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to College Life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8초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림금란;김희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01-513
    • /
    • 2011
  • Purpos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a combination of Roy's adaptation theory and Lazarus & Folkman's theory of stress - appraise co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effect factors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fter this, a model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as constructed. Method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369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Korea, which was analyzed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LISREL 8.7. Results: This theoretical model explaine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t 75.0% in Korea. Physical symptoms, loneliness,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fficacy directly affecte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directly affecte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rough self-efficacy.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basis for the future health care of university- centered health centers. For improving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education and nursing measures for reducing physical symptoms, loneliness and acculturation stress, and improv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self-efficacy are proposed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Major Satisfaction of Som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on Campus Life Adaptation)

  • 윤현경;최미숙;조우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ould have on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Methods: The total 396 students were surveyed who majored in dental hygiene in universities located at Gyeongbuk and Gyeongnam from October 15, 2013 to October 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7.0 program, along with th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ptitude and interest' were found to be greatest factor among the motive for application among th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elasticity had a correlation of 0.741 and the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of 0.420 in the self-efficacy, while th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daptation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as high as over 0.4 in the self-elasticity(p<0.0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p<0.05). Conclusions: To increase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plore the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self-elasticity and overall major satisfaction.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업만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self-elasticity of student in dental hygienic influences study satisfaction and life adaptation of college)

  • 윤현경;최미숙;이종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335-3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이 학업만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아탄력성 향상과 학업만족,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구 경북지역의 2개 대학교 치위생과 1, 2, 3학년 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설문 조사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은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감정통제, 자신감으로 구분되었고, 학업만족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구분되었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만족은 높았고, 자아탄력성과 학업만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높았다(p<0.001). 이에 대학생활 적응을 보다 증진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 개선과 목표설정, 분노조절, 동기부여 등의 자아탄력성 조절능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학년과 학제에 맞는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한 운영과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8-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역할을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시와 P시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 2개교에서 간호대학생 55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07일부터 11월 25일까지였다. 설문에 응답한 데이터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86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97점,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3.34점이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r=.640, p<.001),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r=.510, p<.001), 간호전문직관과 대학생활적응(r=.448, p<.001)은 각각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조절효과(F=8.460, p=.004)와 부분매개효과(${\beta}=.21$, p<.001)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전문직관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 이현숙;양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05-21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사에서 교수로의 역할적응 경험 (Experience of Role Adaptation from Nurse to Member of the Nursing Faculty)

  • 박광옥;김종경;유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8-18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erience of role adaptation from nurse to member of the nursing facul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 members of a nursing facul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ain question asked was "Could you describe your experience from being a nurse to becoming a member of the nursing faculty?" Qualitative data from the field and transcribed notes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e core experiential category of role adaptation from nurse to member of the nursing faculty was 'striving for survival from culture shock'. The participants used the following three interactional strategies: 'recognizing everything and entering the school environment', 'self-reflection on being a professor and integration of experiences', and 'finding a way of adapting'. Conclusion: The participants tried to adapt to life as a professor and reflected on and integrated their experiences into their new life on the faculty. College faculty ne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hanges and challenges faced by new professors during role adaptation and to support this adaptation through mentorship and organized orientation programs.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Teaching-Friendly Learning Activiti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 김경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97-40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학습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2학년 1학기 G지역 소재 대학의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0.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수친교형 학습활동이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과대학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 집단의 대학에 대한 애착 수준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 집단의 대학에 대한 애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iddle-aged and Elderly Adult Learning on the Happines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안근필;김문섭;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55-260
    • /
    • 2021
  • 본 연구는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위치한 2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고령 성인학습자 321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은 50대와 2학년, 건강상태가 좋은편이다가 높게 나타났고, 행복감은 여성과 60대, 3학년, 부부만 사는 가구형태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과 행복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 중 내적성장 만족과 의미추구 만족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소인 성인학생관계적응이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긍정적인 경험이 학생 관계와 심리적인 안정감 및 육체적인 긴장을 완화시키고 내적인 성장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감을 향상시킴으로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 고경필;심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9-391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스트레스가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의 완화, 가족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이승주;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69-27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최소 1학기의 임상실습을 이수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145명의 학생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4일부터 6월 16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그릿(Grit)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7, p=.047)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31, p<.001)가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에 그릿(Grit)과 스트레스는 11.2%의 설명력(F=9.98, p<.001)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그릿(Grit)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