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romatic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4초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 장정운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3-459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라 눈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20대 남녀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와 50%, 80%로 농도로 착색된 gray, blue, brown렌즈를 착용하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조절기능검사는 조절력, 조절효율, 양성 음성 상대조절검사 및 조절래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 대상자들은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력과 조절래그가증가하였으며,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하였을 때 양안, 단안, 좌안에서 증가하였다.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나,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 착색렌즈의 농도에 따라 조절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착색렌즈 농도 및 색상 선택 시 작업거리, 착색렌즈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Color and Form -Focusing on Eye Tracking Experiment-)

  • 황미경;권만우;박민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2-110
    • /
    • 2019
  • 시각과 관련된 감성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과 결합하여 영역 설정(AOI)에 의한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Heat Map과 Gaze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채색의 형태가 무채색의 형태보다 시각적 주의가 크며, 난색의 형태가 한색의 형태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시각적 주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객관적인 해석이 용이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부터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기초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rrelation Analysis of Marine Leisure Sports Wear -Focused on Body Shape, Age and Variable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79-1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남 서남 지역에서 해양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양 레저스포츠 의류의 구매실태, 착용실태, 구매 만족도, 선택기준,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여 연령, 체형 등과의 상관관계와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양 레저스포츠 참여동기와 선택기준 간의 상관관계에서 체력증진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 착용감을 기준으로, 여가나 취미생활로 참여할 경우 디자인, 색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선택기준과 구매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활동성, 다른 용도 활용성을 기준으로 선택하면 가격면에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체형에 따른 선택기준은 큰 삼각형과 사각체형은 가격, 유행을 기준으로, 역삼각형은 신축성을 기준으로 의류를 선택하였다. 연령별 선호색상은 40대는 파랑계열을, 다른 연령대는 무채색을 선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해양 레저스포츠 종목별 선호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 조선족 전통복식의 변화연구 (I) - 일상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lteration of traditional costume of Korean Chinese (I) - Focused on the daily wear -)

  • 임혜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78
    • /
    • 2020
  • Korean Chinese, immigrants to China, have developed their ow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the Korean Chinese and to provide data for posterity.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search, survey research, and analysi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hanges over generations, the top of women's Hanbok has changed in length as has the jeogori (jacket), the git (collar), and the gooreum (breast-tie). The width of the git, dong-jeong (thin white cloth-covered paper collar of Hanbok), the sleeve, and gooreum have also changed. The git and the barae (the curve part of the sleeve) have changed from straight patterns to curves. The skirt had changed in wrinkles arrangement, length, and silhouette. The men's Hanbok jeogori and sleeves were lengthened; the pants became wider and were lengthened, and the collar also became curved. The vest has not changed and the du-ru-ma-gi (coat) that once disappeared is being worn again; the bae-ja (vest) and magoja (over-jacket) are worn frequently in modern times. The garments mainly used natural fiber until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fibers, but the treand has been the use of luxurious natural fibers in modern times. The initial color pattern was achromatic, but that changed with the appearance of synthetic fibers, and nowadays it is mainly the garmetnt can display a variety of colors. In addition, hairstyles and shoes have been eveolved from traditional to modern styles.

역사·문화 가로경관의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 연구 - 중국 카이펑시 (中国 開封市) 서점거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scape of History·Culture Streets - Focused on the Bookstore Street in Kaifeng, China -)

  • 손로;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43-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카이펑 시 역사 문화거리인 서점거리를 대상으로 서점거리의 경관 구성 요소에 나타난 경관 색채의 특징을 분석하여 서점거en리의 환경 색채에 대한 전체성을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 문화거리의 경관 구성요소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청대 건축적 색채의 일반적인 특징과 경관 색채의 기본적인 분석방법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서점거리 경관 구성의 요소 및 경관 색채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색채 분석은 <한국표준색 색채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색상수치 표기는 먼셀 표색계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게 되면 서점거리의 경관색채는 R계열, PB계열, Y계열, 무채색(N)계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색채는 높은 전체성을 나타내었다. 청대 건축 색채의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서점거리의 전체적인 경관 색채는 청대 건축 색채의 일반적인 특성에 상당 부분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인과 시설물, 조형물의 색채 활용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많이 존재하였기에 사인과 시설물 등 경관 요소의 색채계획을 추가하여 시각 정보의 식별 가능성을 강화하고 거리 색채의 단계적인 변화를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3D 가상착의를 활용한 미래주의 패션 디자인 (Development of futurism fashion design based on 3D digital clothing technology)

