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on of the children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6초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 교사의 변화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165-201
    • /
    • 2020
  • 본 연구는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유아교육의 언어교육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언어 교육의 세부 주제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참여한 기독교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3일 ~ 12월 28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활동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 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거쳤다. 연구 결과,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대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 경험은 인지적 변화, 인성적 변화, 실천적 변화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유아 언어교육의 발달적 성취와 결과보다는 '언어교육활동의 과정'의 인지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 교육 영역의 분리가 아닌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교사중심의 형식적 언어교육과 더불어 '유치원 생활 속의 비형식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유아 언어 교육의 효과성 검증보다는 '유아 중심의 의미 있는 언어교육 경험'이 중요하다는 인지적 변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자신감 있는 교사', '전문성 있는 교사', '반성적 사고와 태도를 가진 교사'로서 인성적 변화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긍정 언어의 힘'을 인식하였고, '바른 언어 사용 습관' 형성과 '기독교 교육과 유아교육 연계'를 위해 노력하는 실천적 변화가 있었다.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교육 활동 개발을 통해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예측할 수 없는 교육 상황과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현실 속에서 유아를 위한 진정한 유아 교사가 되기 위한 마음 자세와 교사로서 요구되는 열정의 자질을 함양하게 되어 교사 효능감이 증진되었다. 향후, 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이 연계된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 체계적 고찰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ensory Stimulation of ADH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이나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1-60
    • /
    • 2011
  • 목적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감각자극의 종류, 측정도구, 그리고 반응으로 알아보고, 행동학적 특성은 측정도구, 빈도, 측정도구별로 공통된 문제 항목을 분석하여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1990년 1월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Riss4U, MEDLINE/PubMed, CINAH을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HD,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ensory integration, SP, SSP, SOR, TIE, CSP, SEP, EDR"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ADHD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5개(33.33%)이고, 행동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10개(66.67%)이며, 두 가지를 병행한 연구는 2개(13.33%)로 전체 15개(100%)논문을 분석하였다. 2.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5개 중, 촉각과 고유 감각 자극을 사용한 연구는 3개, 후각, 청각, 시각, 촉각, 전정감각을 모두 사용한 연구는 2개였다. 3. 행동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0 중, SP는 5개, SSP는 3개, SOR은 2개, TIE는 1개, CSP는 1개이다. 4.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일차감각피질의 손 영역에 있는 신경원세포의 활동전위에서 큰 반응을 보였다. 반응 시 초기에 큰 반응을 보였고 뒤로 갈수록 빠른 습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 시에 많은 비 특이적 반응을 보였다. 5. 행동학적 반응특성은 부주의/산만, 전정감각처리,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조절,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을 보이는 특성이 있었다. 결론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을 아는 것은 ADHD아동의 감각조절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 PDF

