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te PE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황화수소(H2S) 감지를 위한 아세트산 납이 침염된 폴리에스터(PET) 섬유 기반의 변색성 센서 (Polyester (PET) Fabric dyed with Lead (II) acetate-based Colorimetric Sensor for Detecting Hydrogen Sulfide (H2S))

  • 이준엽;도남곤;정동혁;정동건;안희경;공성호;정대웅
    • 센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60-364
    • /
    • 2020
  • In this study, the colorimetric sensor, polyester (PET) fabric dyed with lead (II) acetate (Pb(C2H3O2)2),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for the detection of the hydrogen sulfide (H2S).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fabric was deter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variation in the blue value of an RGB sensor. The fabric showed a significant color change, high linearity (R2 : 0.98256), and fast response time (< 1.0 s) when exposed to H2S. This is because the sensor is highly porous and permeable to the gas. The fabric can not only be used as a hydrogen sulfide sensor but also be used to detect and prevent H2S influx using sticky tape on pipelines.

$^{11}C$-Acetate와 3차원 PET/CT를 이용한 심근의 산소 소모량 평가: 재순환 교정법 및 수정 단일구획 추적자 동적 모델 적용 (Evaluation of Myocardial Oxygen Consumption with $^{11}C$-Acetate and 3D PET/CT: By Applying Recirculation Correction Method and Modified One-Compartmental Tracer Kinetic Modeling)

  • 천인국;황경훈;이상윤;김진수;이재성;신희원;이민경;윤민기;최원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4호
    • /
    • pp.275-284
    • /
    • 2008
  • 목적: 정상 성인에서 심근의 산소 소모량에 대한 참고범위를 구하고 시간-방사능 곡선(time-activity curve, TAC)에 재순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재순환 교정법과 수정 단일구획모델을 적용하여 심근 내 산소 소모량을 계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평균연령 $26.3{\pm}4.0$세인 9명의 지원자들에서 925 MBq (25mCi)의 $^{11}C$-Acetate (가천의과학대학교 뇌과학연구소)와 PET/CT (Biograph 6, 독일 지멘스사)를 사용하여 심근 산소 소모량을 계산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MATLAB^{(R)}$ v7.1 (Mathworks. Inc., 미국), $Excel^{(R)}$ 2007 (Microsoft, 미국), $SPSS^{(R)}$ v12.0 (Apache Software Foundation, 미국) 등의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하였다. PET/CT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10초마다 12장, 다음 60초마다 5장, 다음 120초마다 3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300초마다 2장 등 0초일 때 1장을 포함하여 총 23개 프레임을 추출하였다. 수정 단일구획모델과 재순환 교정법을 적용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정규성 검정, 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Post-Hoc analysis) 등을 이용하였고 p값으로 0.05를 적용하였다. 결과: 심근 산소 소모량의 참고범위는 중격 아래벽, 가쪽벽, 앞벽, 전체벽에서 각각 $3.18-4.64\;{\times}\;10^{-4}\;ml/g/sec$, $1.91-3.94\;{\times}\;10^{-4}\;ml/g/sec$, $4.31-6.40\;{\times}\;10^{-4}\;ml/g/sec$, $2.84-4.53\;{\times}\;10^{-4}\;ml/g/sec$ and $3.42-5.00\;{\times}\;10^{-4}\;ml/g/sec$ 등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시간-방사능 곡선의 형태에 관한 기존의 이중적 견해는 결국 재순환된 $^{11}C$-Acetate 때문이며 이 재순환을 교정하면 곡선은 근본적으로 단일 지수함수 형태를 띤다. 결론: $^{11}C$-Acetate 및 3차원 PET/CT로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안정상태에서는 재순환된 $^{11}C$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방사능 곡선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재활용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이용한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올리고머 제조 (Production of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Oligomer from Recycle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 조민정;양정인;노승현;조홍제;한명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37-442
    • /
    • 2016
  • 재활용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부터 PBT (Poly butylene terephthalate)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방법은 PET와 BD (1,4-butanediol)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하여 BHBT (Bishydroxybutylterephthalate)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글리콜리시스 반응과 BHBT의 축합 중합 반응을 통하여 PBT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축중합 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단기 수명 주기 제품인 버려지는 PET 페자원을 장기 수명 주기 제품인 PBT로 변환시켜 더 가치 있고 바람직한 재활용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콜리시스와 축중합 촉매로 zinc acetate를 사용하였고, 글리콜리시스 반응에 대하여 회분식 반응기와 반 회분식 반응기를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성되는 에틸렌글리콜(EG)의 양을 정량하여 해중합도를 추정할 수 있는 EG 수율과 부산물인 THF 생성량을 성능 척도로 하였다. 반응 도중에 EG를 제거하는 반회분식 반응기의 성능이 회분식 반응기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회분식 반응기의 경우 최적의 반응조건은 BD/PET 비율 4, 반응온도 $220^{\circ}C$ 이었으며, 최고 EG 수율은 91% 이었다. 또한 축 중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PBT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와 1,4-Butanediol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Transesterification Kinetics of Bis(2-Hydroxyethyl) Terephthalate with 1,4-Butandiol)

