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ity %28pH%29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6초

딸기 첨가 수준을 달리한 딸기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trawberry Puree)

  • 김진숙;강은정;장영은;이지현;김기창;김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25-731
    • /
    • 2013
  • 딸기 과실과 설탕 이외에 젤리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산, 펙틴 등을 따로 첨가하지 않고 딸기와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딸기를 70~30% 수준으로 감소한 처리구의 당도는 $59.00{\sim}77.33^{\circ}Brix$, pH는 4.17~4.28으로 증가한 반면, 총산도는 1.55~0.31%로 감소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드는 S1~S5 처리구의 L값은 5.36~30.83, a값은 27.83~37.19, 그리고 b값은 9.08~40.52로 모두 증가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딸기잼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펙틴 함량은 각각 9.91~5.15 mg/g, 4.86~1.46 mg/g으로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량에 따른 딸기잼의 물성 측정 결과에서도 hardenss, gumminess 및 chewiness은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지는 S1~S5 처리구의 glucose, fructose 함량이 감소된 반면 sucr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기산 구성은 oxalic aic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ormic acid으로 조성되었고, 이들 함량 변화는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산과 펙틴 등의 첨가물 없이 딸기와 설탕으로만 잼 제조가 가능하지만 색, 맛 등의 품질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과실잼은 과실과 설탕을 동량인 50%(w/w) 수준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과실을 60~70%(w/w) 수준으로 높인 고품질 딸기잼은 당도, 유리당,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품질이 좋았다. 하지만 당도 $65^{\circ}Brix$ 이하인 점을 고려하여 저장안정성 연구, 안토시아닌 색소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순창지역 메주 발효 중 미생물과 효소역가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at Sunchang Area)

  • 유진영;김현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48-454
    • /
    • 1998
  • Meju for doenjang and kochujang was prepared as a model at Sunchang areaand monitored with major changes. Kochujang meju was prepared on September 12 and doenjang meju on November 12, 1995. Kochjang meju was found to be naturally fermented at 80~90% RH, 15~2$0^{\circ}C$ and doenjang meju was at 80~90% RH and 0~5$^{\circ}C$. The shapes of kochujang meju and doenjang meju were doughnut-type and rectangular, respectively. Weight losses during fermentation were 48% and 28%, respectively. The pH drop and acip production of kochujang meju were negligible. However, pH of doenjang meju decreased from 6.29 to 5.88 and acidity increased from 0.08 to 0.23% as lactic acid. Protein in meju was found to be rapidly solubilized during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Soluble protein cotents of kochujang meju after 7 days and 60 days were 8.23%, respectively. The doenjang mejus were 2.15% after 20 days and 5.72% after 60 days. Soluble suger content in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time. The solubl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kochjang meju. Acidic protease was highly produced during meju fermentation.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were detected in the kochujang meju, of which glutinous rice consisted, but negligible in doenjang meju. Lipase was detected in kochujang meju, but was, negligible in doenjang meju. Microbial population increased drastically after 7 days of fermentation in kochujang meju and 20 days of fermentation in doenjang meju.

  • PDF

Influence of Capsaicinoids Content on the Microbial Community during Kimchi Fermentation

  • Park, Boyeon;Yang, Ji-Su;Moon, Eun Woo;Seo, Hye-Young;Ha, Ji-H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0호
    • /
    • pp.1580-1590
    • /
    • 2019
  • Capsaicinoids in red pepper powder are known to show anti-bacterial effects; however, their effec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are not know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capsaicinoids on kimchi fermentation. Five sets of kimchi samples were prepared using 0 mg/kg (control), $98.34{\pm}5.34mg/kg$ (mild), $243.47{\pm}3.71mg/kg$ (medium), $428.63{\pm}30.78mg/kg$ (hot), and $1,320.49{\pm}28.27mg/kg$ (extreme) capsaicinoi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mchi sample, including pH, acidity, organic acid, sugars, sugar alcohol, capsaicinoid content, and microbial community were periodically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Kimchi with red pepper powder shows significantly higher acidity than control kimchi, whereas pH values were the same. Organic acid in kimchi with red pepper powder was higher than in control kimchi, probably caused by higher lactic acid bacteria (LAB) counts in kimchi samples with red pepper powder. Our results show that addition of red pepper powder decreased Leuconostoc spp. counts in the bacterial community. In particular, Lactobacillus sakei and Leuconostoc gelidum counts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capsaicinoid content of red pepper powder added to kimchi.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LAB such as L. sakei and L. gelidum are influenced by capsaicinoid content.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ercentage of red pepper powder in kimchi on fermentation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producing standardized kimchi.

