택속성을 기준으로 베이커리카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외식 산업 군인 베이커리카페의 조기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선택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선택속성 차원 중 많은 경우에 있어 고객이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 차원의 개선을 위한 경영자들의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 이상의 결과로

뇌졸중 환자의 근긴장도 평가를 위한 개정된 개정된 Ashworth 척도의 신뢰도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 for the Muscle Tone of Poststroke Patients)

  • 김태호;김용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77-485
    • /
    • 2010
  • Purpose : The clinical scale to assess spasticity of muscle was wildly used the modified Ashworth scale (MAS). But reliability of the MAS has been controverted for ambiguity among the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AS (MMAS) translated into Korea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sixteen men and nine women) with hemiplegia (ten right and fifteen left) were measured by two raters who were physical therapist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 The raters assessed spasticity of shoulder adductor, elbow flexor, wrist flexor, hip adductor, knee extensor, and ankle plantar flexor in the same patients according to ratings criteria of the MAS and the MMAS. Results : For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S, two raters agreed on 57.3% and the Kappa values were moderate ($\kappa$=0.41) between two rater.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S was fair for the wrist flexor and the hip adductor and moderate for the other muscles. The intra-rater reliability was good for the shoulder adductor and the knee extensor and moderate for the other muscles. For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MAS, two raters agreed on 84.7% and the Kappa values were good ($\kappa$=0.78) between two rater.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MAS was moderate for the hip adductor, and good for the shoulder adductor and the wrist flexor, and very good for the other muscles. The intra-rater reliability was good for the wrist flexor and the hip adductor and very good for the other muscle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MAS translated into Korean is reliable test scale for the spasticity with stroke patients in the clinical field.

장 내전근 파열 -3예 보고- (Rupture of Adductor Longus Muscle -Three Cases Report-)

  • 강철형;송광순;신홍관;배기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0-64
    • /
    • 2005
  • 장 내전근 파열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근육 파열 질환으로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나 외상등의 병력이 선행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초음파 및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등을 이용하여 여러 질환 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보존적 요법으로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간혹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서혜부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17세와 18세, 20세 남자 3예에서 이학적 검사와 초음파 검사 및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장 내전근 파열을 진단하여 1예에서는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였고 2예는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하였다. 이에 드문 장 내전근 파열 3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소 발달 단계에 따른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

  • 정의영;김종배;문재학;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51
    • /
    • 2003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기구를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생식주기는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되었고,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 내의 생화학 성분들은 생화학적 분석방법에 의해 조사되었다. 바지락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8월), 부분산란기 (5-10월), 퇴화/비활성기 (8-2월)의 연속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폐각근 조직내 총단백질 함량 (%) 변화는 초기 및 후기 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다음 완숙기 및 부분활성기인 5월에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단백질 함량 변화는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6월에 최대에 이른 후 부분산란기인 6월부터 10월까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단백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 -0.292, P < 0.05). 폐각근 조직 내 총지질 함량 (%) 변화는 비활성기 및 초기활성기인 1월에 최대에 이른 후, 2월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지질 함량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4월에 최대를 나타내었고, 부분산란기인 5-10 월 사이에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지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699, p < 0.05). 폐각근 조직내 글리코겐 함량 (%)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5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부분산란기인 5월부터 10월까지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 변화는 초기 및 후기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후기활성기인 3월에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그 후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4월에서 7월까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글리코겐 함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062, p > 0.05). 상기 언급된 결과들은 바지락의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야구선수에 상지 근력과 배트 스윙 속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Bat Swing Speed in Elementary School Baseball Players)

  • 박치복;최아영;정호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39-244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야구선수에 상지 근력과 배트 스윙 속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지 근력은 양쪽 어깨 관절에 폄근 굽힘근 모음근 벌림근, 양쪽 팔꿉관절에 폄근 굽힘근의 근력과 배트 스윙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지 근력과 배트 스윙 속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e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세 측 상지 근력과 배트 스윙 속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어깨 관절 모음근, 어깨 관절 벌림근, 팔꿉 관절 굽힘근, 그리고 어깨 관절 굽힘근 순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 우세측 상지 근력과 배트 스윙 속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어깨 관절 모음근, 팔꿉 관절 굽힘근, 어깨 관절 벌림근, 어깨 관절 폄근, 팔꿉 관절 폄근 그리고 어깨 관절 굽힘근 순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상지근력이 강할수록 배트 스윙 속도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