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Volatile Sulfid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9초

차량 내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악취유발 화학물질의 분석 (Determination of Malodor-causing Chemical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nside Automobile)

  • 박상준;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18-123
    • /
    • 2014
  • It was confirmed that malodor connected with an air-conditioner in an automobile is caused by 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MVOCs) produced by microorganisms getting into an air-conditioner when it is operating. Chemicals such as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n-octanol and toluene were detected above the odor threshold inside the automobile. The characteristics of a funky odor in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due to detected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and dimethyl sulfide). Dimethyl sulfide was produced by microorganisms such as Aspergillus versicolor, Methylobacterium aquaticum, Herbaspirillum sp. and Acidovorax sp.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sour odor in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due to detected organic acids (n-butyric acid, n-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N-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were generated from Aspergillus versicolor, while iso-valeric acid was produced by Methylobacterium aquaticum. In addition, the odor intensity of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as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detected sulfur compounds and organic acids.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chemicals such as hydrogen sulfide, n-octanol and n-butyric acid detected in the air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produced by non-identified species of microorganisms.

깍두기의 발효숙성온도가 유리당, 유기산 및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Free Sugar,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of Kakdugi)

  • 장명숙;김성단;허우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23
    • /
    • 1998
  •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Kakudgi during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free sugar,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up to 57 days at several temperatures. The mannitol was increased in palatable period in contrast with those of other free sugars. The higher the initial fermentation temperature was and the longer the initial fermentation time at 2$0^{\circ}C$ was, the faster the second increasing period was and the less the initial contents was. Lactic acid was increased 6~31 times from a little amount at the initial period. The higher the initial fermentation temperature was and the more the increasing content was. But malic acid which was abundant(55.1% of total nonvolatile organic acid) in the initial fermentation period was remarkably decreased in the palatable period. The change of the sulfides among the volatile compounds was remarkable. Methyl allyl sulfide which was a little in the initial fermentation period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final fermentation period,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ontent of methyl allyl sulfide and aroma in sensory evaluation were high.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should be set to 4$^{\circ}C$ after fermentating at 2$0^{\circ}C$ for 36 hours in the view point of keeping the Kakdugi taste and quality well because of high content of free sugar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 PDF

새우, 게 및 바다가재의 부산물로 만든 소스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 이경임;조지은;안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8
    • /
    • 2007
  • 식품의 조리과정 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갑각류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여 canister system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GC/MSD를 이용해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의 개수는 72종이었으며 그 중 새우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의 휘발성 성분이 45개로 가장 많았다. 새우 소스의 휘발성 성분은 10종의 alkane, 4종의 ketone, 3종의 aldehyde 및 7종의 alcohol이었으며 3-methyl-2-butanone, 2-pentanamine, isobutane, 3- methyl-butanal, furan,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가 주요한 성분이었다. 꽃게 소스에서는 18개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고, 4종의 alcohol류, 5종의 alkane류, 3종의 aldehyde류 및 ketone, acid와 amine이 각각 1종 검출되었으며, 2-methoxy ethanol, trimethyloxirane, 3-buten-1-ol이 꽃게 소스에서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머리부분을 이용한 소스에서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alkane류 2종, aldehyde와 alcohol이 각각 1종씩 동정되었고 formic acid, 1-propanethiol, $\beta$-pinene, allyl sulfide가 주요한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껍질을 이용한 소스에서 휘발성 성분이 18종 검출되었으며, acid류, pentane, 3-methyl 1-butanol 및 2, 4-dimethyl- 3-pentanone이 주요한 휘발성 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결건조에 의한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Kimchi by Freeze-drying)

  • 고영태;강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9-564
    • /
    • 2002
  • 김치를 각각 다른 온도에서 일주일간 숙성시킨 후, 먼저 젖산균수와 관능성을 관찰하고 동결건조시킨 후, 동결건조에 의한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숙성온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시료의 pH는 저하하였고 $25^{\circ}C$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젖산균수는 증가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은 $0^{\circ}C$의 경우는 표준시료와 차이가 없었으나, $5^{\circ}C$, $15^{\circ}C$, $25^{\circ}C$의 관능적 특성은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하였다. 본 실험에서 검출된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은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같은 황함유성분 5종과 ethanol이며, 이 중에서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ethanol은 시료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김치의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량이 증가하였고, dimethyl disulfide와 diallyl disulfide는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24시간 동결건조의 경우는 이상의 모든 휘발성 냄새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48시간 동결건조에 의하여 시료에 따라서는 24시간과 거의 같거나 24시간보다 더 감소하였다.

