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nitum pseudolaeve Nakai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韓國産) 부자류(附子類) 생약(生藥)에 관한 연구( IV. )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의 diterpene alkaloid에 대하여- (Studies on Korean Aconitum Species ( IV ). -Alkaloids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 정보섭;이현선
    • 생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1-187
    • /
    • 1988
  • $Two\;C_{19}-diterpene\;alkaloi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Aconitum psedolaeve var. erectum Nakai, and identified as lycoctonine and septentriodine by UV, IR, MS and NMR data.

  • PDF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의 생리활성과 진범 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Activity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Nakai and Its Effect on Perfume on an Electroencephalogram (EEG))

  • 이진영;최연희;이새미;이수연;전혜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14-1223
    • /
    • 2012
  • 본 연구는 진범의 in-vitro 생리활성과 진범 향이 신경생리학적으로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범 향 및 재조합 향 흡입 시 흡입 전에 비해 뇌파지표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AA)와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AT)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진범과 진범 재조합 향 흡입 시 출현한 파형의 유발 부위가 각각 조금씩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는 하였지만, 동일하게 alpha와 theta파가 나타났으며, 증가율 역시 향 흡입 시 감소하는 동일 양상을 나타내어 뇌에 각성효과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진범의 생리활성 검증 결과 수렴효과를 제외한 DPPH, collagenase, nitric oxide 저해활성 검증에서 진범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특히 collagenase저해활성에서 진범 에탄올 추출물 500 ppm에서 8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nitric oxide 저해활성에서 진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 ppm에서 50% 이상의 NO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진범은 화장품 및 향료 개발의 천연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thnobotanical Investigation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 of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 Lee, Ho-Young;Lee, Ji Yeon;Kang, Shin-Ho;Chung, Kyong-So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23-639
    • /
    • 2017
  • We investigated traditional knowledge about ethnobotanical uses around national parks in the northern areas of Province Gyeongsangbuk-do, with the focus on the Sobeaksan National Park area.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38 residents at 42 places from 7 counties and/or cities, and verified species and usage information were categorized by taxonomic groups, usage, and used parts. The ethnobotanical species of the regions consisted of a total of 277 taxa: 244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2 forma in 213 genera of 79 families. The significant native plants included one Endangered Species (Paeonia obovata Max.) and four endemic species (Salix hallaisanensis H. Lev., Aconitum pseudolaeve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and Cirsium setidens (Dunn) Nakai, Sasa coreana Nakai). About 17 Approved Species for Delivering Overseas designat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been also traditionally valuable in the regions. The main usage of the plants were edible (185 taxa) and medicinal (175 taxa). Leaves were most commonly used parts (109 taxa), followed by stems (73 taxa), fruits (69 taxa), roots (67 taxa), and wholes (57 taxa). The traditional usage of plants were diverse as those useful parts. Leaves, fruits and seeds were used as edible and medicinal; sprouts (young shoots) were mainly used as edible; but roots and flowers were used as medicinal. The study does not only provides examples of traditional uses of native plants, but also facilitates sustainable managements and developments of ethnobotanical knowledg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Flora of a Cool Temperate Forest Around Restoration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Yeongyang

  • Kim, Seongjun;Lee, Chang-Woo;Park, Hwan-Joon;Lee, Byoung-Doo;Hwang, Jung Eun;An, Jiae;Park, Hyung Bin;Baek, Ju Hyeong;Kim, Pyoung Beom;Kim, Nam Youn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70-75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ed to clarify flora living at the area of Restoration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in Yeongyang, Gyeongbuk Province. In May, August, and September 2019 and in May and July 2020, all of vascular plants were recorded, and endangered, Korea endemic, and exotic plant species were further identified. The study site contained a total of 418 floral taxa (98 families, 261 genera, 384 species, 4 subspecies, 27 variations, and 3 formations), in which Magnoliophyta accounted for larger proportion (95.2%) than Pteridophyta (3.6%) and Pinophyta (1.2%). In addition, 1 endangered (Cypripedium macranthos Sw.) and 5 Korea endemic species (Aconitum pseudolaeve Nakai,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Nakai] C.H. Kim & B.-Y. Sun, Lonicera subsessilis Rehder, Paulownia coreana Uyek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were detected. The number of exotic species was 33, consisting of 4 invasive-exotic, 4 potentially invasive-exotic, and 25 non-invasive species. Compared to a previous assessment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in 2014), there were increases in total floral taxa (from 361 to 418), endangered species (from 0 to 1), and exotic species (from 26 to 33). These results possibly reflect temporal changes in floral community, which should be confirmed through subsequent long term monitoring.