인삼과 솔잎첨가에 따른 동치미의 물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Added with Ginseng and Pineneedle)

  • 김일경;신승렬;이주백;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75-581
    • /
    • 1997
  • 본 연구는 영양성과 약리성을 갖춘 품질이 우수한 동치미의 제조방법을 개발에 기여하고자 각종 약리효과가 있는 인삼과 솔잎을 첨가하여 숙성 중에 물성, pH와 산도 등의 변화를 조사하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치미의 숙성 중의 pH의 변화는 무처리구와 인삼첨가 구에서 숙성 8일, 솔잎첨가구는 숙성 15일 이후에 감소하여 숙성 22일에는 pH 4.0에 도달하였고, 그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다 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15일 이 후에 증가하였고 무처리구는 숙성 22일 이후에 감소하였다. 점도는 숙성 22일까지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에 다소 증가하였고, 탁도는 숙성 8일 이후부터 완만히 증가하였다. L값(명도)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22일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 이후에 다소 감소하였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15일에서 a값(적도) 은 감소하였고, b값(황도)은 증가하였다. 무의 경도는 숙성 1일에 6.81~7.47$\times$$10^{7}$ dyne/$\textrm{cm}^2$ 이었고, 숙성 8일 이후에는 1.70~2.17$^{7}$ dyne/$\textrm{cm}^2$으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에서 맛있는 지점인 pH 4.0에 도달했을 때의 맛의 균형(taste balance), 탄산미(carbonated flavor), 신맛(sour taste), 색(color), 신선한 맛(fresh-taste) 등은 솔잎첨가구와 인삼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기호성이 높았다.

  • PDF

뜰보리수 열매의 유용성분 분석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Em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 김남우;주은영;김성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34-539
    • /
    • 2003
  • 본 연구는 뜰보리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의 조사 및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완숙된 열매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뜰보리수의 수분함량은 82.34%이었고,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각각 15.4, 1.29, 0.79, 0.54%이었다. 과즙의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3.29, 0.64%이었으며, 당도는 14.0 Brix이었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각각 1.03, 3.27 g/100g이었고, 수용성단백질의 함량은 0.48g/100g이었으며, 폴리페놀의 함량은 0.28g/100g이었다. 유리당인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각각 401.96, 370.34 mg/100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총 유리당의 함량은 781.44mg/100g이었다. 유기산인 citric, malic, succinic acid의 함량은 각각 265.01, 18.16, 8.50 mg/100g이었고, 총 유기산의 함량은 294.44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중에서는 serine과 alanine의 함량이 각각 13.93, 13.16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cystine, methionine등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Phosphoetolamine, $\beta$-alanine의 함량은 각각 13.93, 13.16mg/100g으로 높았다. 그리고 총 아미노산 및 유사물질의 함량은 94.13mg/100g이었다. 환원형 비타민 C의 함량은 131.35mg/100g이었고, 산화형 비타민 C의 함량은 431.37mg/100g이었다. 무기질 성분 중에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의 함량이 각각 1627.44, 140.28, 56.70mg/100g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천도복숭아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nd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Nectarine Vinegar)

  • 정경임;정한나;하나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93-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천도복숭아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을 알아보았다. 천도복숭아식초의 pH는 3.70이였고, 당도는 $8.87^{\circ}Brix$였으며, 총산도는 6.29%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유기산 분석 결과 acetic acid가 32.42 m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lac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총 페놀함량은 $121.84{\mu}g\;TAE/100ml$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40% 농도에서 84.47%의 소거능을 보였다. SOD 활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89.06%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천도복숭아식초 100% 농도, pH 1.2, 3.0, 6.0에서 각각 94.17, 76.91, 20.21%로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 식초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DH 활성 및 ALDH 활성을 분석한 결과, ADH 활성 및 ALDH 활성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각각 153.61%와 178.2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천도복숭아식초는 기능성 건강음료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별 농가 생산 고추장의 품질 현황 분석 (Analysis of Quality State for Gochujang Produced by Regional Rural Families)