  • 전형철;한명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103-1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의 단량체인 BHET (bis (2-Hydroxyethyl) Terephthalate)와 1,4-BD(1,4-Butanediol)의에스테르교환반응을활용하여 PBT (Poly Butylene Terephthalate)의단량체인 BHBT (Bis (4-Hydroxybutyl Terephthate)를 생성하는 반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 반응의 촉매로 Zinc Acetate를 사용하였다. 회분식 반응기를 통하여 BHET, EG (Ethylene Glycol), THF (Tetrahydrofuran)의 양을 정량하여 반응 kinetics 모델을 구성하였다. 제시된 모델을 통하여 반응속도와 반응물의 조성 분포를 조사하였고, 이 모델의 예측 값과 실험 값들이 잘 일치함을 보였다.

Interchange Reaction Kinetics and Sequence Distribution of Liquid Crystalline Poly(ethylene terephthalate-co-2(3)-chloro-1,4-phenylene terephthalate)

  • Rhee, Do-Mook;Ha, Wan-Shik;Youk, Ji-Ho;Yoo, Dong-Il
    • Fibers and Polymers
    • /
    • 제2권2호
    • /
    • pp.86-91
    • /
    • 2001
  • Liquid crystalline (LC) poly(ethylene terephthalate-co-2(3)-chloro-1,4-phenylene terephthalate) [copoly(ET/CPT)] was prepared u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a flexible spacer, terephthalic acid (TPA), and chlorohydroquinone diacetate (CHQDA). All reactions involved in the copolymeriz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some model compounds: TAP was used for acidolysis, diphenylethyl terephthalate (DPET) for interchange reaction between PET chains, and 야-o-chlorophenyl terephthalate (DOCT) and di-m-chlorophenyl terephthalate (DMCT) for interchange reaction between PET and rigid rodlike segments. Activation energies obtained for the acidolysis of PET with TPA and for interchange reaction of PET with DPET, DOCT, and DMCT were 19.8 kcal/mol, 26.5 kcal/mole, and 45.9 kcal/mole, respectively. This result supports that the copolymerization proceeds through the acidolysis of PET with TPA first and subsequent polycondensation between carboxyl end group and CHQDA or acetyl end group, which is formed from the reaction of CHQDA and TPA. Also, it was found that ester-interchange reaction can be influenced by the steric hindrance. Copoly(ET/CPT)s obtained has ethylene acetate end groups formed from acetic acid hydroxy ethylene end groups and showed almost the random sequence distribution for all compositions.

