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ic soils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7초

LC-MS/MS를 이용한 농경지 토양 중 항생제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terinary Antibiotics in Agricultural Soil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 이영준;최정희;정형석;이한솔;박병준;김장억;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6-174
    • /
    • 2016
  • 농경지 토양에서 대상항생제 6종(amoxicillin, ampicillin, chlortetracycline, enrofloxacin, oxytetracycline, tetracycline을 아세트산 함유 아세토니트릴, Na2Cit.5H2O, Na3Cit.2H2O과 Na2-EDTA로 추출 후 C18으로 정제하여 LC-MS/MS로 분석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중 2종의 항생제, chlortetracycline과 enrofloxacin이 국내 농경지 토양에서 검출되었다. 제안한 분석법은 토양 중 잔류 항생제 모니터링을 위한 빠르고 간편한 시험법이었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포도재배를 위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엽면시비 효과 (Foliar Fertilization Effe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for Grape Cultivation)

  • 문영훈;안병구;정성수;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0-763
    • /
    • 2012
  • 친환경 포도재배를 위하여 농가에서 용이하게 구입 및 제조가 가능한 유기농자재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사용한 농자재의 pH는 4.6이하였고, 아미노산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료성분을 함유하였다. 포도수확기 토양의 pH는 시험초기 (농자재 처리 전)와 비교할 때 감소하였고, EC와 유기물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효인산은 대조구 (관행처리)를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치환성 K는 은행잎추출액 처리구와 대조구, 치환성 Ca는 무처리구와 아미노산용액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치환성 Mg는 모든 농자재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포도 잎의 질소 (N) 함량은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P는 chitosan, 목초액 및 아미노산액 처리구, K는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Ca은 chitosan 처리구, Mg 함량은 아미노산액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 수량은 목초액 처리구와 대조구에서 $1,581{\sim}1,583kg\;10^{-1}$로 가장 많았고, 당도는 무처리구를 제외하고 같은 수준을 보였다.

토양 column 중 bipyridylium계 제초제 paraquat의 용탈 특성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bipyridylium herbicide paraquat in soil column)

  • 권정욱;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9-36
    • /
    • 1999
  • 물리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두 종류의 토양으로 충전된 유리 column (5 cm I.D. ${\times}$ 30 cm H.)을 이용하여 bipyridylium계 제초제 paraquat의 용탈을 조사하였다. 토양 A (양토)의 벼 재배구와 무재배구에서 117 일 동안 토양 column으로부터 용탈된 $^{14}C$은 각각 총 처리량의 0.42%와 0.54%이었고, 토양 B (사양토)의 경우에는 각각 0.21%와 0.31%이었다. 벼에 흡수된 $^{14}C$은 토양 A와 B에서 각각 3.87%와 2.79%이었고 대부분이 뿌리에 분포하였다. 두 토양 모두에서 총 처리량의 96% 이상이 토양중에 남아 있었고, 특히 $0{\sim}5$ cm 부위에 대부분 존재하였다. Paraquat 토양잔류물의 물에 의한 추출율은 $6.10{\sim}9.10%$이었고 추출불가 토양잔류물의 분포비율은 humin>humic acid>fulvic acid 순이었다. 벼 무재배구의 토양 pH는 담수의 혐기적 조건때문에 용탈실험 후 증가하였으나 벼 재배구에서의 토양 pH는 벼 뿌리로부터 분비되는 삼출물에 의한 상쇄효과로 증가되지 않았다. 토양중 paraquat의 낮은 이동성은 논에 잔류되어 있는 paraquat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가능성이 매우 희박함을 시사해 준다.

  • PDF

인산가용화 미생물에 의한 토양 내 인산이온 가용화 기작 (Mechanisms of Phosphate Solubilization by PSB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

  • 이강국;목인규;윤민호;김혜진;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9-176
    • /
    • 2012
  • Among the major nutrients, phosphorus is by far the least mobile and available to plants in most soil conditions. A large portion of soluble inorganic phosphate applied to soil in the form of phosphate fertilizers is immobilized rapidly and becomes unavailable to plants. To improve the plant growth and yield and to minimize P loss from soils, the ability of a few soil microorganisms converting insoluble forms into soluble forms for phosphorus is an important trait in several plant growth-promoting microorganisms belonging to the genera Bacillus and Pseudomonas and the fungi belonging to the genera Penicillium and Aspergillus in managing soil phosphorus. The principal mechanism of solubilization of mineral phosphate by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PSB) is the release of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such as formic, acetic, propionic, lactic, glycolic, fumaric, and succinic acids and acidic phosphatases like phytase synthesized by soil microorganisms in soil. Hydroxyl and carboxyl groups from the organic acids can chelate the cations bound to phosphate, thereby converting it into soluble forms.

