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Mis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인공산성연무(人工酸性煙霧)의 처리(處理)가 몇 활엽수종(闊葉樹種)의 엽피해(葉被害)와 엽표면(葉表面)의 친수성(親水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rtificial Acid Mist on Leaf Injury and Surface Wettability of Several Broad-Leaved Species)

  • 김갑태;엄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577-585
    • /
    • 1996
  • 대기오염과 산성우 피해를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인공산성연무(pH 2.5, 3.5 및 4.5)와 지하수(pH 6.5)를 쥐똥나무, 박태기나무, 무궁화 및 회화나무의 유묘에 처리하고 엽록소 함량, 엽피해 특성, 엽표면의 친수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월 12일 측정에서 쥐똥나무와 무궁화는 pH 2.5처리구에서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 박태기나무와 회화나무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9월 1일 측정에서 쥐똥나무는 pH 2.5처리구에서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 박태기나무, 무궁화, 회화나무에서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 2. 산성연무 처리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는 수종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3. 수종별 산성연무 처리가 계속되면서 모든 수종에서 처리산성연무의 pH값이 작아질수록 엽피해-피해엽수, 엽피해율, 피해엽면적 - 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4. 산성연무에 의한 활엽수 엽조직의 피해는 표피의 wettability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피에 떨군 물방울의 직경측정은 털이 없고 평활한 표면을 갖는 박태기나 회화나무 등의 수종에서는 산성우나 산성연무의 피해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이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청주-청원 지역에서 관측한 안개와 박무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Fog and Mist Observed in the Rural Area of Chongju and Chongwon)

  • 윤마병;정용승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1
    • /
    • 1996
  • Daily measutements of visibility on 09 LST have been made at a rural site in Chong-won, Chong-book since 1991 to find out a possible influence of emissions of anthropogenic pollutants and water vapout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Daily visibility data collected over four-year period were compared with the available visibility and air quality data obtainde from other stations. Detailed examinations of our data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og occurrence (visibility .leq. 1 km) at a rural site (KNUE) was at least three times higher (77 days per year) than the frequency of fog both in Chong-ju city (19 days) and at the Air Force Base(AFB) in the rural area. We interpret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fog at KNUE was due to abundant water vapour in the Mieho River (upstream of the Keum River) area. In Chong-ju city, fog usually continued for a relatively long duration, while it dissipated simewhat faster in the rural environment due to higher solar radiation in the countryside area. The number of misty (.leg. 6 km) days (including foggy days) at KNUE were 235 days as compared with 135 days at the AFB and 67 days in Chong-ju city. In turn the number of days with low visibility (less than 6 km) at KNUE was about 64% per year. Since the moisture alone in a calm morning does not produce a visibility impairment, there must had abundant condensation nuclei including anthropogenic air pollutants. Air pollution was examined, for instance, average values of TSP for November and December 1993 were 115 and 116.mu.g/m$^{3}$, respectively. We conclude that the above mentioned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moisture are favourable for the formation of fog and mist in the rural sampling site at KNUE. Additionally, we found at least 10 days of acid fog at KNUE in September 1994 alone. Measured pH values in the acid for water were in the range of 4.36 .sim. 5.01 with the mean value of 4.51 Our observations suggested that strikingly acid fog do occur occasionally even in the rural environment.