  • PDF

Identification of Phosphatidylcholine-Phospholipase D and Activation Mechanisms in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s

  • Chung, Jin-Ho;Chae, Joo-Byung;Chung, Sung-Hyun
    • BMB Reports
    • /
    • 제29권1호
    • /
    • pp.11-16
    • /
    • 1996
  •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receptor-mediated activation of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s by angiotensin II, the $Ca^{2+}$ ionophore A23187, or the protein kinase C activator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all stimulated phospholipase D (PLD). This was demonstrated by the increased formation of phosphatidic acid, and in the presence of 0.5% ethanol, phosphatidylethanol (PEt) accumulation. Angiotensin II leads to a rapid increase in phosphatidic acid and diacylglycerol, and phosphatidic acid formation preceeded the formation of diacylglycerol. This result suggests that some phosphatidic acid seems to be formed directly from phosphatidylcholine hydrolyzed by Pill. On the other hand, EGTA substantially attenuated angiotensin II and A23187-induced PEt formation, and when the cells were pretreated with verapamil angiotensin II-induced Pill activation was completely abolished. These results provide the evidence that calcium ion influx is essential for the agonist-induced Pill activation. In addition, staurosporine, an inhibitor of protein kinase C, strongly inhibited PMA-induced PEt formation, but was ineffective on angiotensin II-induced PEt accumulation. $GTP{\gamma}S$ also stimulates PEt formation in digitonin-permeabilized cells, but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pertussis toxin failed to suppress angiotensin II-induced PEt formation.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in the rabbit kidney proximal tubule cells the mechanisms of angiotensin II- and PMA-induced Pill activ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ediated via a pertussis toxin-insensitive trimeric G protein.

  • PDF

EVA와 PET 혼합(混合)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材質分離)를 위한 마찰하전형(摩擦荷電形) 정전선별(靜電選別) 기술개발(技術開發) (Development of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Technique for Material Separation of EVA & PET Mixture Plastic Wastes)

  • 전호석;박철현;백상호;김병곤;김형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1호
    • /
    • pp.13-2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마찰하전형정전선별법을 적용하여 EVA(ethylene vinyl acetat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혼합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재질분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전물질 선정을 위한 하전특성 연구결과, PP(polypropylene)재질이 EV4와 PET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에 가장 효과적인 하전물질로 확인되어, PP재질의 pipe-type 하전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하전장치를 이용한 재질분리 실험결과, 최적 실험조건에서 PET의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98.7%와 89.7%인 결과를 얻었다.

EVA 완충재의 형상변환을 통한 복합구조의 바닥충격음 변이 조사 (Investigation of the level difference of floor impact noises through the shape variation of EVA resilient materials with composite floor structure)

  • 이야긴;이승민;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0-71
    • /
    • 2024
  •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평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 Vinyl Acetate, EVA) 완충재의 형상을 변화시켜 다양한 차음소재와 조합하여 복합구조의 바닥충격음 변화를 조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바닥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인 완충재를 선정하기 위해 Flat, Deck, Cavity type의 EVA, EPS, PET 흡음재, PP판넬, 고무발판 등 다양한 완충재를 조합하여 뱅머신을 이용한 1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실험 데이터에 대해 통계분석한 결과 완충재 두께가 40 mm에 가까울수록 바닥충격음 저감효과가 증가하였으며 PET 흡음재, PP시트, 고무발판 등을 조합한 복합완충재에서 바닥충격음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따라 2차 실험에서 모든 복합완충재의 두께는 40 mm로 통일하였으며, 1차 실험에 사용된 Flat, Deck, Cavity type 및 EVA를 발판형태로 가공한 Mount type 등 4가지 형태의 복합완충재를 설계하였다. 또한, Mount type을 제외한 3가지 기본 형태에서 각각 PET 흡음재(7 mm)를 추가했을 시 바닥충격음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Mount type의 경우 EVA발판 개수에 따른 바닥충격음 변화에 대해 고무공 충격원을 이용한 2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공인인증시험기관의 목업실험실에서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본형태의 Flat, Deck, Cavity type에서 PET를 추가할 경우 통계적으로 경량 5 dB ~ 9 dB, 중량 1 dB ~ 5 dB의 저감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Mount type의 경우 발판 수가 36개 이상일 때 경량 및 중량충격음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기본형태에 따라 동탄성계수가 높아질수록 바닥충격음의 저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한 PET 해중합 특성 (Depolymerization of PET by Ethylene Glycol)

