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regeneration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42초

원도심 활성화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서구 원도심의 지역 회복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ld Down-town Activation Indicator -Focusing on Improving Urban Resilience in the Old Down-town of Seo-gu, Incheon-)

  • 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61-569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진단하여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천시 서구 원도심지역의 회복력향상을 위한 활성화 지표개발을 위해 도시재생의 범주에서 활용중인 회복력 유사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예비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의견조사를 통해 지표의 적합성과 중요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활성화지표는 인구의 안정성, 사회적 포용성, 산업의 다양성, 지역의 생산성, 환경적 지속성, 사회기반의 편의성 등 총 6개 구성영역으로 정립하였다. 도출된 60개의 예비지표를 기준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선정된 지표는 42개로 경제활동가능 인구의 확보, 생활형인프라 구축과 정주환경개선, 그리고 산업단지가 포함된 서구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의 고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지표의 객관성을 보완하고 회복력 지수 산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정량적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지역의 쇠퇴진단에 주목하는 기존연구를 보완하며, 회복력의 개념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한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이다.

Efficient (3R)-Acetoin Production from meso-2,3-Butanediol Using a New Whole-Cell Biocatalyst with Co-Expression of meso-2,3-Butanediol Dehydrogenase, NADH Oxidase, and Vitreoscilla Hemoglobin

  • Guo, Zewang;Zhao, Xihua;He, Yuanzhi;Yang, Tianxing;Gao, Huifang;Li, Ganxin;Chen, Feixue;Sun, Meijing;Lee, Jung-Kul;Zhang, Liaoy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92-100
    • /
    • 2017
  • Acetoin (AC) is a volatile platform compound with various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AC contains two stereoisomeric forms: (3S)-AC and (3R)-AC. Optically pure AC is an important potential intermediate and widely used as a precursor to synthesize novel optically active materials. In this study, chiral (3R)-AC production from meso-2,3-butanediol (meso-2,3-BD) was obtained using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cells co-expressing meso-2,3-butanediol dehydrogenase (meso-2,3-BDH), NADH oxidase (NOX), and hemoglobin protein (VHB) from Serratia sp. T241, Lactobacillus brevis, and Vitreoscilla, respectively. The new biocatalyst of E. coli/pET-mbdh-nox-vgb was developed and the bioconvers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86.74 g/l of (3R)-AC with the productivity of 3.61 g/l/h and the stereoisomeric purity of 97.89% was achieved from 93.73 g/l meso-2,3-BD using the whole-cell biocatalyst. The yield and productivity were new records for (3R)-AC production. The results exhibit the industrial potential for (3R)-AC production via whole-cell biocatalysis.

전방 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의 파열부위 안정성에 따른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 in relation to stability of longitudinal meniscal tear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서승석;김창완;김진석;김전교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1-97
    • /
    • 2010
  • 목적: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의 치료에 있어 파열 부위 안정성에 따른 결과를 임상적 평가 및 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급성 전방 십자인대 파열 및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로 수술을 받은 환자 32명,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봉합술을 시행한 군을 제 1군,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을 제 2군, 파열부에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임상적 관찰을 한 군을 제 3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평가 및 2차 관절경 검사 소견을 이용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로 Lysh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주관적 검사는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KT-1000 관절계는 모든 군에서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2차 관절경 소견상 제 1군에서는 완전 치유 12례, 불완전 치유 4례, 치유 실패 1례였다. 제 2군은 절제면의 부분적 재생이 관찰되었으며, 제 3군에서는 완전 치유 4례, 치유 실패 9례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의 종파열 시 파열부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녹차 카테킨, Epigallocathechin Gallate (EGCG)의 흰쥐췌장종양 선 세포 AR42J의 MAP Kinase 세포 신호전달 기전을 통한 Neurogenin 3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GCG on Expression of Neurogenin 3 via the MAP Kinase Signaling Pathway in AR42J Cells, a Rat Pancreatic Tumor Cell Line)