태백산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Mt. Taebaeksan(Taebaek-si), Korea)

  • 신현탁;윤정원;김상준;허태임;권영한;임동옥;안종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9-332
    • /
    • 2015
  •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산 도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의 분포조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79과 238속 352종 4아종 43변종 7품종 40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산식물은 키버들, 진범, 홀아비바람꽃 등 8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 두메개고 사리 등 4분류군, LC등급 세잎종덩굴, 너도바람꽃, 등칡 등 12분류군까지 총 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7분류군으로 V등급 좀미역고사리, 눈측백, 승마 3분류군, IV등급 골개고사리, 들바람꽃, 회리바람꽃 등 14분류군, III등급 분비나무, 주목, 거제수나무 등 31분류군, II등급 다람쥐꼬리, 좀나도히초미, 가래고사리 등 32분류군,I등급 관중, 낚시고사리, 잣나무 등 27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소리쟁이, 유럽점나도나물 등 1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5%, 귀화율은 3.9%로 각각 나타났다.

DMZ 접경지역 인근 고령산·개명산(파주시, 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 김상준;신현탁;안종빈;허태임;권영한;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4-280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산·개명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79속 391종 4아종 49변종 6품종으로 총 45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왜박주가리,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등 총 5분류군,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등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7.7%, 10.9%로 나타났다. 조사된 45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6분류군(27%), 목초용 173분류군(25%), 약용 149분류군(22%), 관상용 51분류군(7%), 목재용 20분류군(3%), 염료용 13분류군(2%), 섬유용 4분류군(1%), 공업용 5분류군(1%)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92분류군(13%)으로 나타났다.

의령 지역의 식물상 - 자굴산, 676고지, 벽화산, 방어산을 중심으로 - (Flora of Uiryeng Area - Mainly based on Mt. Jagul-san, Mt. 676 Highland, Mt. Byeokhwa-san, Mt. Bangeo-san -)

  • 황희숙;신영화;고성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6-88
    • /
    • 2011
  • 경상남도 서남부의 의령군에 소재하고 있는 자굴산(897.1 m), 676고지(676 m), 벽화산(522 m) 및 방어산(530.4 m)의 관속식물상을 2008년 4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의 총 분류군 수는 103과 319속 496종 1아종 77변종 6품종으로 총 580분류군이었으며, 문헌상 증거표본이 있는 경우의 자료를 추가하면 총 109과 362속 648종 3아종 81변종 12품종으로 총 744분류군으로 한반도 전체관속식물종의 16.2%에 해당된다. 조사지 전반의 식생은 소나무와 Quercus의 혼효림이며, 식생이 비교적 우수한 지역은 자굴산 동사면의 백운암 주변 계곡과 676고지의 남서사면지역, 벽화산의 동사면지역, 방어산의 북사면지역 등이다. 비교적 많은 분류군이 채집된 10개 과는 국화과, 벼과, 콩과, 백합과, 장미과, 사초과, 꿀풀과, 마디풀과,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꽃과의 순이며 전체 생육분류군 수의 50.00%에 해당된다. 조사지에서 생육이 확인된 특산식물은 떡버들 키버들, 할미밀망, 자주꿩의다리, 진범, 세뿔투구꽃, 고광나무, 고양싸리, 노랑갈퀴, 버들회나무, 노각나무, 흰바디나물을 포함하는 19분류군이고,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깽깽이풀, 금강제비꽃 등을 포함하는 8분류군이며, 귀화식물은 38분류군으로서 전체식물의 5.11%, 유용식물은 총 463분류군으로서 식용식물 231분류군, 약용식물 193분류군, 관상용 65분류군, 사료식물 234분류군, 산업용식물 3분류군, 목재용식물 17분류군, 염료용식물 18분류군, 섬유용 식물 7분류군으로 이는 한반도 전체식물의 10.06%이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은 분포식물분자로 볼 때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부아구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