  • 황휘동;김보경;우대식;한명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683-68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촉매 존재 하에서 에틸렌글리콜(EG)를 이용하여 글리콜리시스를 통해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을 해중합하여 BHET(bis-hydroxyethyl terephthalate)를 얻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촉매는 zinc acetate가 사용되었고, 생성물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으로 분석하였다. 반응 시간, 반응 온도, EG양과 같은 조건들의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반응 속도식을 구하였다. 그 결과 반응 온도와 반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BHET의 수율과 해중합 속도는 증가하였지만, 너무 높은 반응 온도 $250^{\circ}C$에서는 BHET가 중합반응을 일으켜 $230^{\circ}C$ 보다 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1차 반응속도 모델을 가정하여 반응 활성화에너지를 구하였다. 얻어진 활성화 에너지는 $210^{\circ}C$ 이상과 $210^{\circ}C$ 이하에서 각각 37.8, 149.6 kJ/mol이었다. 이는 이 반응이 다단 연속 반응임을 보여준다. BHET의 최대 수율은 반응 온도 $230^{\circ}C$, 반응 시간 6시간 그리고, EG/PET의 비율이 4일 때 가장 높은 71%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플라스틱하우스용 피복재의 광학.물리적 특성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vering Materials for Plastic Greenhouse)

  • Kwon, Joon Kook;Choi, Young Hah;Park, Dong Kum;Lee, Jae Han;Um, Yeong Cheon;Park, Joong Choon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1-147
    • /
    • 2001
  • 주요 플라스틱 필름하우스 피복재의 광학 및 물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시설재배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0.08 mm) 필름을 비롯하여 기능성 피복재인 PO 방무필름(polyorefine antifog film. 0.1 mm), 불소필름(fluoric film, 0.06 mm), 산광필름(diffused film, 0.15 mm), PO 방적필름 (polyorefine antidrop film, 0.15 mm) 등과 경질 소재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0.5 mm)등 6종의 필름을 1997년에 폭 5.4m 길이 18.5m, 높이 2.9m의 소형 플라스틱필름 하우스에 각각 피복하고 3년간 (1997~1999) 필름들의 주요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복 후 30개월 경과시의 필름의 분광투과특성은 UV(300~400nm)가 산광 및 PET 필름에서 25~26% 밖에 투과되지 않은 반면, 불소필름에서는 76%, 기타 필름에서는 63~66% 투과되었다. PAR(광합성유효광, 400~700 nm)의 투과율은 불소(86.5%), 방적(80.5%), PET(76.3%), 방무(75.5%), EVA(74.1%), 산광필름(61.9%) 순으로 투과량이 많았다. 피복 후 7일경과 30개월경간의 PAR 투과율의 감소는 EVA가 12%로 가장 컸으며 방적필름이 6%로 가장 작았다. 토마토 작물군락하의 광도는 EVA 필름에 비해 산광필름에 비해 산광필름이 2.5배, 방적필름과 PET가 1.4배 각각 높았다. 필름의 인장저항력은 불소필름이 경질 소재이므로 월등히 강하였으며 다음으로 방적과 산광필름도 강한 경향이었다. 한편 충격저항력은 불소필름이 가장 약했고 방적과 산광필름은 강한 편이었다. 하우스내의 주간온도는 광투과율의 경향과 비슷하였으나, 야간온도는 PET, 불소, 방적, 산광, 방무, EVA 순으로 높았는데 특히 PET는 EVA보다 평균 4$^{\circ}C$ 높게 유지되었다. 하우스내로 투입된 일사량은 EVA 보다 불소필름 32%, 방적필름 15% PET 11%, 방무필름 4% 각각 많았는 반면, 산광필름은 7%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