Cd, Ni, Zn로 오염된 퇴적물에 노출된 Neanthes arenaceodentata의 금속 생물축적, 사망 및 성장저해에 대한 Acid Volatile Sulfide(AVS) 영향 (The Influence of Acid Volatile Sulfide (AVS) on the Bioavailabiltiy and Toxicity of Cd, Ni, and Zn in Sediments to Marine Polychaete Neanthes Arenaceodentata)

  • 이종현;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4호
    • /
    • pp.226-234
    • /
    • 2002
  • 퇴적물 내 황화물(acid volatile sulfide, AVS)이 저서 생물의 금속 생물 축적 및 독성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해양 다모류인 Neanthes arenaceodentata를 이용한 퇴적물 노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 개의 다른 AVS 농도군에 대조구를 포함한 다섯 개의 농도 구배로 Cd, Ni, Zn를 오염시킨 퇴적물에서 N. arenaceodentata를 20일간 배양한 후 실험생물의 체내 금속 축적량과 그에 따른 사망률 및 성장률을 조사하였다. N. arenaceodentata에 의한 금속의 생물축적은 Cd과 Zn의 경우 AVS 농도의 영향을 받아서 해수(overlying water, OW)내 용존 금속 농도에 비례해서 증가했다. Ni은 AVS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퇴적물 내 금속(simultaneously extracted metals. SEM)농도에 비례해서 증가했다. N. arenaceodentata의 사망과 성장률 저해현상은 SEM과 AVS 간의 몰농도차가 영보다 큰 조건([SEM-AVS]>0)에서만 관찰되었는데 용존 Zn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었다. OW-Zn의 20-d LC50값은 9.3(8.0$\pm$11.0) $\mu$M이었다. 사망률에 대한 체내 Zn 농도의 최소영향농도(LOEC)는 7.8 $\mu$mol/g이었고, 최대무영향농도(NOEC)는 6.2$\mu$mol/g이었다. 성장률 저해에 대한 체내 Zn 농도의 LOEC는 5.9$\mu$mol/g이었고, NOEC은5.1 $\mu$mol/g토이었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실 조건에서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퇴적물 내 Zn의 입자상 Zn 농도와 용존 Zn농도의 비 (K$_{d}$ )가 현장 퇴적물에 비해서 10배 정도 감소함으로써 결국 용존 Zn에 의한 독성이 과대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화학물질의 재현을 통한 악취발생원인 규명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Malodor through the Reproduction of Chemicals)

  • 박상준;오영환;조보연;이재신;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29권5호
    • /
    • pp.392-398
    • /
    • 2014
  • It was confirmed that malodor connected with an air-conditioner in an automobile is caused by 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MVOCs) produced by microorganisms and through microorganisms coexisting with each other to form a biofilm on the evaporator surface. A bacterium, Methylobacterium aquaticum, can form a biofilm on the evaporator surface. The biofilm was composed of 45.79% C (Carbon), 42.36% O (Oxygen), 1.85% Na (Sodium), 5.42% Al (Aluminum), 1.39% P (Phosphorus), 0.74% Cl (Chlorine) and 2.45% K (Potassium). This result matches the composition of the bio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sed evaporator. It was determined that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and organic acids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so-Valeric acid) in the air which was blown into the automobile were generated by Methylobacterium aquaticum and Aspergillus versicolo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Xylene, 2-Ethylhexanol, 2-Phenyl- 2-propanol, Ethylbenzene) were not fou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ason is due to the low concentration of generated MVOCs or is caused by the change of some MVOCs depending on the nutrients (medium).

Prediction of Sediment-Bound Metal Bioavailability in Benthic Organisms: Acid Volatile Sulfide (AVS) Approaches

  • Song, Ki-Hoon
    • 환경생물
    • /
    • 제20권2호
    • /
    • pp.101-108
    • /
    • 2002
  • Benthic organisms dwell in sediment-water interface that contains significant amount of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Their feeding behavior is highly related with sediment itself and pore water in the sediments, especially in ease of deposit feeder (i.e. polychaete, amphipod). The acid volatile sulfide (AVS) is one of the important binding phases of sediment-bound metals in addition to organic matter and Fe and Mn oxide fractions in sediments, particularly in anoxic sediments. The AVS model is a powerful tool to predict metal bioavailability and bioaccumulation in benthic organisms considering SEM/AVS mole ratios in surficial sediments. However, several biogeochemical factors must be considered to use AVS model in the sediment-bound metal bioavailability.

