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customiz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8초

Exploratory Study on Self-Fulfillment Effect of Self-Designing Process in Adaptive Customization Services

  • Lee, Eun-Jung;Son, Jin-Ah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51-63
    • /
    • 2014
  • Services for self-designing, or adaptive customization services, have become dominant in virtual marketplaces and are believed to create additional values both for the company as well as for the customer. While most research focused on the value from the services' outputs, this research attempts to address the customer-perceived value deriving from the process of the services, and focuses on the self-fulfillment effect of the involved mental processing.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313 U.S. shoppers. In the results, participants using adaptive customization services reported higher self-fulfillment perceptions, than did those not using the services. Furthermore, both the self-fulfillment perceptions (i.e., autonomy and competence) significantly increased perceived design uti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cess of adaptive customization services should be strategically managed to improve the customers' positive mental states that subsequently improve the perceived value of the output desig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sicussed.

웹기반의 바이오리듬의 감성지수를 이용한 적응적 고객화 서비스 (An Adaptive Customization Service using Emotional Indices of Bio-rhythm based on Web)

  • 나윤지;고일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6호
    • /
    • pp.899-904
    • /
    • 2005
  • 웹서비스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고객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의 지원 필요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개인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고객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 고객화 지원 시스템은 각종 수집 가능한 고객의 개별적인 특성을 위주로 하는 정량적으로 표현되는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감성 정보의 경우 정서적인 데이터 특성으로 인해 이를 웹 시스템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웹 환경이라는 기술적인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한 감성정보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객의 감성지수를 이용한 적응적 고객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량주문제품의 고객에 의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by Customers for Mass Customization Products)

  • 서광규;김형준;장형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7-59
    • /
    • 2000
  • Producing what customers need with near mass production efficiency, or mass customization, has been a major trend in industry. Effective definition of customer requirements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mass customization. The new method, called "Design by Customers",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an approach for companies to communicate to customers about what the company can offer, to find out customer needs, to assist customers in making choices and to negotiate for agreements.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in making company are represented in a Product Family Architecture. Adaptive Conjoint Analysis is then applied help customers assert their needs, defined variations from base product, visualize their options and assess alternatives. A power supplier of a electronic appliance is shown as an example to demonstrated the suggested method.ed method.

  • PDF

부엌디자인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 유니버설디자인의 전개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reafter Development in Universal Design Surveyed on the Case Studies of Kitchen Design)

  • 최은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81-90
    • /
    • 2005
  • 유니버설 디자인은 베리어 프리(barrier-free), 수용 가능한(adaptive), 평생의 디자인(life-span design)의 세 개념을 포함한다. 그것은 단순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접근성 차원의 디자인이라기보다는 확장된 개념으로서 인간이 접하는 모든 물리적 환경이나 시설들을 접근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유니버설디자인의 현재와 미래 방향을 부엌디자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망해보았다. 문헌상의 디자인지침과 사례들에서 살펴본 현재 시장의 추이와 선행연구들의 특징들에서 살펴본 시대적 추이를 토대로 제안한다면, 향후 유니버설 부엌디자인은 '사용자에 따른 대량맞춤', '신기술의 적용', '심리적 측면의 고려' 등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경제적 비용문제의 해갈, '사회적 인식의 확산', 디자인에 있어 '문제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개념의 디자인모델들이 여러 분야에서 양산되고 있는 실정은 아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을 개발 연구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지각적, 심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지역적 특성도 감안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제조업 공급망 온톨로지 기반 적응형 ERP 모듈 시스템 프레임워크 (The Framework for Adaptive ERP Systems Using the Ontology Model of a Manufacturing Supply Chain)

  • 오영광;한휘영;신동민;김동철;김남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4-351
    • /
    • 2015
  • Recently, an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has been becoming an essential S/W tool for companies to manage their business processes and manufacturing resources. As the information exchange becomes more complex, not only corporate companies but also small- and mid- sized enterprises (SMEs) are required to build an ERP system. However, for small- and middle- sized companies, the adoption of ERP systems becomes challenging due to high cost and long installation time of the system. This paper presents a novel concept of an adaptive ERP system incorporating the ontology structure of the business supply chain information. The proposed ERP installation methodology is illustrated with an example of a door-trim manufacturing company in the automotive supply chain.

