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Rain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5초

人工酸性 빗물에 의한 여러 土壤으로부터의 이온 洗脫 (Cation Leaching from Soils Percolated with Simulated Sulfuric Acid Rainn)

  • Rhyu, Tae-Cheol;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169-180
    • /
    • 1993
  • Soils of four combinations, sand with high content of organic matter(SL), sand with low content of OM(SS), siltyl loam with high content of OM(LL) and silty loam with low content OM (LS), were filled on column and then percolated with simulated sulfuric acid rain with pH 5.6, 4.0, 3.5, 3.0 and 2.5. From soil leachates, pH and concentrations of basic cations and Al were determined. Cation concentrations in the leachates increased as pH of the rain decreased. The orders of buffering capacity of soil, leachability of cation from soil, leaching sensitivity of ion andbase saturation sensitivity of soil to acidity of the rain water were SS$\leq$K <$\leq$LL

  • PDF

산성비, 오존층, 온실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The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Acid Rain, Ozone Layer, and Greenhouse Effect)

  • 한재영;정영선;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4-37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산성비, 오존층,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137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개념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주관식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산성비의 정의,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의 구분, 온실 효과의 증가 억제 방법 등에 대하여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존층을 온실 효과와 혼동하고 있었다. 산성비의 증가, 오존층의 파괴, 온실 효과의 증가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 PDF

인공 산성강우가 벼, 콩, 참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imulated Acid Rain Effec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Soybean and Sesame)

  • 강영길;김성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7-243
    • /
    • 1992
  • 산성비가 벼, 콩, 참깨의 생육 및 수량과 토양의 산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탐진벼, 섬진벼, 백운콩, 백천(콩), 삼다깨, 수원 128호(참깨)의 경엽에 공시작물의 생육 기간 동안의 평년 강우량과 같은 양의 인공강우[pH 4수준; 2. 6, 3. 6, 4. 6, 5. 6(대조구)]를 주 2회에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강우의 pH가 가장 낮은 처리구에서도 외관상 생육 장해를 보였던 작물은 없었다. 벼의 출수기, 간장, 등숙율을 제외한 수량 구성 요소 등은 인공강우의 pH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등숙율과 정조수량은 pH가 낮을수록 낮아졌다. 콩의 경우 성숙기, 100립중을 제외한 수량 구성 요소 등은 인공강우의 pH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100립중과 종실 수량은 pH가 낮아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참깨에 있어서는 종실 수량을 비롯한 모든 형질이 인공강우의 pH에 유의성 있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품종과 인공강우의 pH 수준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형질은 어느 작물에서도 없었다. 벼, 콩, 참깨 재배 후 토양의 pH도 인공강우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몇 침엽수종(針葉樹種)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1)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veral Conifers(1))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7-245
    • /
    • 1991
  • 인공산성우처리가 몇 침엽수종의 발아와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lt에 5 수종의 종자를 파종하고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 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와 지하수를 주 3회, 매회 5mm씩 1990년 4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처리하였으며, 발아율 및 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엽송과 종비나무는 pH 5.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대조구에서, 구상나무 는 pH 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율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낙엽송에서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수종들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안정되지 않았다. 낙엽송, 구상나무 및 종비나무는 pH 4.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pH 5.0 처리구에서 각각 묘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낙엽송과 젓나무에서는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구상나무, 종비나무 및 삼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낙엽송과 구상나무는 pH 4.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pH 3.0 처리구에서, 종비나무는 대조구에서 각각 최대건중량을 보였다. 4. 처리산성우의 pH값이 작아질수로 피해가 나타난 침엽의 수 및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5. 토양산도는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인공산성우 처리에 대한 삼림토양의 완충능 (Buffer Capacities of Forest Soils by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 진현오;이계성;정동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7
    • /
    • 2002
  •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소재 경희대 연습림의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인공산성우의 회수별 유입에 따른 산림토양의 완충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H 3.0, pH 4.0, pH 5.0 인공산성우를 하루에 1시간 간격으로 10회 유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임지(활엽수,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의 토심별(0~15 cn, 15~30 cm) pH를 측정한 결과 모든 임지에서 토심이 깊을수록 토양 pH가 높았다. 또한 각 임지별 염기포화도를 살펴보면 리기다소나무 임지에서 17.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E.C는 활엽수임지의 경우 29.87 m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인공산성우 회수별 유입 토양용탈수의 pH 변화를 보면 pH 3.0 처리에서 인공산성우 유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변곡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pH 4.0과 pH 5.0에서는 토양 용탈수의 pH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인공산성우의 pH 수준과 임지에 따라 초기 용탈량은 차이가 있으나 모든 처리에서 인공산성우의 유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염기성 이온의 용탈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pH 5.0 처리에 비하여 pH 3.0과 pH 4.0의 인공산성우 처리에서 총 염기성 양이온의 초기 용탈량이 더 컸으며 이러한 경향은 토양 산성도가 낮고 토양의 염기성 양이온이 높은 임지일수록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활성 Al의 초기 용탈은 토양 산성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인공산성우의 유입산도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심별로 확인해 본 결과 A층과 AB층간의 Al 용탈량도 소폭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공산성우 pH 3.0 처리에서는 모든 임지에서 Al 활성 변화가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pH 4.0과 pH 5.0에서의 용탈수와는 반대되는 경향이었으며, 총 염기성 양이온과도 반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인공산성비 및 목초액 처리가 인동덩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Simulated Acid Rain and Wood Vinegar Treatment on Growth of Lonicera japonica)