  • 최설맹;이윤미;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5호
    • /
    • pp.732-751
    • /
    • 2022
  • In this study, we aimed to apply 3D digital printing to basic clothing production and to propose futuristic fashion design and production methods that correspond to contemporary trends. Literature on future trends, dynamism, mechanical aesthetics, and experimentalism were us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futurism."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futurism, we created fashion designs using 3D digital printing methods. These designs were produced us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uturism; the 3D digital clothing program; and application of digital printing technologies to futuristic silhouettes, colors, and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the application of futurism as a fashion motif, we pursued collaboration between artistic work and fashion, and we the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Second, harmony between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s revealed even better dynamism and activeness, and the potential to express dynamism was observed.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cesses based on 3D digital printing methodologies, it was found to be possible to eliminat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solve problems related to limited budget or communication,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fashion industry by enhancing convenience and diversity. Fourth,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that utilizes digital printing, it was found that problems related to time, space, or limited budget were able to be solved, as compared to the use of traditional printing and image reproduction.

메타버스에서의 미래주의 패션 조형성 - DRESSX 가상패션 플랫폼을 중심으로 -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uturism Fashion in Metaverse - Focusing on DRESSX the virtual fashion platform -)

  • 양루이;손수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5-15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uturistic virtual fashion revealed in virtual fashion platforms targeting the human body. First,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in the metaverse and futurist fashion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by referring to prior research. Next, among the items posted on DRESSX, "futurism" was searched and those resturning a positive result were col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characteristics were organized into design elements: colors, shapes, materials, and patterns. Futuristic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element. As a result, color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chromatic, vivid and neon colors, multi-color and gradation, multi-color due to reflected light, and color conversion. As for the form, a body-concious look or exaggerated silhouettes, spatial expressions in geometric structures, forms imitating living things, and fluid silhouettes using clouds were prominent. Materials showed the digitization of universal clothing materials, application of industrial materials, use of metal materials, and unrealistic materials. In the patterns, geometric abstract patterns, patterns that reveal the digital world view, and moving fluid patterns appea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uturism in virtual fashion were revealed in four categories: visual dynamics, high-tech sensibility, variability, kineticisim. Visual dynamics were revealed in geometric forms, and intense neon colors. High-tech sensibility was prominent in the use of metal and industrial materials, light emission, and patterns of the digital world view. The expression of multiple colors by reflected light and the change showed the variability of futurism. The use of unrealistic materials, such as clouds and fire and fluid silhouettes expressed kineticisim. The infinite expressiveness of virtual fashion made it possible to actively expres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uturism.

폐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뷰티디자인 (Upcycling Beauty Design Using Waste)

  • 청밍양;조고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32-738
    • /
    • 2023
  • This study delves into the realm of upcycling beauty design by repurposing discarded CDs, magazines, and fabrics. The study outlines a meticulous process for transforming waste into beauty designs. We created three upcycling beauty design works as part of this investigation. The first creation, called Silver Leaf, uses the silver section of CDs to craft leaves and stems. Achromatic colors are used as makeup to achieve cyber-inspired imagery. After carrying out silver-gray eye makeup, the lips were completed by affixing a CD component. The second creation is a firebird crafted by cutting or folding fashion magazines to create essential items. The colorful firebird image was completed using vivid color makeup of shades such as red and yellow. After proceeding with red eye makeup, the lips were completed by cutting and pasting magazine cutouts. The third piece is a spring flower, which involved selectively cutting lace patterns to complete a beauty design extending from head to face. The colors are spring-themed and encompass pink, yellow, and blue. Pink, blue, and green eyeshadows were applied on the lace, attached from head to face, chest, and lips. This study advocates for the prospect of upcycling beauty design using sustainable materials by repurposing waste resources. It also introduces the possibilities of creative activities in this field through upcycling. The study aims to play a role in changing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 concern of our times, through the use of sustainable resources.