  • 김성옥;최원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3호
    • /
    • pp.196-202
    • /
    • 2011
  • 본 연구는 EGCG의 항 당뇨 활성기전으로 췌장종양 선세포 AR42J의 분화 및 내분비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그 세포 신호전달 기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AR42J 세포에 EGCG 처리 시 췌장종양 선세포의 세포증식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둘째, 세포사멸 유도가 유의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농도인 1uM EGCG를 AR42J 세포에 처리한 결과 ngn 3, ${\alpha}$-amylase, insulin은 EGCG처리 24시간에 mRNA, 단백질 발현증가를 나타내었고 48시간에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셋째, EGCG 처리 시 ERK, JNK MAP Kinase 기전은 인산화 억제를 나타내었고 반면에 p38 기전의 인산화는 48시간에 유의적 증가를 하였다. 넷째, p38기전 저해제인 SB203580을 처리하여 EGCG가 MAP Kinase 기전중의 하나인 p38 기전 인산화 활성의 회복을 나타내어 ngn 3 발현을 위한 전사 신호전달 기전임을 다시 확인하였다. 따라서 녹차 생리활성 성분인 EGCG의 췌장종양 선 세포 AR42J 처리 결과 EGCG는 p38 MAP Kinase 기전 활성을 통해 췌장 선세포의 분화지표인 ngn 3 발현을 증가시키며 췌장내분비 기능 지표인 ${\alpha}$-amylase, insulin 발현증가를 나타내어 세포의 내분비기능 개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Success of Thread-embedding Therapy in Generating Hair Re-growth in Mice Points to Its Possibly Having a Similar Effect in Humans

  • Shin, Hyun Jong;Lee, Dong-Jin;Kwon, Kang;Lee, Ji-Yeon;Ha, Ki-Tae;Lee, Chang-Hyun;Jang, Yong-Suk;Lee, Byung-Wook;Kim, Byung Joo;Jung, Myeong-Ho;Seo, Hyung-Sik;Jeong, Han-So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25
    • /
    • 2015
  • Objectives: Recently, thread-embedding therapy (TET) has been widely applied in Korean medicine for cosmetic purposes such as reducing skin wrinkles. An inserted thread was reported to have induced continuous stimulation, followed by support for connective tissue regeneration. However, the potential role of TET in hair-growth has not yet been reported. Methods: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whether TET has a hair-growth-promoting effect. C57 black 6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saline-treated, minoxidil-treated, and thread-embedded groups. Normal saline or 5% minoxidil was topically sprayed on the dorsal skin of the mice once a day for 16 days. Medical threads were embedded into the dorsal skin of the mice in a single application. Hair growth activity was evaluated by using dermoscopic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Sections of the dorsal skin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Expressions of bromodeoxyuridine (BrdU),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fibroblast growth factor-7 (FGF-7), and fibroblast growth factor-5 (FGF-5) were detected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was adopted to measure the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s of FGF-7 and FGF-5. Results: TET enhanced anagen development in the hair follicles of C57BL/6 mice. The expressions of BrdU and PCNA, both of which imply active cellular proliferation, were increased by using TET. Moreover, TE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FGF-7, an anagen-inducing growth factor, while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FGF-5, an anagen-cessation growth factor, both at the protein and the mRNA levels. Conclusion: TET enhanced hair re-growth in C57BL/6 mice. TET regulated the expressions of anagen-associated growth factors and activated the proliferation of hair follicular cells in depilated skin lesions. Considering its long-lasting effect, TET may be a good alternative therapeutic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조간대 퇴적물의 공극수 지구화학 : 1. 용존 영양염 (S, N, P)의 계절변화 (Pore Water Chemistry of Intertidal Mudflat Sediments: 1. Seasonal Variability of Nutrient Profiles (S, N, P))