  • 서동진;김종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432-438
    • /
    • 2010
  • 인공산성비 처리와 목초액 처리가 토양 화학적 성질,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의 뿌리와 엽내 이온함량 변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수준의 인공산성비(pH 5.6, 4.5, 3.5, 2.5)와 대조구(pH 6.3)로 구분하여 6월에서 10월까지 150일간 주 2회씩 총 30회에 걸쳐 처리하였고, 목초액을 500배로 희석하여 2주 1회씩 총 10회에 걸쳐 처리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아질수록 토양 pH는 감소하였고, 유기물함량, 전 질소, 유효인산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목초액을 처리하였을 때 토양 개선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의 성분은 인공산성비 처리에 의해 $SO_4{^2}$$NO_3{^-}$가 증가하였으며 목초액 처리구에서는 증가 폭이 감소하였다. 또한 양이온은 인공산성비의 pH 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뿌리 보다는 잎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인공산성비 처리 후 조기 낙엽과 생장저해가 나타났으나 목초액 처리 후 생장량이 증가하였다.

인공산성비 처리에 의한 백합나무 묘목의 엽피해와 엽록소함량 변화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Damages of Liliodendron tulipifera L. Seedling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 윤준혁;이도형;우관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5-81
    • /
    • 2008
  •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잎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pH 5.6, 4.9, 3.9, 2.9로 구분된 산성비를 일정기간 처리하여 엽록소 함량, 엽피해율 및 가시적 피해증상을 조사한 결과, 엽록소 함량의 경우, pH 수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pH 수준별 순차적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고 인공산성비 처리가 지속됨에 따른 엽록소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은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pH 2.9처리구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엽피해율은 인공산성비 처리 초기시점에 급격한 피해를 보이다가 지속적으로 피해가 나타났다. 또한, pH 수준이 낮아짐으로써 엽피해율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가시적 피해증상으로는 기형잎, 갈변현상, 괴사반점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으로 고려할 때, 인공산성비 처리는 백합나무 묘목의 잎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작용 및 물리적 피해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가로수 및 용재수로 보급 중에 있는 백합나무에 대하여 산성비에 의해 예상되는 내외부 생리적 반응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체계적이고 부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SO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의 선발(選拔)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II.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 및 산성연무처리실험(算性煙霧處理實驗) (A Study on Selection of SO2 Resistant Tree Species II. Artificial Acid Rain and Acid Mist Treatment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09-217
    • /
    • 1989
  • $SO_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6수종(樹種)에 대하여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를 처리(處理)하면서 엽피해율(葉被害率),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생장(生長)을 조사(調査)하고, 산성연무(酸性煙霧)를 처리(處理)하면서 엽피해율(葉被害率)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찔레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값이 작아질수록 묘고생장(苗高生長)이 나빠졌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으나 가중나무는 pH 5.0 처리구(處理區)에서 묘고생장(苗高生長)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아까시나무, 일본목련 및 등나무는 pH 5.0 처리구(處理區)에서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의 생장(生長)이 모두 대조구(對照區)보다 좋게 나타나 상대적(相對的)으로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해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 및 산성연무(酸性煙霧)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모든 수종(樹種)에서 엽피해율(葉被害率)(피해엽면적(被害葉面積)과 피해엽율(被害葉率))이 증가(增加)하였다. 수종별(樹種別)로 처리간(處理間)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변화(變化)는 조금씩 차이(差異)가 있으나, 찔레의 경우(境遇)는 측정시기(測定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으며 일본목련의 경우(境遇)는 7월 측정(測定)에서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월등(越等)히 높았다가 산성우처리(酸性雨處理)가 계속(繼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여 9월 측정(測定)에서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 PDF

人工酸性雨가 處理된 盆植한 은행나무幼苗의 生長과 生理的 特性과의 相關 (The Relations betwee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tted Ginkgo Biloba L. Seedling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 김갑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6
    • /
    • 1987
  • One-year-old seedlings of Ginkgo biloba, potted in three different soils (nursery soil, mixed and sandy soil), were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pH 2.0, 3.0, 4.0 and 5.0) and tap water (control, pH 6.4) during the growing seasons (1985. 4. 28 - 1985. 10. 19) to examine the effects of acid 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 between seedling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soil types on the total, top and root dry weight per seedling were significant at 5% level, and those of the pH of the rain treated at 1% level. The total dry weight of the pH 3.0 sub-plots was the highest for nursery soil, while for mixed and sandy soils, those of the control and the pH 5.0 sub-plots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2. The leaf surface areas of pH 2.0 sub-plots severely decreased after July, but those of other sub-plots were not affected. Th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and leaf surface area differed among soil-types, however,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September. 3. The injured leaf rate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levels of acid rain.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and injured leaf rate were found. 4. The lower the pH level of acid rain treated was, the more the chlorophyll content was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the more severely it decreased at late growing season. A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August, September and Octobfer. 5. The photosynthetic ability decreased rapidly after July with decreasing pH levels.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owth and photosynthetic ability was found in Augu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