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usive supervis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3초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LMX Differentiation

  • LEE, Sung-Heun;Hwang, Hee-Joo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9
    • /
    • 2021
  • Purpose - The increas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important in that it creates a cooperative atmosphere within the organization. Proving how OCB toward coworkers changes in negative leadership situations such as abusive supervision is a new research strea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effects of the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OCB of subordinates for coworkers, and then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perceived LMX differentiation of team members play a moderating ro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irst,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OCB of subordinates in the team toward colleagues. Second, the degree of perceived LMX differentiation is measur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OCB toward coworkers. Result - Hypothesis 1 is that abusive supervi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coworkers' OCB. Hypotheses 2-1, 2-2, and 2-3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LMX differenti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s' OCB will chan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degree of LMX differentiation. Conclusion -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scope of abusive supervision research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team level moderator of perceived LMX differentiation, away from the research on abusive supervision that was mainly discussed at the level of dyadic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one subordinate).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직원의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계약 위반의 매개 효과 (Abusive Supervision and Work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 김예은;정선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9-132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seek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abusive supervision and its negative consequences on subordinate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work engagement, in particular with its focus on the mediational role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llowing the two rounds of pilot interview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182 survey data from one construction company and one hospital - the sectors in which abusive supervision is known to be frequent, with one-month interval to avoid common methods variances. Findings - We have two key findings. First, abusive supervision is negatively related to subordinates' work engagement. Seco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work engageme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enriches extant research on abusive supervision by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echanism in which abusive supervision causes negative outcomes. On a practical note, companies need further efforts to address abusive supervision, for example, by introducing sophisticated HR practices, including accessible grievance procedures and more serious disciplinary actions, and/or by offering leadership educations to supervisors.

비인격적 감독의 국내 연구 동향과 향후 방향성: 선행요인과 결과변수를 중심으로 (Abusive Supervision: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cusing on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 배일한;박지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295-328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reviewed domestic empirical studies on abusive supervision published from 2009 to 2020 and summarized the accumulated results. In particular, this study classified previous studies on abusive supervision as antecedents (supervisor characteristics, subordinate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factors) and outcome variables (cognition/awareness, affection/emotion, attitude, behavior, and oth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tential issues of previous studies and future directions for abusive supervis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domestic studies on abusive supervision can be divided into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and each study was organiz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visor, subordinate,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a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cognition/awareness, affection/emotion, attitude, behavior, and others. Finding - Prior studies on abusive supervision had several limitations in obtaining clear results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fragmented approach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he future, more comprehensive approaches will be needed.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will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abusive supervision by deepening an understanding of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조직 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busive Supervision and its impact 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김정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12권4호
    • /
    • pp.1-1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busive supervision and its effect on the resistance to such behavior by workers, and also to determine the moderating roles of subordinate's personalities that can strengthen or weak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 behaviors. Because the key factors underlying the choice of individual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 organizational OCB have to do with subordinates' concern for the task and relational consequences of their behavior, the analysis focused on Neuroticism, the Big Five domains that represent one's orientations toward task and relational matters, respectively(Costa & McCrae, 1992). For empirical study,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and a total of 233 was us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verification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s OCB, the relationship i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abusive supervision. Second, moder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personalities(neuroticism)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were not verified. Finally, future research will explore th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that affect the extent to which supervisors engage in abusive behavior and how subordinates respond to abusive supervision.

  • PDF

상사의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 관계에서 갈등의 조절효과 연구 (The Study of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Neuroticism and Abusive Supervision)

  • 박희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18-52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 간의 관계에서 갈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성격요인 중 신경증은 비인격적인 행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간주되었다. 즉 신경증이 높은 상사는 비인격적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간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격특성활성화 이론을 바탕으로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황요인으로 갈등을 변수로 간주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갈등이 높은 경우에는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 간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갈등이 낮은 경우에는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 간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사의 신경증과 비인격적인 행동간의 관계에서 갈등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갈등의 조절효과 가설은 지지되었다.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향후연구방향은 결론에 제시하였다.