과천지역 초등학생의 Leptin 수준과 열량섭취, 체중 및 비만도 변화와의 관계 (Serum Leptin Levels and Changes in Body Weight and Obesity Index in Gwache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인경;강재헌;송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8호
    • /
    • pp.736-744
    • /
    • 2007
  • 과천에서 진행되고 있는 소아 코호트의 1차년도와 2차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했던 소아 375명(남아 : 195명, 여아 : 180명)을 연구 대상으로 leptin 수준을 삼분위수로 나누어 leptin 수준에 따른 신체조성 성분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도 비만 유병률은 남학생이 경도비만 8.7%, 중등도 비만 3.6%였고, 여학생은 경도비만이 1,7%로 관찰되었다. 2) 1, 2차년도의 비만지수(OI), BMI, 허리둘레 수치와 2차년도 leptin, 체지방률, 체지방량 수치들 상호간의 관계를 보았을 때, 남학생의 혈중 leptin 수준과 신체지수와의 관계는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허리둘레, 제지방량의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leptin의 농도가 높을수록 현재의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도, 허리둘레, 체지방률이 높았다(p<0.001). 이는 여학생의 경우에도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leptin과 지방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과의 관계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혈중 leptin 수준을 삼등분하여 그 수준이 최상위 삼분위에 포함되는 어린이 집단의 비만 유병률은 남 34.3%, 여 5% 이었으나 최하위군 에서는 0%이었다. 최상위군의 경우 1년 전의 비만유병률도 유사하였다(남 34.3%, 여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아의 leptin 수준은 현재의 비만도를 반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1년 전의 비만상태도 예측이 가능하다. 비만도가 높은 소아의 경우 적극적 개선이 행해지지 않으면 체중 및 비만상태가 1년간 지속되므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을 조기에 예측, 관리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1형 당뇨병을 가진 소아와 청소년에서 란투스 치료의 혈당 조절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Lantus on glycemic contro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 이영준;채현욱;김호성;김덕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6호
    • /
    • pp.565-569
    • /
    • 2007
  • 목 적 : 란투스는 최대효과 없이, 24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되기 때문에 NPH에 비해 생리적인 기저 인슐린 대체 제제이다. 1형 당뇨병 소아 및 청소년에서 란투스와 휴마로그의 병합 치료와 혼합형 인슐린의 혈당 조절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방 법 : 혼합형 인슐린에서 란투스와 휴마로그의 병합 치료로 인슐린 요법을 바꾼 1형 당뇨병을 가진 20세 미만의 환아 25명을 대상으로 란투스 시작 전과 시작 6개월 후의 하루 인슐린 투여량, 월간 저혈당 횟수, 공복시 혈당, C-peptide 농도 및 당화혈색소를 비교하였다. 이들 중 11명의 환아와 혼합형 인슐린을 사용하는 1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24시간 자가 혈당 검사를 시행하여 매 식사 30분 전과 식후 30분 간격으로 2시간 동안의 혈당과 취침 전의 혈당 비교하였다. 결 과 : 란투스 치료 6개월 후 저혈당 빈도가 월간 15.1회에서 7.6회로 50% 감소하였으며, 특히 야간 저혈당 빈도는 월간 6.7회에서 2.5회로 67% 감소하였다. 당화혈색소는 란투스 치료 6개월 후 9.3%에서 8.7%로 감소하였다. 24시간 혈당 검사에서는 란투스를 사용하는 군에서 아침 식후 30분, 60분, 90분, 120분에서의 혈당이 혼합형 인슐린을 사용하는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24시간 평균 혈당은 란투스 사용군이 $164.1{\pm}78.2mg/dL$로 혼합형 인슐린 사용군의 $211.5{\pm}108.7mg/dL$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 1형 당뇨병 소아 및 청소년에서 란투스와 휴마로그의 병합 치료는 혼합형 인슐린과 비교하여 혈당 조절에 보다 효과적이고, 특히 야간 저혈당 감소에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정비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연남동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lderly Residents on the Planned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 Focused on the Project of Yonnam-dong -)

  • 김아름;구자훈;이주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03-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elderly resident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s and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e survey include questionnaires about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project maintenance factor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it shows that 'the possible overkill area' on the IPA action grid includes none of factors except 'landscape' which is very similar to mean of performance score. the result of analysis means that the project is very efficient. Secondly, the policy is necessary to improve 'pedestrian passage', 'public open space'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Considering elderly residents especially 'pedestrian passage' and 'public open space' are in need of improvement immediately. In detail 'traffic facility', building 'urban park' and 'pedestrian passage', 'paving of pedestrian passage', 'children's playground' are in need of improvement as well. The results of analysis on elderly and non-elderly residents of Yonnam project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improvement.

Potential health effects of emerging environmental contaminants perfluoroalkyl compounds

  • Lee, Youn J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56-164
    • /
    • 2018
  • Environmental contaminants are one of the important causal factors for development of various human diseases. In particular, the perinatal period is highly vulnerable to environmental toxicants and resultant dysregulation of fetal development can cause detrimental health outcomes potentially affecting life-long health. Perfluoroalkyl compounds (PFCs), emer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man-made organic molecules, which are widely used in diverse industries and consumer products. PFCs are non-degradable and bioaccumulate in the environment. Importantly, PFCs can be found in cord blood and breast milk as well as in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otential toxicity, many studies have evaluated the health effects of PFCs. This review summarizes the epidemiolog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ddressing the association of PFCs with neurotoxicity and immunotoxicity. While the relationships between PFC levels and changes in neural and immune health are not yet conclusive, accumulative studies provide evidence for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PFC levels and the incidenc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reduced immune response to vaccination both in children and adults. In conclusion, PFCs have the potential to affect human health linked with neurological disorders and immunosuppressive responses.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effects of PFCs on human health is still in its infancy. Therefore, along with efforts to develop methods to reduce exposure to PFCs, studies on the mode of action of these chemicals are required in the near future.

