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ldehyde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2초

회분식 광촉매반응기를 이용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MEK 제거특성 연구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Acetaldehyde and MEK using Batch Type Photo-Reactor)

  • 차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527-1532
    • /
    • 2013
  • 본 휘발성유기화합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와 MEK(methylethylketone)의 광촉매분해특성을 회분식 광반응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광촉매분해반응의 주요 반응변수인 아세트알데하이드와 MEK의 초기농도, 수분함량, 그리고 반응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와 MEK의 광촉매 분해속도에서 어느 일정농도까지는 초기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완만한 증가형태를 보이며, 분해반응형태는 Langmuir-Hinselwood 모델이었다. 아세트알데하이드와 MEK의 광분해반응에 있어 수분은 inhibitor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아세트알데하이드와 MEK 분해반응에 있어 최적의 반응온도는 $45^{\circ}C$이었다.

감과 가공식품의 알콜대사촉진물질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tivator from Persimmon and Its Processed Foods)

  • 김석기;이영철;서광기;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54-958
    • /
    • 2001
  • 감은 종기, 염증질환, 부스럼 화상을 치료하고 고혈압을 예방하고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고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감과육에 알콜대사에 관여하는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이 존재하므로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을 감의 계절별, 품종별 측정을 했고 또 감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농도를 측정하였다. 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은 부유의 경우 11월에 수확한 과일에서 가장 높고 품종별로는 부유가 가장 높았고 갑주백목은 부유와 유사하였고 청도반시, 서촌조생의 순이었다. 가공식품은 감건조품, 곶감, 감즙은 대체로 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의 활성이 높게 유지되나 감음료, 감식초와 같은 음료는 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의 활성이 낮았다. 감 자체뿐만 아니라 감가공식품에서도 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의 활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므로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작용이 기대된다.

  • PDF

Ethanol, Acetic acid 및 Acetaldehyde 기질에 대한 Candida sp. JY-5 효모의 증식 특징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andida sp. JY-Cells on Ethanol, Acetic acid and Acetaldehyde Substrate)

  • Yeehn Yeeh;Jun, Hong-K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9-243
    • /
    • 1985
  • Ethanol, Acetic acid 및 Acetaldehyde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여 Candida sP. JY-5 효모의 증식특성을 batch culture를 통해 검토하였다. Ethanol상에서 이 효모의 지수적 증식기 동안의 비증식도 ($\mu$) 값은 농도가 0.5g/l 이상일 경우 그 초기 농도에 따라 변화하나 비례하지는 않았다. 최대 비증식도는 0.291$hr^{-1}$이었고 최대 증식수율은 10g/l 농도에서 61.2 %이었다. Acetic acid상에서의 비증식도는 이 기질의 초기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으며 그 값이 0.106$hr^{-1}$. 최대 증식수율은 10g/l 농도에서 46.8%로 나타났다. 한편 Acetaldehyde 기질에서 지수적 증식기 동안의 최대 비증식도는 0. 063$hr^{-1}$이었고 최대 증식수율은 0.2g/l 농도에서 44.9%였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Quantification of Acetaldehyde and Methanol in Apple Wine Fermentation by Various Pre-Treatments of Mash

  • Won, Seon Yi;Seo, Jae Soon;Kwak, Han Sub;Lee, Youngseung;Kim, Misook;Shim, Hyoung-Seok;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4호
    • /
    • pp.292-297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dding lactic acid and pectinase, and chaptalization for the quality of apple wine and the production of hazardous compounds (methanol and acetaldehyde). The pH of all of the samples was below 4; therefore, mash seemed to be fermented without any issue. Total acidity was the highest in sample A due to lactic acid addition. Pre-treated groups (samples B, C, and D) showed higher total acidities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Pre-treatments might influence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in apple wines. The control and pectinase added sample (sample B) had the lowest alcohol contents. Adding lactic acid produced more alcohol, and chaptalized samples produced more alcohol due to the addition of sugar. Adding pectinase with and without chaptalization was not effective for producing more alcohol. The control sample had significantly higher acetaldehyde content (2.39 mg/L) than the other samples (1.00~2.07 mg/L); therefore, pre-treatments for apple wine fermentation produced a lower amount of acetaldehyde. Among the pre-treated samples, samples C and D showed the lowest acetaldehyde content of 1.00 mg/L and 1.16 mg/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methanol was generated for sample A (1.03 mg/L) and sample D (1.22 mg/L) than that of the control (0.82 mg/L) (P<0.05). Adding lactic acid or chaptaliz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methanol and acetaldehyde in apple wines.

먹는샘물의 보관 기간에 따른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의 농도 변화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depending on the Time of Storage into Mineral Water)