페로니켈슬래그(FNS)가 토질 및 수질오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ro-nickel Slag on Contamination of Soil and Water)

  • 박경호;김대현;김병호;고영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1-3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FNS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소형 및 대형 모형토조를 통하여 원지반과 유사한 조건으로 FNS 매립시에 주변토양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입액은 담수, 산성, 해수를 사용하였으며 모래와 실트시료를 사용하여 각각 상대밀도(40%, 60%)와 다짐도(90%) 조건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소형 및 대형 모형토조에서 배출되는 용출액은 pH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입이 완료된 후에 샘플을 추출하여 토양오염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래보다 실트에서 pH의 오염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FNS가 주변 토양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천연골재 대체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성폐자원을 이용한 산불토양의 생태학적 복원을 위한 토양의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기초특성연구 (Basic study on the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rnt forest 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by organic waste)

  • 정영률;송인근;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1호
    • /
    • pp.79-89
    • /
    • 2005
  • 유기성폐기물 및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산불로 훼손된 산림토양을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일환으로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토양의 물리화학적 환경요인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양 시료는 산불의 영향을 받지 않은 정상토양(US), 산불 후 자연적으로 복원된 토양(NS)과 산불 후 인위적인 복원이 시도된 토양(AS) 등, 세 지역의 표토와 심토를 이용하였다. 모든 토양 시료는 사질토가 우세한 pH5.34~5.78의 산성 토양이었으며, 함수량은 정상토양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연복원지와 인위복원지에서는 표토의 함수량이 심토보다 낮았다. 총 유기물량과 수용성 당량은 정상토양에서 특히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심토보다 표토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종속영양세균의 군집크기는 정상토양의 표토 (UST)와 자연복원지 심토(NSS)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탈수소효소, 섬유소 분해효소, 산성 인산 분해효소의 활성도는 정상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생물 작용의 1차지표가 되는 탈수소효소의 활성도는 함수량과 0.902 (P<0.05)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요소의 암모니아화 및 질산화와 토양반응에 미친 수종 유기물의 영향 (Effect of a Number of Organic Sources on the Ammonification and Nitrification of Urea and Soil Reaction)

  • 오왕근;허지희;김재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7-53
    • /
    • 1991
  •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learn the effect of a number of organic matters on the ammonification and nitrification of urea, and the reaction of soil, applied to a loamy upland soil poor in orgnic matter(<1.5%, without plants 1.The ammonification of urea was most pronounced in one week period immediatly after fertilizer and water treated, after which a rapid decrease of it was followed showing no accumulation at the end of 3rd week. Owing to the accumlation of ammonium, pHs of treated soils were read 7.0 to 7.3 from 6.8~6.9. 2.Nitrification was also progressed rapidly in the first one week period so that the accumulation of NO$_3$-N surpassed that of ammonia during this period. After the 1st week the accumulation of N0$_3$-N was continuously increased showing the maximum at the end of 4 weeks following a sharp decrease at the end of 5th weeks. The accumulation of NO$_3$-N dropped soil pH from 6.8-7.0 to 6. 0-6.2,but the decrease of NO-N at the end of 5th weeks brought up soil pH to 6.4-6.6. again. 3.Amino acid fermentation byproduct rich in salt, paticularly chloride, slowed down the ammonification and nitrification of urea. 4.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diminished the acidifying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s. The diminishing effect of soluble humic acid and amion acid fermentation byproduct showed greater than that of solid organic matter in this experiment, which might be own to the application of a rather small amount of water soluble organic matters. Rice straw powder among solid organic matters appeared to be the least in the diminishing effect above. It may be reasoned that these soluble organic matters decomposes rapidly so as to affect Soil pH, but solid organic matters, particularly the rice straw powder, form acidic humus.