농촌지역의 노인학대 위험요인과 사회지원체계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Elder Abuse and Social Support System in Rural Area)

  • 박옥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9-384
    • /
    • 2009
  • Research method was a case study as narrative metho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round 21 sufferers of elder abuse in rural area and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m directly. Conclusively, the majority of sufferers of elder abuse were physically very low in the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ad been bereaved with no spouse. The relations of abused parents and the adult children were much disagreed and divided as unrecovered. Their economic reliance and physical reliance were much overlapped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low income level. In case of the abused old people, they had severe low self respect and melancholy, so they considered severely suicide so much as invaluable as their existing value. In spite of over 80.5 years old average, the abuse action had continued for 6 months to 50 years long and the intensity of the abuse was more strengthened. The majority of abused old people refused mostly the entranc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and also they desired to live in present living area and their own houses.

  • PDF

생식 · 발생독성시험의 방법적 고찰과 최신 연구 동향 (The Recommended Approaches and Recent Trends i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ology)

  • 곽승준;조대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271-278
    • /
    • 2005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ology is concerned with various physical or chemical agents interfering with fertility in both gender or normal growth of offsprings.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ology is rather a complex science, with many fields, i.e., various endpoints are involved and many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For that reason, diverse aspects must be considered when attempting to assess possible adverse health effects in the area of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ology. The thalidomide tragedy made it clear to regulatory authorities around the world that systematic,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reproductive cycle was needed to adequately evaluate the potential of medicinal drugs to impair the process of reproduction or the development of embryos, fetuses, and childre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the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 an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developed a guideline to assess th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Also these guidelines have since been applied to the detection and regulation of environmental toxicants, food additives, and so on. Although it was hoped that testing procedures of guideline would be updated constantly to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the science i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ology, it was not until this decade that regulatory guidelines and testing methods have been altered in a significant wa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recommended approaches and recent trends for improvement of testing guidelines or experimental methods i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ology.

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선호에 관한 연구 (The Second Childbirth Preference of Married Women with a Child)

  • 한은주;박정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1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rried women with a child perceived the low-fertility issue in order to increase the success of policy decisions for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and to present alternatives. The study subjects were 327 married women with a child who resided in Dongjak-gu, Seoul. After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1.5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rried women who already had one child found it ideal to have two children. In fact, however, 36.4% had determined not to have another child, and only one parent wanted to have a second child in 26.9%. Second, they took a dismal view of the government's fertility encouragement policies, and they considered it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ursue a more down-to-earth measure. Third, economic aid for child rearing and education was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way to boost the childbirth rate. In conclusion, current national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the low-fertility rate are redundant if they are only designed to publicize government action. Actions need to be taken to assist married women in taking better advantage of the existing policies.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노인의 적응과정 (Adaptation Process to Group Home Living by Older Adults)

  • 윤희숙;석소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58-87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adaptation process of older people to group homes. Methods: Participants were twenty older adults aged 65 or older who were living in group h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5.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From open coding, 100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identified. Analysis show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older people to group homes was 'gradually giving up'. Causal conditions were 'good-for-nothing body', contextual conditions were 'pushed', 'beleaguered'. Intervening conditions were 'reliable pillar: children', 'having affection (情) more than having it from family: facility workers', 'comfort - like feeling at home', 'relieved: system'.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facing the unfamiliar reality',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ccepting reality'. Consequences were 'a good place, more than expected', 'hope for the remaining days', 'waiting for a peaceful dea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older people to group hom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polic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small scale facilities which can help older adults adapt easily to th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