  • PDF

Clonal Propagation in Commiphora Wightii (Arnott.) Bhandari

  • Mishra, Dhruv Kumar;Kumar, Devendr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18-225
    • /
    • 2014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standardize and develop a suitable macro-propagation technology for large scale production of superior clonal stock through stem cuttings in Commiphora wightii Arnott (Bhandari), a data deficient medicinal plant of arid region. For the purpose,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was tri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various cutting diameters (0.50-0.75 cm, 0.75-1.00 cm, 1.00-1.50 cm, and >1.50 cm) in combination with varying growing conditions (sunlight, shade house and mist chamber) on shoot sprouting and rooting without using exogenous plant growth regulators. Cutting diameter (size 0.75-1.00 cm) in mist chamber has shown maximum sprouting (90.00%) and rooting (73.33%), primary root (6.67) and secondary root (16.67) followed by 1.00-1.51 cm in mist chamber. Minimum sprouting (40.00%), rooting (33.33%), number of shoot (1.33), primary root (1.00) and number of secondary root (1.00) was recorded in cutting diameter (size >1.50 cm) in sunlight.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out optimum growth regulator concentration of rooting hormone (100, 200, 500 and 1000 ppm) of Indole-3-acetic acid (IAA) and Indole-3-butyric Acid (IBA)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on cuttings diameter (size 0.25-0.50 cm) in comparison to control. Maximum rooting percentage (93.33%) was recorded in 200 ppm followed by 500 ppm (86.66%) of IBA as compared to control, which showed only 60 per cent sprouting. Third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newly formed juvenile micro-cuttings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IAA and IBA. The juvenile cuttings (size 6-10 cm, basal dia <0.25 cm) were selected as micro-cuttings. The cuttings treated with IBA (500 ppm) showed 64.30% rooting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sults of above experiments indicate that cuttings (size 0.75-1.00 cm dia) may be developed in mist chamber for better performance. While using heavier cuttings, no growth promoting hormones is required however; growth regulator 200 ppm concentration of IBA rooting hormone was observed optimum for promoting macro-propagation in stem cuttings of lower diameter class (0.25-0.50 cm).

SO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의 선발(選拔)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II.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 및 산성연무처리실험(算性煙霧處理實驗) (A Study on Selection of SO2 Resistant Tree Species II. Artificial Acid Rain and Acid Mist Treatment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09-217
    • /
    • 1989
  • $SO_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6수종(樹種)에 대하여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를 처리(處理)하면서 엽피해율(葉被害率),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생장(生長)을 조사(調査)하고, 산성연무(酸性煙霧)를 처리(處理)하면서 엽피해율(葉被害率)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찔레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값이 작아질수록 묘고생장(苗高生長)이 나빠졌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으나 가중나무는 pH 5.0 처리구(處理區)에서 묘고생장(苗高生長)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아까시나무, 일본목련 및 등나무는 pH 5.0 처리구(處理區)에서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의 생장(生長)이 모두 대조구(對照區)보다 좋게 나타나 상대적(相對的)으로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해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 및 산성연무(酸性煙霧)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모든 수종(樹種)에서 엽피해율(葉被害率)(피해엽면적(被害葉面積)과 피해엽율(被害葉率))이 증가(增加)하였다. 수종별(樹種別)로 처리간(處理間)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변화(變化)는 조금씩 차이(差異)가 있으나, 찔레의 경우(境遇)는 측정시기(測定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으며 일본목련의 경우(境遇)는 7월 측정(測定)에서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월등(越等)히 높았다가 산성우처리(酸性雨處理)가 계속(繼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여 9월 측정(測定)에서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 PDF

Chemistry of mist deposition of organic polymer PEDOT:PSS on crystalline Si

  • Shirai, Hajime;Ohki, Tatsuya;Liu, Qiming;Ichikawa, Koki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8-388
    • /
    • 2016
  • Chemical mist deposition (CMD)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was investigated with cavitation frequency f, solvent, flow rate of nitrogen, substrate temperature $T_s$, and substrate dc bias $V_s$ as variables for efficient PEDOT:PSS/crystalline (c-)Si heterojunction solar cells (Fig. 1). The high-speed camera and differential mobility analysis characterizations revealed that average size and flux of PEDOT:PSS mist depend on f, solvent, and $V_s$. The size distribution of mist particles including EG/DI water cosolvent is also shown at three different $V_s$ of 0, 1.5, and 5 kV for a f of 3 MHz (Fig. 2). The size distribution of EG/DI water mist without PEDOT:PSS is also shown at the bottom. A peak maximum shifted from 300-350 to 20-30 nm with a narrow band width of ~150 nm for PEDOT:PSS solution, whose maximum number d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up to 8000/cc with increasing $V_s$. On the other hand, for EG/water cosolvent mist alone, the peak maximum was observed at a 72.3 nm with a number density of ~700/cc and a band width of ~160 nm and it decreased markedly with increasing $V_s$. These findings were not observed for PEDOT:PSS/EG/DI water mist. In addition, the Mie scattering image of PEDOT:PSS mist under white bias light was not observed at $V_s$ above 5 kV, because the average size of mist became smaller. These results imply that most of solvent is solvated in PEDOT:PSS molecule and/or solvent is vaporized. Thus, higher f and $V_s$ generate preferentially fine mist particle with a narrower band width. Film deposition occurred when $V_s$ was impressed on positive to a c-Si substrate at a Ts of $30-40^{\circ}C$, whereas no deposition of films occurred on negative, implying that negatively charged mist mainly provide the film deposition. The uniform deposition of PEDOT:PSS films occurred on textured c-Si(100) substrate by adjusting $T_s$ and $V_s$. The adhesion of CMD PEDOT:PSS to c-Si enhanced by $V_s$ conspicuously compared to that of spin-coated film. The CMD PEDOT:PSS/c-Si solar cell devices on textured c-Si(100) exhibited a ${\eta}$ of 11.0% with the better uniformity of the solar cell parameters. Furthermore, ${\eta}$ increased to 12.5% with a $J_{sc}$ of $35.6mA/cm^2$, a $V_{oc}$ of 0.53 V, and a FF of 0.67 with an antireflection (AR) coating layer of 20-nm-thick CMD molybdenum oxide $MoO_x$ (n= 2.1) using negatively charged mist of 0.1 wt% 12 Molybdo (VI) phosphoric acid n-Hydrate) $H_3(PMo_{12}O_40){\cdot}nH_2O$ in methanol. CM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MD with negatively charged mist has a great potential for the uniform deposi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on textured c-Si substrate by adjusting $T_s$ and $V_s$.