  • PDF

토양(土壤)의 생산력증진을 위(爲)한 용성인비(鎔成燐肥)의 효과적인 시용법에(施用法) 관(關)하여 (A Study on the Efficient Use of Fused Phosphate for the Improvement of Upland Soil Productivity)

  • 오왕근;한동욱;이중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3-57
    • /
    • 1972
  • 우리나라 야산(野山)에 널리 발달(發達)된 척박(瘠薄)한 적황색(赤黃色) 토양(土壤)의 인산비옥도(燐酸肥沃度)를 증진(增進)시키는데 미치는 용성인비(熔成燐肥)의 효과를 밝히고저 일개(一個)의 야산(野山) 토양(土壤)을 비옥(肥沃)한 숙전토양(熟田土壤)과 比較(비교) 시험(試驗)(분재배시험(盆栽培試驗))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파종(播種)에 앞서서 시비(施肥)하는 표준량(標準量)의 인산외(燐酸外)에 다량(多量)의 용성인비(熔成燐肥)를 토양전체(土壤全體)에 혼합(混合)하는 일은 산성(酸性)의 척박(瘠薄)한 토양(土壤)을 비옥(肥沃)하게 (유효인산면에서)하여 배추의 수량(收量)을 크게 증가(增加)시켰으며 척박(瘠薄)한 야산토양(野山土壤)의 숙전화(熟田化)도 빨리 되게 할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용성인비(熔成燐肥)의 이런 효과는 장기간(長期間)에 걸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통(通)하여 경제적(經濟的)으로도 검토(檢討)되어 할것으로 여겨진다. 2.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묽은 산(酸)에 녹는 인산량(燐酸量)과 배추의 생육양간(生育量間)에는 비교적(比較的)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다.

  • PDF

Production, Nutritional Quality and In vitro Methane Production from Andropogon gayanus Grass Harvested at Different Maturities and Preserved as Hay or Silage

  • Ribeiro, G.O. Jr.;Teixeira, A.M.;Velasco, F.O.;Faria, W.G. Junior;Pereira, L.G.R.;Chaves, A.V.;Goncalves, L.C.;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330-341
    • /
    • 2014
  • Andropogon gayanus is an important grass due to its high biomass production, drought tolerance and favorable growth on low fertility acidic soils. Currently,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impact of growth stage on the nutritional quality or the degree of $CH_4$ production that may arise from this forage during ruminal ferment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growth stage of A. gayanus on its chemical composition, in vitro production of gas and CH4, as well as in vitro dry matter (DM) digestibility when grown under tropical Brazilian conditions and conserved as hay or as silage. The nutritional value of A. gayanus grass declined with increasing maturity; however digestible DM yield linearly increased. After 112 d of regrowth, A. gayanus produced higher quality silage (higher lactate and lower pH and butyrate content) and higher DM yield. However, the low levels of crude protein at this time would make protein supplementation a necessity for proper rumen fermentation. No differences in $CH_4$ kinetic parameters were found with advancing maturity or preservation method (hay or silage).

Effects of Boron and Molybdenum on Sugarcane Grown in Old Himalayan Piedmont Plain Soils of Bangladesh

  • Paul G. C.;Rahman M. H.;Rahman A. B. M. 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5-107
    • /
    • 2005
  •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scertain the effects of boron and molybdenum with recommended N P K S Zn fertilizers (RFD) for sustained sugarcane yield in the sandy acidic soil in Old Himalayan Piedmont Plain of Bangladesh. Result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T_7$ having recommended fertilizers of N 120, P 35, K 100, S 25 and Zn 2kg $ha^{-1}$ + B 2kg $ha^{-1}$ + Mo 2 kg $ha^{-1}$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millable cane (126.96\times10^3\;ha^{-1})$ except in $T_9$ with RFD + B 2 kg $ha^{-1}$ + Mo 4kg $ha^{-1}$, and higher cane yield (92.83 Mg $ha^{-1}$) among all except in $T_3$ with RFD + B2 kg $ha^{-1}$, $T_5$ with RFD + Mo 2kg $ha^{-1}$ and $T_9$ where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identical. The increase in cane yield by $T_7$ was $164.6\%$ over control. The treatment $T_7$ having RFD + B 2kg $ha^{-1}$ + Mo 2kg $ha^{-1}$ further gave the highest additional net economic benefit of Taka 16, 500.00 for added Band Mo at 2kg $ha^{-1}$ among all the treatments in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