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web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1초

웹 기반 맞춤형 수학 학습 프로그램 구성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Web-Based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 Components)

  • 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451-462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components of the web-based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mponents of the web-based adaptive math learning program set for analysis are classified into learning process presentation, concept learning, problem present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learning result processing then analyzed three program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ypical characteristic of components is that it uses a method of repeatedly presenting the same type of problem in order to learn one concept.

Stochastic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한 웹 페이지 추천 기법 (Web Page Recommendation using a Stochastic Process Model)

  • 노수호;박병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6호
    • /
    • pp.37-46
    • /
    • 2005
  • 다양하고 많은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웹 환경에서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접근패턴도 매우 다양하며, 웹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이러한 접근패턴은 계속 변화한다. 이러한 이유로, 웹 사이트 개발자가 사전에 사용자의 욕구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완벽한 사이트를 개발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접근 패턴을 학습해서 웹 사이트의 구조나 외형을 자동적으로 개선시켜 나가는 적응형 웹 사이트 (Adaptive Web site)가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DTMC(Discrete-Time Markov Chain)에 의거한 확률적 모델을 이용하여 적응형 웹 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사용자 접근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자동항해를 지원하는 적응형 웹 서핑 시스템 (An Adaptive Web Surfing System for Supporting Autonomous Navigation)

  • 국형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4호
    • /
    • pp.439-446
    • /
    • 2004
  • 사용자 적응형 웹 서핑 시스템 설계를 위해 전체 시스템을 사용자 데이타 수집, 데이타 처리를 통한 사용자 프로파일 구축 및 개선, 그리고 사용자 프로파일의 적용을 통한 적응 등 세 단계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설계한 세 부문의 에이전트들은 이들 각 단계에서 작업하며 상호 유기적인 협동을 통해 적응형 웹 서핑을 지원한다. 이들은 각각 대화식 인터페이스 에이전트(Interactive Interface Agent),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User Profile Agent), 그리고 자동항해 에이전트(Autonomous Navigation Agent)이다. 대화식 인터페이스 에이전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데이타를 수집하고 기계적 항해 지원을 수행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는 수집된 사용자 데이타를 처리하여 사용자 브라우징의 실시간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적으로 구축하고 갱신한다. 자동항해 지원 에이전트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관심과 가까운 웹 문서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추천하는 자동 항해 모드를 제공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접근과 설계 방식은 향후 확장과 보완을 통해 실용 가능한 수준의 사용자 적응형 웹 서핑 시스템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적응형 웹 사이트 구축을 위한 연관규칙 알고리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daptive Web Site Construction Algorithm)

  • 최윤희;전우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3호
    • /
    • pp.423-432
    • /
    • 2009
  •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의 유통은 증가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정보화 사회에서의 많은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알맞은 정보를 탐사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편리한 인터넷 항해를 돕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적응형 웹 사이트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연관성이 있는 웹 페이지를 연결해 주는 적응형 웹 사이트 구축을 위해 웹 로그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을 발견하는 연관규칙 알고리즘의 개발에 있다. 데이터 마이닝의 기법 중에서 연관규칙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사용 마이닝을 이용하여 웹 서버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랜잭션을 구성하고,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을 발견하기 위한 의미 있는 문서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문서를 대상으로 발견한 빈발 항목으로 연결리스트를 구성하며, 빈발 패턴을 찾아 웹 페이지에 적용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특징은 첫째, 빈발패턴 발견을 위해 생성하는 연결리스트 이외에는 마이닝 과정에서 다른 중간생성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간 사용면에 있어 효율적이다. 둘째, 기존의 연관규칙 알고리즘에 비해 데이터 베이스의 스캔 횟수를 줄이고, 시간복잡도를 개선하였다.

이동단말을 위한 적응적 웹 문서 변환 (Adaptive Conversion of Web Content for Mobile Terminals)

  • 강성천;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6호
    • /
    • pp.635-64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단말에 적응적으로 웹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문서 변환 방법과 적응적 태그 단순화(tag reduction)를 수행하기 위한 RHTML(Reduced HTML)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적응적 문서 변환 방법은 마크업(markup) 오류 제거 과정을 통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응용 문서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웹 문서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사용하여 트리 구조로 손쉽게 다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동 단말에서 마크업 오류를 수정하는 하드웨어의 부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문서를 단순화하는 과정에서는 RHTML에 정의 된 3가지의 DTD(Document Type Definition)중 하나를 참고하여 이동 단말에 적응적으로 웹문서를 제공한다.