  • PDF

인공산성(人工酸性)비의 철수(撤水) 및 분무(噴霧)가 배추, 무, 콩에 미치는 영향(影響) (Response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Soybean Exposed to Sprinkle and Mist of Simulated Acid Rain)

  • 박선도;이석순;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5-340
    • /
    • 1996
  • 인공산성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인공산성비(pH 2.7)와 자연비(pH 6.0)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살수(撒水)와 분무(噴霧) 처리하였다. 배추와 무는 30회, 콩은 62회 처리하였으며, 가시적 피해증상과 피해율,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관련특성, 식물체 무기양분 함량,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에 의한 가시적 피해증상은 배추는 담갈색 혹은 적갈색 반점이 생기고, 잎은 윤기가 없었다. 무는 잎 가장자리가 다소 위축되고, 담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잎에 윤기가 없었다. 콩은 담갈색과 적갈색의 반점이 생기면서 잎의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인공산성비에 의한 피해정도는 3작물 모두 인공산성비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살수(撒水)보다 분무(噴霧)에서 다소 더 컸다. 3. 엽록소 함량은 인공산성비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인공산성비의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인공산성비 처리는 3작물의 수량을 모두 감소시켰으나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수확기 배추, 무, 콩의 식물체 칼리, 석회, 고토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황 함량은 증가되었고,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시험후 토양의 화학성은 인공산성비 처리로 토양 pH, 석회, 고토, 칼리 함량은 감소시켰으나 황 함량은 증가하였고, 유기물, 전질소, 인산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 토양의 화학성은 차이가 없었다.

  • PDF

여러 조건하(條件下)에서 저장(貯藏)된 감자튀김의 산패(酸敗)에 있어서 BHA와 Ascorbic Acid의 상대적(相對的) 억제효과(抑制效果)에 대(對)하여 (Relative Effectiveness of BHA and Ascorbic Acid in Retarding the Rancidity Development of Potato Chips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 김홍열;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45-251
    • /
    • 1972
  • BHA (0.05%), ascorbic acid (0.1%) 그리고. BHA (0.05%)+ascorbic acid (0.1%)를 각각 첨가시킨 감자튀김을 여러 조건하에서 저장할 때 이들 BHA, As.A 및 BHA+As. A의 상대적인 산패억제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즉 감자튀김을 암소(暗所)에서 $33{\pm}0.5^{\circ}C$로 저장하였을 때는 감자튀김의 산패억제에 대한 BHA의 효과는 매우 컸다. Ascorbic acid도 상당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나 BHA 보다는 약하였으며, 한편 BHA와 ascorbic acid를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는 BHA 단독의 경우와 거의 같았다. 투명, 무색 Polypropylene film으로 덮은 감자튀김을 하루 6시간씩 일사광선에 조사(照射)시키면서 저장하였을 때는 BHA의 항산화력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한편 ascorbic acid의 항산화력은 거의 완전히 상실되었다. 그러나 황색으로 착색된 투명 polypropylene film을 대신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BHA는 그 항산화력을 상당히 잘 유지하였다. 한편, ascorbic acid는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도 그 항산화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 PDF

