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nthopanax spp.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Two Cyanidin compound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 Hahn, Dug-Ryong;Park, Seon-Ji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198-201
    • /
    • 2010
  •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is one of the indigenous medicinal plant and the fruits of Acanthopanax spp. used as a remedial for "wipe out evil wind". Two anthocyanin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cyanidin 3-lathyroside (1) and cyanidin 3-galactoside (2) by chemicophysic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And also, four chemical, syringin,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and acanthoside D were identified. Both anthocyanide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Acanthopanax species. cyanidin 3-lathyroside is one of the rare anthocyanin in natural resources.

Lupane계 Triterpenoid류가 임파구 분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upane-Triterpenoids on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Lymphocytes)

  • 김영옥;조대현;정혜주;김진호;장승엽;육창수;양기숙;오오진
    • 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8-213
    • /
    • 1999
  • The effects of five lupane-triterpenoids from leaves of two Acanthopanax spp., chiisanogenin, chisanoside and $22{\alpha}-hydroxychiisanogenin$, acakoreoside A and acantrifoside A on the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were investigated in vitro. T cell proliferation (TCP) to concanavalin A (Con A) and the B cell proliferation (BCP) to lipopolysaccharide (LPS) were increased by chiisanogenin. TCP to Con 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hiisanoside and acankoreoside A, but not affected by chiisanogenin, $22{\alpha}-hydroxychiisanogenin$ and acantrifoside A, BCP to L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cankoreoside A and acantrifoside A, and slightly increased by chiisanoside, chiisanogenin and $22{\alpha}-hydroxychiisanogenin$.

  • PDF

Yield Analysis of Flavonoids in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 koreanum Grown using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 Lee, Jeong Min;Lee, Jaemin;Lee, Jung Jong;Lee, Sang Chul;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25-29
    • /
    • 2016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flavonoid content (rutin, hyperin, afzelin, quercetin, and kaempferol)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 koreanum, in response to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pinching height, planting time, and top dressin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ranged from 0.201 to 0.690 mg/g with different pinching heights, 0.143 to 1.001 mg/g for different planting times, and 0.156 to 1.074 mg/g depending on the rate of fertilizer application. In both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the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upper section of the plant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lower se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which cultivation methods maximize the flavonoid content of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and thus help to optimize flavonoid yields to improve production for nutraceutical, pharmaceutical, and cosmeceutical applications.

개오가피의 성분 및 항암효과 (Chemical Componen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nticancer Effect in Leaves)

  • 육창수;노영수;서성훈;임재윤;한덕용
    • 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1-261
    • /
    • 1996
  • Acanthopanax divaricatus Seem. is a medicinal plant growing widely through out Korea, Japan and China. The plant material of Acanthopanax spp. is used as analgesic , tonic, sedative drug as well a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rheumatism and diabetes. From the stem barks and root barks of A. divaricatus, diterpenoid compound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pamaric acid ($C_{20}H_{30}O_2,\;mp\;164^{\circ}C$), lignan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d-sesamin ($C_{20}H_{18}O_6,\;mp\;123{\sim}124^{\circ}C$), eletheroside E ($C_{34}H_{46}O_{18},\;mp\;257{\sim}259^{\circ}C$), three sterol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six fatty aci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and behenic acid. And also leaves of A. divaricatus, chiisanoside were identified, one of secotriterpenoidal compound(white amorphorous powder crystal, mp $228^{\circ}C$). Anticancer activity and nephrotoxicity were tested by MTT assay. Anticancer effect of chiisanoside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isplatin.

  • PDF

가시오가피와 감초 추출물을 첨가한 저 나트륨 김치의 발효특성과 면역 활성능 (Fermentative Propertie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ow-sodium Kimchi Supplemented with Acanthopanax senticosus and Glycyrrhizae uralensis Extracts)