  • 이연희;이준배;박주현;최자윤;안경희;안혜실;권오상;김태승;한진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1-287
    • /
    • 2011
  •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먹는샘물에서의 보관 기간에 따른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를 DNPH로 유도체화하여 HPLC/UV로 분석하였다. 먹는샘물 79개 제품에 대하여 검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9개 제품에 대해 180일 기간 동안 경과 일수에 따른 온도 및 보관 재질에 따른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의 농도 변화를 조사하여 먹는샘물의 안전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먹는샘물 79개 제품에 대한 검출 현황을 조사한 결과 formaldehyde는 평균농도 $3{\mu}g/L$, 농도 범위는 $0{\sim}29{\mu}g/L$로 나타났으며, acetaldehyde는 평균농도 $20{\mu}g/L$, 농도 범위는 $0{\sim}154{\mu}g/L$로 나타났다. 검출된 제품의 대부분은 오존처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화반응에 의해 오존과 반응하여 formaldehyde와 acetaldehyde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보관 기간에 따른 온도 및 재질별 formaldehyde와 acetaldehyde 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PET병에 담긴 먹는 샘물은 대부분 제품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circ}C$ PET병의 시료는 180일 경과할 때까지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병의 시료는 $25^{\circ}C$, $50^{\circ}C$에서 모두 미량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보관 기간에 따라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 농도는 PET 병과의 접촉시간 및 온도의 영향을 받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높은 온도에서는 PET병으로부터 aldehyde가 형성 및 물로 이동 과정을 통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먹는 샘물 생산 공정 중 소독제의 종류 및 사용, 유통기한, 보관방법 등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제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존과정에서 증감되는 미량유해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아세트알데히드 악취모델링 (Odor Modeling of acetaldehyd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 이은주;무하매드 사이드;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22-3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ALPUFF 모델링을 수행하여 구미국가산업단지 공단지역에 악취로 인한 주민의 민원이 빈번한 지역과 아세트알데히드 배출 주요 점오염원인 구미국가산업단지 공단지역 합성섬유제조업체 악취배출시설과의 상관관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CALPUFF 모델링 결과로서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구미공단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최대값이 T사 배출설비 개선 전보다 O ($10^{-5}g/m^3$)에서 O ($10^{-6}g/m^3$)으로 저감되고 겨울(1월)과 봄(4월)에 구미 1공단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개선되어서 구미 3공단에서 자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구미공단 내 최대값이 도출되었다. 또한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도출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구미공단 내 최대값 예측범위는 T사 배출설비 개선 전의 구미공단 내 최대값 예측범위보다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총괄 점오염원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여도 평가 예측을 위한 CALPUFF 모델링 최대값은 '구미대구지역 HAPs 조사연구'의 측정 최대값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에 상호 비교할 수 있는 비슷한 값을 보였고 민원추세와도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총괄 점오염원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여도 평가 예측에 대한 유효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총괄 점오염원에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배출에 의하여 확산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에 대한 T사 점오염원의 상대적 기여도가 T사 배출설비 개선 후에 개선 전보다 대부분 배 이상 낮아짐이 예측되었다. 반면에 이에 대한 W사 점오염원의 상대적 기여도는 T사 배출설비 개선 후가 T사 배출설비 개선 전보다 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것은 T사 배출설비 개선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W사 점오염원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여도가 커졌음을 의미하였다.

Elimination Effect of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Car Felts using Nano-carbon Materials

  • Cho, Wan-Goo;Park, Seung-Gyu;Kim, Hyung-Ma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44
    • /
    • 2009
  • We proposed the new nano-carbon ball (NCB) materials for eliminating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 from the felt which is built in the car. The concentrations of acetaldehyde and formaldehyde of the original felts were varied upon the different production lots. Acetaldehyde in the felt can be eliminated to target level($0.2{\mu}g$) after introducing 0.5 wt% of NCB into the felt. Detector tube method for analyzing formaldehyde gas was more accurate than HPLC method. Formaldehyde can be eliminated to target level (64 ppb) after introducing 0.5 wt% of NCB into the felt. We also found that TVOC can be reduced to target level ($0.32{\mu}g$) after introducing 2.0 wt% of NCB. Upon introducing small amounts of NCB into the felt, it was possible that the level of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TVOC formed from the felts can be reduced to the target level. We also suggest the effective analyzing method of TVOCs.

당귀추출물 전처치가 Rat의 혈중 알코올 및 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on the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Rats)

  • 송재철;박정미;김상우;;정우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4-180
    • /
    • 2002
  • Objectives : Our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can lower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drunken rats. Methods : We divided Sprague-Dawley male rats into 3 groups of a Vehicle control, Positive control and Angelica gigas group.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levels were checked at baseline, 0.5, 1, 2 and 4 hours after drinking ethanol.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he serum concentrations between the Angelica gigas induc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 Angelica gigas lowered the serum acetaldehyde concentration. However, it did not lower alcohol concentration effect. Conclusions : We assume that Angelica gigas could be effective for alcohol induced hangover.

  • PDF

Effect of Ethanol on Mouse Liver Monoamine Oxidase

  • Huh, Keun;Lee, Sang-Il;Park, Jong-Min;Jang, Byung-S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13-217
    • /
    • 1988
  • The effects of ethanol and acetaldehyde on monoamine oxidase activity in mouse liver mitochondrial fraction were studied. In vivo, a single dose of ethanol increased the hepatic monoamine oxidase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chronic ethanol consumption also increased the enzyme activity using tyramine, benzylamine or serotonin as substrate. Acetaldehyde, the metabolite of ethanol, significantly increased monoamine oxidase activity more than ethanol did. In contrast to the in vivo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onoamine oxidase activity was inhibited in vitro by ethanol or acetaldehyde in the dose-dependent manner.

  • PDF

Nicotine 등으로 유발된 인간 간조직세포 내 hydrogen peroxide 생성억제에 대한 효모균발효애엽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Artemisiae Argi Folium Fermented with Sacchromyces Cerevisiae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of Human Hepatocyte Treated with Toxicants)

  • 박완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6-10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e Argi Folium Fermented with Sacchromyces cerevisiae (AFS)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within human hepatocyte HepG2 cells treated with gallic acid, EtOH, nicotine, acetaminophen, and acetaldehyde. AFS (0~400 ug/mL) was treated with gallic acid, EtOH, nicotine, acetaminophen, and acetaldehyde. And the intracellular productions of hydrogen peroxide were measured by dihydrorhodamine 123 (DHR) assay. AFS showed the restoration of the intracellular productions of hydrogen peroxide which were reduced by gallic acid, EtOH, nicotine, acetaminophen, and acetaldehyde in HepG2 Cells. AFS could be supposed to have the hepatoprotective effect related with hepatocytologic signaling activity against gallic acid, EtOH, nicotine, acetaminophen, and acetaldehy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