  • 이슬;유선미;박보람;한혜민;김하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88-1094
    • /
    • 2014
  • 전국의 농가 생산 쌀고추장의 품질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역의 농가에서 생산한 재래식 쌀고추장 80종을 수집하여 지역별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농가 생산 고추장의 수분 함량은 $44.31{\pm}5.73%{\sim}50.50{\pm}5.65%$, pH는 $4.59{\pm}0.36{\sim}4.79{\pm}0.15$, 산도는 $1.18{\pm}0.22%{\sim}1.54{\pm}0.36%$, 조단백질 함량은 $5.28{\pm}0.90%{\sim}6.93{\pm}.09%$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고추장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488.81{\pm}79.74mg%{\sim}715.16{\pm}78.09mg%$, 환원당 함량은 $22.32{\pm}9.43%{\sim}28.61{\pm}8.80%$, 점도는 $31,511{\pm}11,764cP{\sim}72,923{\pm}32,555cP$, 염도는 $5.55{\pm}0.85%{\sim}8.29{\pm}1.19%$, 색도는 L값 $4.84{\pm}3.08$, a값 $21.26{\pm}10.53$, b값 $8.20{\pm}5.91$,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은 $44.31{\pm}18.71mg/kg{\sim}65.15{\pm}47.98mg/kg$으로 측정되었으며 지역뿐 아니라 고추장 제품 사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강원도와 경기도 지역의 농가 생산 고추장은 타 지역에 비해 수분 함량, 산도, 조단백질 함량, 아미노태질소 함량, 염도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농가 생산 쌀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분, 산도, 조단백질, 아미노태질소 함량, 염도는 강원 경기 지역의 고추장에서 강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블랙 커런트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Currant)

  • 정창호;장치원;이구열;김일훈;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3-270
    • /
    • 2012
  • 블랙 커런트를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및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블랙 커런트 착즙액의 pH는 3.36, 가용성고형분은 $15.11^{\circ}Brix$ 및 총산도는 1.65%였으며, L값 18.20, a값 5.13 및 b값 1.08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은 수분 77.64%, 가용성 무질소물 17.41%, 조섬유 3.08%, 조단백 1.28%, 조회분 0.31% 및 조지방 0.28% 순이었다. 주요 무기성분은 K, P 및 Ca으로 그 함량은 각각 177.36 mg/100 g, 54.74 mg/100 g 및 26.45 mg/100 g이었다. 블랙 커런트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71%) 및 fructose(5.88%)였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105.73 mg/100 g)이었고,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cystine(5.29 mg/100 g)이었다. 비타민 C 함량과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2.19 mg/100 g 및 34.48 mg/GAE g이었다. 블랙 커런트의 농도 10 및 1.25 mg/mL 일때 각각 99.48%와 89.03%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환원력과 FRAP은 농도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블랙 커런트는 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숙성 온도를 달리한 참나물 김치의 품질특성 조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mpinella brachycarpa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최미희;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5-49
    • /
    • 2002
  • 예로부터 즐겨 먹어온 산나물의 일종인 참나물의 식품화가치 증진을 위해 일반적인 품질특성과 참나물 김치의 숙성에 따른 변화특성을 살펴보았다. 참나물의 일반적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도는 Hunter L값 33.28$\pm$1.94, a값 -10.98$\pm$0.74, b값은 14.05$\pm$1.29였으며 shearing force는 2745.2 g이었다. Tannin 함량은 100.9mg%이었으며 섬유소와 무기성분 함량은 섬유소가 24.0%이었고, Ca 7.85 g/kg, K 76.31 g/kg, Mg 4.78g/kg, Fe 0.35g/kg, Na 2.35g/kg로 K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물 김치의 경우 2$0^{\circ}C$와 4$^{\circ}C$저장 모두에서 Hunter L, a b값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는 4$^{\circ}C$저장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pH는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도는 pH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발효온도가 높은 2$0^{\circ}C$에서 상승속도는 빠르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도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율이 높게 나타나 2$0^{\circ}C$ 저장은 저장 5일에 81.9%, 4$^{\circ}C$ 저장은 30일 저장에 77.3%가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저장기간 동안 2$0^{\circ}C$와 4$^{\circ}C$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와 pH, 산도 변화 등과 관련지어 볼 때 2$0^{\circ}C$ 저장은 발효초기 1~3일, 4$^{\circ}C$ 저장은 발효 20일 이후가 적숙기 임을 알 수 있었다.

식혜주에 관한 연구 -2보. 찹쌀식혜 올리고당주- (Studies on Sikhye Wine -2. Glutinous Rice Sikhye Wine-)

  • 안용근;김승겸;신철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5-369
    • /
    • 1997
  • 찹쌀식혜에 Saccharomyces cerevisiae를 가해 28$^{\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켜서 식혜주를 제조하였다. TLC 및 HPLC 분석 결과 발효에 따라 말토오스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였다. 말토트리오스의 감소 속도는 낮다. 분자량이 큰 말토올리고당과 한계덱스트린은 전혀 발효되지 않았다. 에탄올은 3.6%를 나타냈다. 찹쌀식혜주의 아미노산 함량은 0.35$\mu$mol/ml, 단백질 함량은 100$\mu\textrm{g}$/ml를 나타냈다. pH는 3.23, 산도는 3.2ml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1H-NMR로 분석 결과 식혜에 존재하는 것과 구조상 변화가 없었다. $\alpha$-1, 4- 결합에 대한 $\alpha$-1,6- 결합의 비율은 5.6:1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맛은 와인과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