Programming of adaptive repair process chains using repair features and function blocks

  • Spocker, Gunter;Schreiner, Thorsten;Huwer, Tobias;Arntz, Kristian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53-62
    • /
    • 2016
  • The current trends of product customization and repair of high value parts with individual defects demand automation and a high degree of flexibility of the involved manufacturing process chains.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requirements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manufacturing process chains by distinguish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rocess chains. The established way of modeling and programming processes with CAx systems and existing approaches is shown. Furthermore, the different types of possible adaptions of a manufacturing process chain are shown and considered as a cascaded control loop. Following this it is discussed which key requirements of repair process chains are unresolved by existing approaches. To overcome the deficits this paper introduces repair features which comprise the idea of geometric features and defines analytical auxiliary geometries based on the measurement input data. This meets challenges normally caused by working directly on reconstructed geometries in the form of triangulated surfaces which are prone to artifacts. Embedded into function blocks, this allows the use of traditional approaches for manufacturing process chains to be applied to adaptive repair process chains.

방송 인프라의 클라우드 및 가상화 동향 (Trends of Cloud and Virtualization in Broadcast Infra)

  • 김순철;오혜주;임현정;현은희;최동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3호
    • /
    • pp.23-33
    • /
    • 2019
  • Broadcast is evolving into media service aimed at user customization, personalization, and participation with high-quality broadcasting contents (4K/8K/AR/VR). A broadcast infrastructure is needed to engage with the competition for providing large-scaled media traffic process, platform performance for adaptive transcoding to diverse receivers, and intelligent service. Cloud service and virtualization in broadcast are becoming more valuable as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changes and new high-level broadcasting services emerge. This document describes the examples of cloud and virtualization in the broadcast industry, and prospects the network virtualization of broadcast transmission infrastructure, especially terrestrial and cable networks.

적응형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학교용 웹보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chool Web-board System for Adaptive Web Site Construction)

  • 이정훈;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75-384
    • /
    • 2004
  • 학교 홈페이지는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교사와 학부모 등 교육 주체간 상호작용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상호작용의 수단으로 웹보드를 통해 생성된 게시판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게시판들은 일반 홈페이지에서 사용되는 웹보드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학교상황에 최적화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많은 사람들 이 인터넷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홈페이지의 컨텐츠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졌고, 이를 반영한 홈페이지들은 그 전보다 페이지의 수에 있어 증가를 나타내게 되었다. 이러한 페이지 수의 증가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반면 원하는 페이지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사용도를 중심으로 적응형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학교용 웹보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특히 사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일반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게시판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에 필요한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는 웹보드를 설계 및 구현함으로 사용자들은 쉽고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한 학교홈페이지는 활용 면에 있어 성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고객맞춤형 웹사이트 디자인의 유형과 전개방향 (The Style an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Website Design)

  • 서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30-39
    • /
    • 2002
  • 웹사이트에서의 고객맞춤 디자인에 대한 요구는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웹사이트 디자인을 고객맞춤하는데는 정적/선택적 방식과 투명적/적응적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정적/투명적 방식은 구축 비용과 시간상의 장점이 있으나 고객 데이터가 축적되지 않으므로 보다 세련된 고객맞춤이 어렵다. 투명적/적응적 방식은 고객의 내재된 가치를 분석하여 적용하는데 용이하나 데이터가 충분치 않을 경우 부적절한 고객맞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법들의 보다 통합적인 활용을 위하여 "고객 참여 수준의 조정"과 "고객 컨텍스트 정보의 수집, 디자인 요소에 적합한 필터링 도구 개발"과 같은 운영방안들을 제시하였다.t;과 같은 운영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