  • 유광원;서형주;황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78-887
    • /
    • 2012
  • 건강 기능성을 강조한 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체염을 사용한 저 나트륨 김치 제조 시 선행연구결과에서 면역 활성이 우수했던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추출물을 일정 농도로 첨가한 후 $10^{\circ}C$에서 숙성하면서 경시적으로 발효특성과 면역 활성능을 조사하였다. 대체염과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추출물을 첨가한 저 나트륨 김치는 대조구인 일반김치에 비하여 pH 저하는 완만하여, 발효 7일차에 일반김치는 초기 pH 5.5에서 4.14로 저하하였는데 비하여, 저 나트륨 김치는 초기 pH 5.83~5.88에서 4.26~4.32이었으며, 산도의 경우에는 저 나트륨 김치가 오히려 산 생성이 높아 발효 7일차에 일반김치가 0.7인데 비하여 저 나트륨 김치는 0.8~0.84에 이르렀다. 발효 중 염도 변화는 대체염과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추출물을 이용한 저 나트륨 김치군은 1.72~1.98%, 대조구의 염도는 2.3~2.57%의 분포를 보임으로써 75~77%의 염도 수준에 이르며, 나트륨함량으로는 일반김치의 $65{\pm}1%$ 수준에 해당된다. 유산균의 경우에는 일반김치에 비하여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추출물을 첨가한 저 나트륨 김치가 유산균 증식이 높아 발효 6일차에 유산균의 증식이 가장 높아 일반염을 사용한 대조구 김치의 경우에는 Lactobacillus spp.가 $2.3{\times}10^8cfu/g$, Leuconostoc spp.가 $2.8{\times}10^6cfu/g$ 이었는데 비하여 대체염과 가시오가피 추출물 5%를 사용한 저 나트륨 김치의 경우에는 Lactobacillus spp.가 $3.5{\sim}5.4{\times}10^8cfu/g$, Leuconostoc spp.는 $6.1{\times}10^6cfu/g$으로 더 높아 대체염과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추출물을 이용한 저 나트륨 김치의 경우가 유산균 증식이 활발하고, 이에 따라 산생성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가시오가피(AS)와 감초(GU)가 첨가된 저 나트륨 김치의 숙성과정 중 마크로파지 활성을 측정한 결과, AS 5%가 첨가된 Salt-RA kimchi는 숙성 6일째(식염수 대조군의 2.78배, 시료 $100{\mu}g/m{\ell}$), GU 5%가 첨가된 Salt-RG kimchi는 숙성 9일째(2.02배)에 AS나 GU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대조군(Salt-RA kimchi)보다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진되었다. 또한, AS와 GU를 각각 3%씩 첨가한 저 나트륨 김치는 AS가 첨가된 저 나트륨 김치의 쓴맛을 개선할 뿐만 아니고, AS 첨가 저 나트륨 김치(김치 대조군보다 1.39배)보다는 낮을지라도 숙성 6일째에 저 나트륨 대조군 김치보다 마크로파지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진시켰다(김치 대조군보다 1.28배).

대암산(大岩山)의 약용식물(藥用植物)(III) (Medicinal Plants on Mt. Dae-Am in KangWon-Do)

  • 성락선;노숙희;김용해;원도희;하광원;장승엽;육창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7-94
    • /
    • 2000
  • Mt. Dae-Am is the branch-range of DMZ located on the $38^{\circ}7'$ N KangWon-Do in South Korea.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al medicine (medicinal plants) were Phacellanthus tubiflorus (fam.: Orobanchaceae), Ostericum maximowiczii, Dendranthemum zawadskii Herbich f. latifolium, D. zawadskii subsp. acutilobum, D. var. campanulatum, Halenia corniculata (fam.: gentianaceae),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Acanthopanax divaricatus f. inermis. A. chiisanense, A. sessiliflorum, Eleutherococcus senticosus, Bupleurum longeradiatum, Heracleum moellendorffii sub-spp. subbipinnatum, Sanicula rubriflora, Spuriopimpinella bracycarpa f. latifolia, Angelico gigas, Artemisia montana, A. stelleriana, Paeonia japonica, Phellodendron amurense, Schizandra chinensis, Menyanthes trifoliata, and Gentiana axillariflora var. coreana, etc.

  • PDF

오갈피나무 속(屬) 식물의 항당뇨 및 혈당강하 효과 (Anti-diabetic and Hypoglycemic Effect of Eleutherococcus spp.)

  • 임상현;박유화;권창주;함헌주;정햇님;김경희;안영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61-1768
    • /
    • 2010
  • 오갈피나무 속의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 섬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gracilistylus), 오가나무(Eleutherococcus sieboldianus),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의 잎 부위를 이용하여 $\alpha$-glucosidase와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를 통한 혈당강하 효과를 평가 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섬오갈피 잎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약 43.38%의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41.24%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carbose가 10 mg/mL의 농도에서 73.25%의 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91.90%의 높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도한 모델에 2주간 오갈피나무 속 식물 추출물을 섭취시킨 후 혈당과 지질 개선 효과를 탐색한 결과 STZ 투여로 인하여 모든 당뇨 유발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혈당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당뇨 유발 대조군(C)과 대비하여 시료 투여군인 가시오갈피(T1), 섬오갈피나무(T2), 오가나무(T3), 오갈피나무(T4)군 모두 혈당이 크게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 변화 실험 중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 유발 대조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약물 투여군인 가시오갈피(T1), 오가나무 (T3), 오갈피나무(T4)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은 오가나무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55.61% 가장 크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의 경우 정상군과 대조군과의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섬오갈피나무, 오가나무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와 오갈피나무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중성지방의 경우 또한 총 콜레스테롤과 유사하게 대조군의 경우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다. 약물 투여군인 오가나무군은 60.16%, 오갈피군은 60.80%, 가시오갈피군은 50.16%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적출한 간 내의 중성지방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가시오갈피군, 섬오갈피나무군은 각각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오갈피나무 속 추출물들은 혈당강하 및 당뇨대사 이상으로 인한 지질대사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