머신러닝과 KSCA를 활용한 디지털 사진의 색 분석 -한국 자연 풍경 낮과 밤 사진을 중심으로- (Color Analyses on Digital Photos Using Machine Learning and KSCA - Focusing on Korean Natural Daytime/nighttime Scenery -)

  • 권희은;구자준
    • 트랜스-
    • /
    • 제12권
    • /
    • pp.5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색채 계획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할 때 참고할 만한 색을 도출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대상이 된 이미지는 한국 내의 자연풍광을 다룬 사진들로 머신러닝을 활용해 낮과 밤이 어떤 색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고, KSCA를 통해 색 빈도를 도출하여 두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낮과 밤 사진의 색을 머신러닝으로 구분한 결과, 51~100%로 구분했을 때, 낮의 색의 영역이 밤의 색보다 2.45배가량 더 많았다. 낮 class의 색은 white를 중심으로, 밤 class의 색은 black을 중심으로 명도에 따라 분포하였다. 낮 class 70%이상의 색이 647, 밤 class 70% 이상의 색이 252, 나머지(31-69%)가 101개로서 중간 영역의 색의 수는 적고 낮과 밤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낮과 밤 class의 색 분포 결과를 통해 명도로 구분되는 두 class의 경계 색채값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KSCA를 활용해 디지털 사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밝은 낮 사진에서는 황색, 어두운 밤 사진에서는 청색 위주의 색이 표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낮 사진 빈도에서는 상위 40%에 해당하는 색이 거의 무채색에 가까울 정도로 채도가 낮았다. 또 white & black에 가까운 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명도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밤 사진의 빈도를 보면 상위 50% 가량 되는 색이 명도 2(먼셀 기호)에 해당하는 어두운 색이다. 그에 비해 빈도 중위권(50~80%)의 명도는 상대적으로 조금 높고(명도 3-4), 하위 20%에서는 여러 색들의 명도차가 크다. 난색들은 빈도 하위 8% 이내에서 간헐적으로 볼 수 있었다. 배색띠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남색을 위주로 조화로운 배색을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의 색의 분포와 빈도의 결과값은 한국 내의 자연 풍경에 관한 디지털 디자인의 색채 계획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색 분포를 나눈 결과는 해당색이 특정 디자인의 주조색이나 배경색으로 사용될 경우에 두 class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 색인지에 대해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분석 이미지들을 몇 가지 class로 나눈다면, 각 class의 색 분포의 특성에 따라 분석 이미지에 사용되지 않은 색도 어느 class에 얼마큼 더 가까운 이미지인지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동적 원추 세포 응답을 이용한 높은 동적 폭을 갖는 영상 색상 보정 방법 (Color Correction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Image Using Dynamic Cone Response Function)

  • 최호형;윤병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104-112
    • /
    • 2012
  • 최근 들어, 실제 환경 영상과 디스플레이 영상간의 인지적 불일치를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을 흉내 낸 높은 동적 범위를 갖는 영상 촬영 기술이 LCD/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HDR 영상에는 섬광 한계뿐만 아니라 국부 영상 대비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심/주변 레티넥스, 다중 스케일 영상 레티넥스, 톤 매핑 방법, iCAM06 등 여러 가지 색상 보정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에서는 결과 영상내의 전반적으로 특정 색상 두드러짐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적 원추 세포 응답을 이용한 영상 보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톤 매핑과 동적 원추 세포 응답으로 구성된다. 색도 성분과 비색도 성분의 선형적인 보간을 이용하여 톤 매핑을 수행하고, 톤 매핑의 결과 영상에서 동적 원추 세포 응답 함수를 이용하여 원추세포 응답을 획득한다. 획득된 원추세포 응답을 이용하여 색상 보정을 수행한다. 이는 인간 눈의 동적 응답을 예측함과 동시에 보정된 영상이 실제 환경과 최대한 일치하도록 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색상 보정 효과가 우수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