Understanding Abusive Supervision: The Impa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Employees'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Deluxe Hotel

  • Jung, Hyo Sun;Kim, Ki-bbeum;Yoon, Hye Hy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15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employees' engagement and commitment in the deluxe hotel. Based on total 272 hotel employees obtained from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verified total 3 hypotheses.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busive supervision perceived by employees had negative effect on engagement and employees' engagement had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abusive supervision perceived by employe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ull mediation effect through engagement existed.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searching for effective responding ways at an organizational level and find practical ways to further increase employee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비인격적 감독행위에 대한 제3자 반응 연구동향 (Third Parties' Reactions to Peer Abusive Supervision: An Examination of Current Research)

  • 김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75-190
    • /
    • 2022
  • 비인격적 감독행위는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자와 가해자, 두 당사자와 만의 문제가 아니며, 이를 목격하는 제3자와의 상호작용과 개입 역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비인격적 감독행위 연구는 그동안 당사자 간 관계에 치중해왔고, 제3자 반응에 대한 연구가 최근 부상하는데도 불구하고 관련 국내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최근까지 진행된 비인격적 감독의 제3자 반응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비인격적 감독행위 연구영역의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위를 목격한 제3자는그 사건의 의미에 대한 해석 및 평가라는 인지적 매개과정과, 피해자의 아픔에 공감하거나 이를 고소해하는 등의 정서적 매개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제3자는 궁극적으로 행동 반응을 보이는데, 피해자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상사에게 맞서기도 하고, 때로는 반대로 피해자를 괴롭히거나 배제하기도 한다. 또한 직무태도 및 성과 측면에서 스스로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때, 어떠한 조건에서 제3자가 피해자를 돕거나 돕지 않는지, 그 경계조건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에서 제3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피해자와의 관계, 그리고 목표나 공정성 관련 조직 상황요인들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다수 확인하였다. 이처럼 제3자의 반응양태는 직접적인 피해자의 반응과 비교할 때 그 스펙트럼이 넓은데, 이러한 다양한 반응양태를 촉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이론적 토대로 삼았던 다섯 가지 접근법들을 전체적으로 함께 조망해본다. 더불어 비인격적 감독행위의 제3자 연구에서 발견된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어떤 해결책들을 모색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수행할 때 참고할만한 몇 가지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여행사 종사원의 조직침묵,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ravel Agency)

  • 김판영;이영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07-514
    • /
    • 2015
  • 최근 들어 비인격적 감독 및 조직침묵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의 결과변수와의 영향관계 등을 분석하고 논의를 통해 조직 및 개인적 대응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매출액 상위 9개 여행사 중에서 241명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침묵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침묵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침묵은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후속연구에서 진행되어지길 바란다.

공정성이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인격적 감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irness o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 남경숙;유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24-33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비인격적 감독과 그리고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비인격적 감독이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각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영남지역의 외식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원 중 상사로부터 비인격적 감독을 경험한 적이 있는 총 376명의 종사원으로부터 받은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비인격적 감독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비인격적 감독의 매개효과는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점으로 외식업 경영자는 종사원들이 서로 상호 신뢰하는 조직문화를 형성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이러기 위해서 교육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외식업체는 과도한 육체노동과 감정노동으로 인하여 비인격적 감독자가 많이 생기는 경향이 있는 관계로 교육훈련을 통한 종사원 상호신뢰의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상사의 특성이 비인격적인 감독과 부하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s Characteristics o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전빛나;오영호;전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89-505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직장인들에게 익숙해지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인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상사의 특성 3가지를 개인적 상황(권위주의성향), 조직적 상황(직무불안정성), 개인 및 조직적 상황(자기방어양가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비인격적 감독을 매개로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위해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남녀 종사자를 대상으로 팀장과 팀원을 위한 설문지를 각각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내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한 선행요인 3가지(권위주의, 직무불안전성, 자기방어 양가성)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2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인격적 감독의 매개효과의 관한 가설 3 검증 결과 선행요인 3가지가 비인격적 감독을 부분매개하여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