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id surimi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6초

효소 분해에 의한 가다랭이 혈합육 단백질 농축물의 단백질 보강제로서의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with the Protein Forthification Material of Skip-jack Dark Meat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 우강융;배영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23-329
    • /
    • 1995
  • 가다랭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혈합육의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다랭이 혈압육 단백질 농출물과 ${\alpha}-chymotrypsin$으로 단백질 농축물을 가수분해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만들어 이들의 용해도, 가수분해도, 유리아미노산 함량 등을 측정하고, 모조 어간장 및 어묵제조시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통하여 기호성 등을 평가하였다. 단백질 농축물의 pH 1 부터 12 사이에서의 용해도는 전 구간에 걸쳐 36% 이하였고, pH 7에서 가장 낮은 22%를 보였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전 구간에 걸쳐 65%에서 81%로 나타났고, 용해도가 가장 낮은 pH는 7이었다. 용해도 곡선의 양상은 두 단백질에서 비슷하였다. 단백질 농축물의 가수분해도는 가수분해 12시간에서 79.8%였고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약간의 증가만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단백질 농축물이 단백질 가수분해물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 단백질 모두 taurine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단백질 농축물에서는 taurine, histidine, arginine, alanine 순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고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는 valine, taurine, leucine, alanine순으로 많이 함유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모조 어간장 제조시 첨가할 경우 모조 어간장 제조 원료액 100ml당 8g의 첨가가 적당하였고, 관능검사 결과 시판 어간장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 어묵제조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2%까지 첨가여도 품질면에서 손색없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어육 단백질 회수를 위한 알칼리 Pilot 공정과 회수 단백질의 특성 (Alkaline Pilot Processing for Recovery of Fish Muscle Protein and Properties of Recovered Protein)

  • 장영부;김근배;이근우;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45-1050
    • /
    • 2006
  • Pilot 공정으로 회수한 어육 단백질의 회수율은 전어체와 마쇄육에 대하여 각각 33.2%와 61.8%였다. 균질화 속도와 시간은 3,000 rpm에서 5분이 가장 적당하였으며, 용해 단백질의 회수는 4,000 rpm 이상, 침전 단백질의 회수는 2,000 rpm 이상의 원심속도가 적당하였다. pH 조절제로서 citric acid, sodium phosphate(tribasic) 및 calcium oxide는 pH 조절 효과는 있으나, 회수단백질 가열 젤의 물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알칼리 pilot 공정으로 회수한 단백질 가열 젤의 파괴강도와 변형 값은 수세 공정으로 회수한 단백질의 가열 젤에 비하여 우수하였고, 소금, 전분 및 소혈청 단백질의 첨가는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감소시켰다. 백색도는 수세 공정으로 회수한 단백질에 비하여 낮았다. 알칼리 처리에 의한 어육 단백질의 회수 공정은 수세공정에 비하여 폐수의 오염 부하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 같은 결과는 어육 단백질 회수를 위해 산업적 규모로 알칼리 공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산 가공품의 중간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적색육 및 냉동 어육 단백질의 회수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굴을 이용한 조미 건조포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and Dried Oyster Slice)

  • 허민수;박창경;지성준;민관희;김민정;김은정;강경태;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7-92
    • /
    • 2007
  • 남해안 일대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는 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조미 굴포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굴 첨가비율에 따른 조미 굴포의 일반성분, 색조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조미 굴포의 제조를 위한 굴의 최적 첨가비율은 30%로 판단되었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한 조미 굴포는 조미 수리미포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및 threonine 등이었다. 또한, 조미 굴포의 칼슘 및 인 함량은 조미 수리미포에 비해 높았으며, 조미 굴포의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 및 taste value는 각각 1,576.8 mg/100 g 및 226.05이었고 맛의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이었다.

Evaluation of Acid-treated Fish Sarcoplasmic Proteins on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rk Myofibrillar Protein Gel Mediat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 Hemung, Bung-Orn;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0-57
    • /
    • 2015
  • Fish sarcoplasmic protein (SP) is currently dumped as waste from surimi industry and its recovery by practical method for being the non-meat ingredient in meat industry would be a strategy to utilize effectively the fish resource. This study was aimed to apply pH treatment for fish SP recovery and evaluated its effect on pork myofibrillar protein (MP) gel. The pH values of fish SP were changed to 3 and 12, and neutralized to pH 7 before lyophilizing the precipitated protein after centrifugation. Acid-treated fish SP (AFSP) showed about 4-fold higher recovery yield than that of alkaline-treated SP and water absorption capacity was also about 1.2-fold greater. Because of the high recovery yield and water absorption capacity, AFSP was selected to incorporate into MP with/without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 The effects of AFSP and MTG on the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P and MP gel were evaluated. MTG induced an increase shear stress of the MP mixture and increase the breaking force of MP gels. MP gel lightness was decreased by adding AFSP. MP gel with MTG showed higher cooking loss than that without MTG. A reduction of cooking loss was observed when the AFSP was added along with MTG, where the insoluble particles were found. Therefore, AFSP could be contributed as a water holding agent in meat protein gel.

Effects of a Gelatin Coating on the Shelf Life of Salmon

  • Heu, Min-Soo;Park, Chan-Ho;Kim, Hyung-Jun;Lee, Dong-Ho;Kim, Jin-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89-9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using a coating of gelatin extracted from refiner discharge to extend the shelf life of salmon during cold storage ($5^{\circ}C$). Relative percentage of moisture loss in gelatin-coated salmon during cold storage was less than that of uncoated salmon. The treatment of salmon with gelatin reduce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storage period. Measurements of the peroxide value (POV), fatty acid composition, and (20:5n-3+22:6n-3)/16:0 ratio during cold storage indicated that the coating of salmon with gelatin from refiner discharge effectively suppressed lipid oxidation over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extent of sensory color change during cold storage was less in the gelatin-coated than in the uncoated salmon. From the results of 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relative moisture content, VBN, POV, fatty acid composition, (20:5n-3+22:6n-3)/16:0 ratio, and sensory color change, the conclusion was made that the coating treatment of salmon with refiner discharge gelatin effectively suppressed moisture loss, lipid oxidation, and color deterioration over the entire storage period.

수식 어류껍질 젤라틴의 원료로서 연근해산 수산물껍질의 검색 (Screening for raw material of modified gelatin in marine animal skins caught in coastal offshore water in Korea)

  • 조순영;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34-139
    • /
    • 1996
  • 연근해산 수산물중 부산물의 양이 많은 붕장어껍질, 말쥐치껍질 및 화살오징어껍질을 대상으로 수산 연제품의 품질개선제로 사용하기 적절한 수산물껍질 젤라틴의 원료를 검색하였다. 콜라겐함량은 붕장어껍질(24.69%)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말쥐치껍질(20.03%)이었으며 화살오징어껍질은 12.62%에 불과하였다. 콜라겐의 조성은 어류껍질의 경우 가용성획분$(67.4%{\sim}72.3%)$이 불용성획분보다 높았으나, 화살오징어껍질의 경우 불용성획분(69.6%)이 가용성획분보다 높았고, 아미노산조성은 가용성획분 및 불용성획분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근해산 수산물껍질의 콜라겐은 ${\alpha}$ chain과 ${\beta}$ chain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alpha}$ chain은 동일종이 아닌 hetero형 이었다. Imino acid 조성비, proline의 수산화정도 및 열변성온도는 붕장어껍질 콜라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말쥐치껍질 콜라겐 및 화살오징어껍질 콜라겐의 순이었고 또한 이들 껍질로부터 추출한 젤라틴의 물리적 특성도 열변성온도의 경향과 같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