  • PDF

Adaptive Hypermedia for eLearning: An Implementation Framework

  • Dutta, Diptendu;Majumdar, Shyamal;Majumdar, Chanda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676-684
    • /
    • 2003
  • eLearning can be defined as an approach to teaching and teaming that utilises Internet technologies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an educational context. This includes technology that supplements traditional classroom training with web-based components and learning environments where the educational process is experienced online. The use of hypertext as an educational tool has a very rich history.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one of its major application, the world wide web (WWW), has given a tremendous boost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hypermedia systems for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the web suffers from an inability to satisfy the heterogeneous needs of a large number of users. For example, web-based courses present the same static teaming material to students with widely differing knowledge of the subject. Adaptive hypermedia techniques can be use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eLearning. In this paper we report an approach to the design a unified implementation framework suitable for web-based eLearning that accommodates the three main dimensions of hypermedia adaptation: content, navigation, and presentation. The framework externalises the adaptation strategies using XML notation. The separation of the adaptation strategies from the source code of the eLearning software enables a system using the framework to quickly implement a variety of adaptation strategies. This work is a part of our more general ongoing work on the design of a framework for adaptive content delivery. parts of the framework discussed in this paper have been imulemented in a commercial eLearning engine.

  • PDF

웹기반 교육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상호작용 모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Interaction Model for Web-Based Instruction System)

  • 최은영;송희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5-7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와 학습자간에 적응적 상호작용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상호작용 모형을 제안한다. 적응적 상호작용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먼저 웹기반의 교육시스템에서 적응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전략을 설정하고, 각 전략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제안한 다음, 구성요소들 간에 논리적 연관성을 검사하였다. 적응적 상호작용 모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기반 코스웨어와 제안된 모형을 사용한 웹기반 코스웨어를 두 개의 학습 집단에 각각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적응적 상호작용 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코스웨어가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에 효과적임을 보였다.

  • PDF

CAT 이론을 응용한 Web-based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by Applying Computer Adaptive Testing (CAT))

  • 박진희;하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4권1호
    • /
    • pp.43-54
    • /
    • 2006
  • New technologies have turned theories of education engineering into practice and also made education more efficient. One of them is the theory of 'Computer Adaptive Testing(CAT)'.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and develop a web-based teaming system by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existing computer adaptive testing(C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as follows: Firstly, tests can be controlled to fit the teachers' purposes by putting in different levels of both questions and samples. Secondly, this system does not test the same number of questions as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ability do on a paper test, but a test can be taken according to their level. Thus this system is able to correctly judge learners' ability in a short time.

  • PDF

Classifying Malicious Web Pages by Using an Adaptive Support Vector Machine

  • Hwang, Young Sup;Kwon, Jin Baek;Moon, Jae Chan;Cho, Seong J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9권3호
    • /
    • pp.395-404
    • /
    • 2013
  • In order to classify a web page as being benign or malicious, we designed 14 basic and 16 extended features. The basic features that we implemented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 web page. The system heuristically combines two basic features into one extended feature in order to effectively distinguish benign and malicious pages. The support vector machine can be trained to successfully classify pages by using these features. Because more and more malicious web pages are appearing, and they change so rapidly, classifiers that are trained by old data may misclassify some new page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elected an adaptive support vector machine (aSVM) as a classifier. The aSVM can learn training data and can quickly learn addition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support vectors it obtained during its previous learning session.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at the aSVM can classify malicious web pages adaptively.

적응형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학교용 웹보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chool Web-board System for Adaptive Web Site Construction)

  • 이정훈;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75-384
    • /
    • 2004
  • 학교 홈페이지는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교사와 학부모 등 교육 주체간 상호작용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상호작용의 수단으로 웹보드를 통해 생성된 게시판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게시판들은 일반 홈페이지에서 사용되는 웹보드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학교상황에 최적화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많은 사람들 이 인터넷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홈페이지의 컨텐츠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졌고, 이를 반영한 홈페이지들은 그 전보다 페이지의 수에 있어 증가를 나타내게 되었다. 이러한 페이지 수의 증가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반면 원하는 페이지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사용도를 중심으로 적응형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학교용 웹보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특히 사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일반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게시판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에 필요한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는 웹보드를 설계 및 구현함으로 사용자들은 쉽고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학교홈페이지는 활용 면에 있어 성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