화력발전소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확산에 관한 연구 (Simulation Study of NOx Dispersion from Power Plant Stack Gas)

  • 박미정;조영민;성두용;김미정;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40-550
    • /
    • 2013
  • Various efforts have been explored to save the cost in many industrial fields. In order to recover the residual thermal energy from the flue gas, an extreme high efficiency heat exchanger is planning to install at a power plant. The gas temperature will be reduced to $40^{\circ}C$ from $115^{\circ}C$. Thus gas buoyancy decreases, and dispersion of nitrogen oxides is expected to deteriorate as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In this study, the conversion of nitrogen monoxide to nitrogen dioxide and dispersion regime are investigated through computational modeling. Nitrogen dioxide which indicates 0.1 ppm at 85 m from the ground could be propagated to 620 m at $115^{\circ}C$ of the flue gas, whilst when cooled down to $40^{\circ}C$, it expands up to 750 m. The ground level influence area showed more expansion of dispersion, approximately to 930 m.

싸이클론 재순환, 냉각공정을 이용한 공정가스 정제 연구 (Process gas purification using cyclone recirculation and cooling process)

  • 김주회;조우진;최영태;조영민;김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5-33
    • /
    • 2018
  • 화석 연료의 고갈과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 바이오가스는 유기성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를 혐기성 소화과정인 가수분해(hydrolysis), 산발효(acidogenesis), 유기산발효(acetogenesis), 메탄발효(methanogenesis)의 단계를 거쳐 발생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에너지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가스는 기존의 정제설비로는 제거할 수 없는 높은 미세분진 및 수분 함량으로 인해, 직접연소, 도시가스, 자동차용 연료 등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정제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분진과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정제과정의 전처리 방법으로써 원심력을 이용하는 냉각공정을 설계하였다.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Cyclone 내 외부에 열교환기와 ID fan을 구성하여 주입되는 가스를 어는점 이하로 냉각시킴으로써 물안개를 형성시켜 분진입자를 제거하고, 일부 가스를 ID fan을 이용하여 재순환시켜 제거하는 고효율 냉각제어공정을 개발하였다. 수분제거는 유량(25~150L/min) 및 상대습도(60~95%)의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수분제거율은 상대습도 $95{\pm}5%$일 때 평균 80.8%, 입자제거율은 입자크기 $2.5{\mu}m$에서 평균 99.78%의 제거효율을 보였고, 수분과 입자의 동시제거효율은 수분 70.86%, 입자 99.67%의 평균값을 보여주었다.

이류체 포그 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적 가루이 방제시 올레산의 적정 농도 (Proper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Oleic Acid for Eco-friendly Control of Whiteflies by Two-fluid Fogging System in Greenhouses)

  • 김성은;이상돈;이문행;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9-304
    • /
    • 2012
  • 본 연구는 친환경적이며 효과적인 시설내 가루이 예방 및 방제를 위해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이용하여 올레산을 분무할 때, 올레산의 적정농도를 구명하고 3회 처리시 방제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올레산의 적정농도 실험은 부여토마토시험장 단동형 플라스틱온실에서 공시품종으로 도태랑골드를 사용하여 수행했고, 올레산의 3회 처리시 방제가에 대한 실험은 경기도농업기술원 벤로형 유리온실에서 공시품종으로 로쿠산마루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적정농도 실험은 무처리구를 대조구로 하고 올레산 2000ppm과 4000ppm을 각각 처리하고 가루이의 밀도를 조사했다. 3회 처리 실험은 화학살충제 처리와 동일하게 올레산 2000ppm을 2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고, 2일 후에 방제가를 조사했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은 실험기간동안 올레산을 처리하지 않을 때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온도가 $25^{\circ}C$ 이상이거나 습도가 75% 이하로 내려갈 때 180초 작동 후 30초 휴식을 반복하여 작동했고, 올레산을 처리했을 때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작동했다. 올레산의 농도실험에서는 2000ppm에서 81.6%, 4000ppm에서 93.6%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즉, 농도를 높게 처리할수록 가루이의 밀도는 크게 감소했다. 올레산 3회 처리 실험에서는 2000ppm을 3회 처리했을 때, 농약등록 기준보다 높은 85.8%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올레산을 2000ppm 이상 3회 처리하는 것이 친환경적인 가루이의 예방 및 방제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