마늘의 alcohol 침지 중 휘발성 향기성분과 침출유리아미노산 함량 (Elution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during Alcohol Soaking of Garlic(Allum sativum L.))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86-292
    • /
    • 2007
  • 마늘주의 산업화에 앞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마늘을 소주 등의 술에 침지하였을 때 마늘의 휘발성 기능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이 술로 침출되는 정도 및 형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생마늘을 20% 주정에 5주간 침지하고 매주 휘발성 향기성분과 유리아미노산들이 침출되는 양적 및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L-arginine, L-alanine, L- proline, L-asparagine 및 L-serine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들 모두 침지 기간의경과에 따라 침출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threonine, L-proline, L-valine 및 L-leucine 등의 중성아미노산들과 방향족아미노산인 tyrosine과 phenylalanine은 3주 후부터 80% 이상 침출된 반면에, 산성, 염기성 및 함황아미노산들은 5주 후에도 80% 미만이었다. 생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2-vinyl-4H-1,3-dithiin, 3-vinyl-3,4-dihydro-1,2-dithiin, 3,5-diethyl-1,24-trithiolane, isobutyl isothiocyanate 및 diall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들이 주요 성분들이었다. 생마늘로부터 주정으로 침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allyl alcohol, diall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diallyl trisulfide, 3,4-dimethoxyfuran의 5종이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3,5-diethyl-1,2,4-trithiolane는 계속 침출량이 증가하였지만 그 외 4종은 감소하였다. 침 지기간 중 furfural, 5-methyl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3-hydroxy-2-bytanone과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이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침출주에 대부분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다.

유산균 발효에 따른 무 발효물의 휘발성 향기 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radish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김보람;조연정;김문석;허병석;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4-329
    • /
    • 2019
  • 무 발효물의 발효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총 46종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함황화합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 전(발효 0일차)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 비율을 보면 함황화합물(95.85%)과 알데하이드(2.61%)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발효 후(발효 2일차)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 비율은 함황화합물(75.53%), 산(11.12%), 알코올(8.44%) 및 알데하이드(1.48%)으로 구성되어 변화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발효 후 함황화합물의 총 함량은 18,074.7 ng/g에서 2,996.2 ng/g으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이 성분 중 원재료의 주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이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 성분들은 자극적인 함황화합물 특유의 마늘향과 파향을 나타내는 휘발성 화합물로 발효 후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무 발효물의 발효 전후 향미특성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acetic acid는 발효 전 0 ng/g에서 발효 후 441.0 ng/g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알코올은 41.1 ng/g에서 334.9 ng/g으로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2일차에 증가된 acetic acid (441.0 ng/g)와 1-hexanol (139.3 ng/g)은 각각 톡 쏘는 신향, 과일향과 알코올향을 나타내 발효 전후 무 발효물의 향미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오징어 가공품의 냄새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Processed Squid Product)

  • Chiaki Koiiumi;Toshiaki Ohshima;Lee, Eu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7-554
    • /
    • 1990
  • 오징어 가열향기의 전구물질부를 탐색하고, 연속증류장치로써 가열향기 성분을 추출한 후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구분으로 분획하여 GC 및 GC-MS로써 분석 동정하였다. 오징어 가열향기의 생성에는 80% 메탄올로서 추출되는 성분이 중요하였으며, 지질은 가열향기에 관여하지 않았다. 4가지 획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중성구분에서는 은은하면서 감미로운 냄새를, 염기성구분에 서는 탄매, 배소취 및 어취를 느낄 수 있었다. 오징어 가열향기로서 44성분이 동정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탄화수소 2종, pentanal, furfurylalcohol, hexanol, 2-phenylethanol 등 알데히드 5종, 케톤류 1종, 퓨란류 1종, dimethyl sulfide, dime-thyl-thiazole 등 함황화합물 3종. pyrazine류 7종, pyridine류 2종 및 아민류 1종 둥 10종의 함질소 화합물, 페놀류 2종, propionic acid, isopentanoic acid 및 n-hexanoic acid 등 10종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