  • 이창복;김동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20
    • /
    • 1990
  • 조간대 퇴적물의 공극수 화학과 초기 속성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기만 남동부 의 반월지역 조간대의 한 정점에서 1987년 10월 -1988년 10월 사이에 6차의 공극수 시 료가 채위 분석되었다. 시료채취 지점은 세립질 뻘 퇴적물이 분포하며 무산소 환경으 로 인해 생물교란이 없는 곳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와 영양염의 재생이 매 우 활발하였다. 공극수 내의 황상염 환원은 매우 급속히 이루어져, 해수로부터 공급된 황산염이 10 cm 깊이 이내에서 일차적으로 체거되는 현상이 겨울철을 제외한 전 시기 에 관찰되었다. 황산염 환원과 유기물 분해의 산물로서 생겨난 암모니아와 인산염은 공극수 내에 축적되어 수직적으로 심한 농도구배를 나타냈다. 봄철에서 초여름에 걸친 시기에는, 한편, 일차적인 황상염 환원대 아래쪽으로 2차적인 농도증가현상이 관찰되 었다. 공극수 내 황상염, 암모니아 및 인삼염 농도의 수직 분포에서는 계절적인 차이 가 나타났다. Berner (1980)의 속성모델을 적용하여 황산염 환원과 영양염류 재생의 반응속도를 정량화시킨 결과 여름철과 겨울철 사이에 약 10배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 차이는 계절적인 온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형양염 농도구배로부터 계산된 C : N : P 비도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 PDF

UV/GAC 흡착산화 공법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 2차 계통 냉각수로부터 발생하는 에탄올 아민 함유 폐수처리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Ethanolamine from Coolant of the Secondary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by UV/GAC Adsorption Oxidation Method)

  • 최민준;김한수
    • 공업화학
    • /
    • 제28권3호
    • /
    • pp.318-325
    • /
    • 2017
  • 원자력발전소 2차 계통수에 사용되는 에탄올아민이 포함된 오염수는 복수탈염설비의 이온교환수지에서 포집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과정에서 에탄올아민과 다량의 이온성 물질이 포함된 강산성 폐수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이온교환수지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자외선 산화방법을 적용하였다. 산화방법은 흡착제를 함께 사용한 자외선 산화와 흡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자외선 산화만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자외선 산화방법에서 흡착제가 폐수처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입상활성탄을 흡착제로 적용한 UV/GAC산화공정은 pH 12.8에서 COD 제거 효율은 71.3%로 나타났다. 동일한 pH 조건에서 흡착제를 적용하지 않은 UV 산화공정보다 COD 제거 효율이 21.8% 높게 나타났다. T-N의 제거는 pH 12.8일 때 88.6%로 흡착제를 적용하지 않은 UV산화공정보다 18.0%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입상활성탄이 에탄올아민을 고정시켜서, UV 램프에 의한 산화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UV/GAC 흡착산화공정이 에탄올아민 함유 폐수의 처리에 더 효율적이다.

가토 악하선 도관 결찰과 절단 후 악하선 세포의 증식에 관한 전자 현미경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PROLIFERATION OF RABBIT SUBMANDIBULAR GLANDULAR CELL AFTER DUCT LIGATION AND CUT)

  • 한승우;김경욱;이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316-333
    • /
    • 1998
  • Obstructive sialadenitis of major salivary glands is a common entity that occurs either in sialolithiasis or in foreign-body obstruction of the excretory ducts. This is characterized histologically by the presence of duct-like structural groups in a highly fibrotic stroma. Although the pathologic features are well recognized, the various cell types involved in the atrophy and subsequent regeneration of the obstructed salivary gland have been controversial. For this reason, an animal model of obstructive sialadenitis that induced atrophy in the salivary gland was used.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changes of submandibular gland in rabbit and apply the results to clinical activity. Forty-five rabbits each weighing about 3Kg were used and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ducts of submandibular gland was ligated and cutted divided into each twenty rabbits. Rabbits were serially sacrificed on the 3rd, 5th, 14th, 30th day of experiment. The submandibular glands were dissected out at sacrifice and stained with H&E, MT, immunohistochemical stain and the histological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under the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fter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all specim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features of H&E stain, moderat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 were present at 3rd day of experiment. The features of ductal metaplasia was observed after 7th day in the ligation group and destructive changes was continued. In the cutting group, atrophic changes were less severe than ligation group but the small ductule were separated from stroma after 7th day. 2. In the feature of MT stain, apposition of connective tissue was increased in all group, more active in ligation group. 3. In the feature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ligation group showed increased PCNA positive response at 7th day and the higher activity of duct cells was observed. Severance group showed more PCNA positive response than ligation group at 30th day. 4. In TEM features, ductal metaplasia was started at 7th day and degenerative change with margination of nucleus had been severe. Although ductal metaplasia was seen in the severance group, more numerous granule in different size was founded than ligation group. From above results, degenerative change was identified with ductal metaplasia, apically apposition of granule, r-ER destruction in ligation group. Severance of duct elicit degenerative change of grandular cells but the change was less severe than ligation group and more PCNA positive cell was founded at acinar cell.

  • PDF

GIS를 활용한 도심 공간기능분석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owntown Spatial Functional Analysis and Downtown Classification using GIS)

  • 김흥관;신용은;백태경;강기철;정희수;오주헌;여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86
    • /
    • 2007
  • 부산시의 도심(축)에 속하는 15개 동을 대상으로 2000년, 2005년 두 개 연도를 LQ지수와 군집분석을 통해 도심의 공간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0년도의 LQ지수를 분석한 결과 2차산업은 재래시장과 대규모 상권이 형성된 지역에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3차산업은 금융권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에서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2005년도의 LQ지수는 2000년도의 LQ지수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3차산업에 속하는 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구도심에서 급격히 쇠퇴하고 신도심으로 대변되는 서면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특화되고 있었다. 이는 과거 구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신도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도심의 도심의 성격을 지닌 주요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 LQ지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군집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먼저 1군집은 도심 쇠퇴현상이 나타나는 구도심지역이고, 2군집은 주거기능이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며, 3군집은 현재, 도심의 공간기능이 매우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구도심의 쇠퇴를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도심재생방안 수립과 신도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산업별 특화도에 따라서 도심 공간기능이 배치되므로 이에 지역에 적합한 산업의 도입과 함께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 PDF

GC/microreactor를 이용한 소성온도에 따른 CuO-Fe2O3 흡수제의 탈황성능 (Desulfurization Ability of CuO-Fe2O3 Sorbents with Respect to the Calcination Temperature by GC/microreactor)

  • 이효송;김진용;김정수;이영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40-14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주 반응물질로 CuO를 사용하고, $Fe_2O_3$의 함량을 7.5 wt%, 15 wt%, 22.5 wt%로 변화시키고, 지지체 $SiO_2$의 함량을 25 wt%로 고정하여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특히 소성온도의 변화에 따른 흡수제의 탈황성능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흡수제의 소성 온도를 700, 900 그리고 $1,100^{\circ}C$로 달리하여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제저된 흡수제는 GC/소형반응기를 이용하여 사이클 실험을 하였으며, 이때 흡수제의 황화온도는 $500^{\circ}C$, 재생온도는 $700^{\circ}C$로 하였다. 반응 전후의 XRD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의 형태를 확인하였으며, BET 분석을 통하여 소성온도의 변화에 따른 흡수제의 표면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장기사이클에서 $700^{\circ}C$에서 소성된 CFS3 흡수제(CuO : $Fe_2O_3$ : $SiO_2$=52.5 wt% : 22.5 wt% : 25 wt%)의 $H_2O$의 유/무에 따른 탈황성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성온도에 따른 비표면적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장기사이클에서 $H_2O$에 의한 탈황성능의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100^{\circ}C$에서 소성된 CFS1 흡수제(CuO : $Fe_2O_3$ : $SiO_2$=67.5 wt% : 7.5 wt% : 25 wt%)의 경우에는 $H_2O$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100 사이클이 지난 후에도 흡수제 100 g당 10 g의 황을 제거할 수 있는 탈황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