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es koreana COMMUNIT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반야봉지역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anyabong Area -Abies koreana Forest-)

  • 김갑태;김준선;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1
    • /
    • 1991
  • 지리산 반야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37개의 방형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구상나무는 상층수관의 큰 나무들에서 발견되었으며, 개체수의 비율로는 12.81% 이었다. 유묘의 개체수도 매우 적은 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성은 구상나무와 털진달래가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구상나무와 쇠물푸레, 까치박달, 조릿대 및 층층나무 등의 수종들과는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H')는 1.9796-2.750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구상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쇠퇴원인의 구명과 이에 대한 처방이 필요하며 신갈나무, 당단풍, 쇠물푸레, 까치박달, 층층나무, 조릿대 등을 제거해야 한다.

  • PDF

한라산 구상나무(Abies koreana)의 외생균근의 다양성 (Diversity of Ectomycorrhizal fungi of Abies koreana at Mt. Halla)

  • 심미영;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4-13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loniz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ECM) in roots of Abies koreana which is an endemic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Roots of A. koreana were collected at Mt. Halla. ECM root tips were classified using morphotyping and identified using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the fungal rDNA. Total 8 species of ECM fungi were identified from roots of 11 seedlings of A. koreana : Cenococum geophilum, Russula brevipes, 2 species of Russula, 2 species of Thelephora, Cortinarius camphorates and 2 species of Helotiales. These species were known to be typical ectomycorrhizal fungi found in coniferous mature forests.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 김준선;김갑태;주혜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24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중 반야봉을 중심으로 피아골과 심원계곡을 포함하는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3개 조사지의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은 냉온대남부에서 아한대에 이르기까지 13개의 삼림군집이 형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졸참나무군집 2. 서어나무군집 3. 졸참나무-서어나무군집 4. 노각나무군집 5. 고로쇠나무군집 6. 까치박달나무군집 7. 들메나무군집 8. 개서나무군집 9. 소나무군집 10. 신갈나무군집 1)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11. 분비나무군집 12. 구상나무군집 1) 구상나무-신갈나무 하위군집 2) 구상나무-잣나무 하위군집 13. 철쭉군집 확인된 삼림식생중에서 졸참나무군집은 해발 700m에서 1,000m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 개서나무군집은 동지역의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해발 1,000m에서 1,400m에는 신갈나무군집이 그 이상 1,700m까지에는 구상나무군집, 분비나무군집등 아고산대림이 발달하였다.

  • PDF

漢拏山 國立公圓 구상나무群集의 再檢討 (Review on Abies koreana Community in Mt. Halla National Park, Korea)

  • Yim, Yang-Jai;Kim, Jeong-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247-249
    • /
    • 1990
  • The character species of Abies koreana community in Mt. Halla national park, Korea, and it s nomenclature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Barkman et al., 1986), the association name was corrected from Saso-Abietetum koreanae Yim et al. 1990 nov. in the Korean J. Ecol. 13(2): 101-130 (1990) to Saso quelpaertensi-Abietetum koreanae (Song et Nakanishi) corr. Yim et Kim 1990.

  • PDF

고도에 따른 한라산 구상나무와 주목의 외생균근균 다양성 비교 (Ectomycorrhizal Fungal Diversity on Abies korea and Taxus cuspidata at Two Altitudes in Mt. Halla)

  • 이지은;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8
    • /
    • 2019
  • 한라산 상부와 하부에 서식하는 구상나무와 주목의 뿌리에서 각각 외생균근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적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에서는 하부에서 6속 8종, 상부에서 7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주목에서는 하부에서 4속 8종, 상부에서 6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외생균근균의 종 다양성 지수, 종 균등도, 종 수는 숙주식물과 관계없이 상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균투 수는 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부와 상부에서 구상나무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고도에 관계없이 구상나무의 뿌리에서 발견된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 유사도나 구상나무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과 주목의 뿌리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상나무가 주목과는 다른 특이한 외생균근균 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기온 상승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구상나무의 보전과 자생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라산(山) 아고산지대(亞高山地帶) 구상나무림 군집구조(群集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Community at Subalpine Zone in Hallasan)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1-167
    • /
    • 2007
  • 한라산 국립공원의 윗세오름(1,714m) 대피소를 중심으로 한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0개의 조사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MIP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가 5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목이 16.2%로 나타났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주목과 산개벚지나무, 화살나무; 사스레나무와 섬매발톱나무, 산벚나무; 산개벚지나무와 화살나무; 섬매발톱나무와 산벚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44%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5-15cm 범위가 대부분을 차지하었다.

智異山 亞高山帶 針葉樹林의 更新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 Kang, Sang J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4호
    • /
    • pp.185-193
    • /
    • 1984
  • Regneration process of Abies koreana-Pinus koraiensis community consisted of a subalpio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Korea, was studied in relation to age structure, especially to gap formation. The tall-tree layer (ca. 6.5m) is dominated by Abies koreana and Pinus koraiensis, while lower layer by the sapling and juveniles of A. koreana and Picea jezoensis below 2m tall. The ranges of DBH in A. koreana, P. koraiensis and P. jezonesis were 11.8cm~26.4m, 11.7cm~24.5 cm and 18.2cm~21.7 cm, respectively. The trees below 130 cm tall had contagious distribution, while tall and subtall trees had uniform distribution. The average tree ages of A. koreana, P. koraieniensis and P. jezoensis were 60~70 years, 70~80 years and 70~90 years, respectively. The saplings and juveniles below 20 years in tree ages were occupied over 80% of total trees. The coniferous trees in the gaps or around dead trees were composed of sapligs and juveniles which had emerged or invaded about 20 years before and after the gap formation. The Betula type regeneration of the coniferous forest took place in gaps which orginated from the failing down of a single or a few trees by longevity.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the subalpine coniferous forest composed of A. koreana of A. koreana, P. koraiensis and P. jezoensis in Mt. jiri was supporting by the regeneration pattern of Betula type.

  • PDF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 추갑철;안현철;조현서;김임규;박은희;박삼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09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천왕봉-선녀탕 구간 계곡부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구상나무군집, 들메나무-당단풍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천왕봉-마폭포구간에는 대부분이 구상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잣나무, 당단풍, 마가목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주목, 쇠물푸레, 음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국수나무와 사스래나무, 산겨릅나무, 산벚나무; 당단풍과 사스래나무; 들메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시닥나무; 마가목과 음나무; 물갬나무와 층층나무; 비목나무와 조록싸리,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와 전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와 시닥나무, 잣나무, 주목; 시닥나무와 주목; 신갈나무와 철쭉; 졸참나무와 쪽동백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생강나무와 잣나무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 지수(H')는 $2.7478{\sim}2.9573$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백두대간 댓재에서 백봉령구간 마루금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jae(hill)~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 이수동;홍석환;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19-729
    • /
    • 2012
  • 백두대간은 남한구간만 약 670km로 전체 지역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워 각 지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두대간 구간 중 댓재에서 백봉령구간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마루금을 중심으로 $10m{\times}10m(100m^2)$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구상나무군집, 소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 우점군집, 일본잎갈나무 우점군집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구상나무군집과 소나무군집은 신갈나무와의 경쟁을 회피할 수 있는 능선부 또는 암반지대에 분포하였으나 낙엽활엽수와의 경쟁으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아 보호의 필요성이 있었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8046~1.1283이었으며 단일종 우점군집이 낮고 경쟁상태인 군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지리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 권재환;신민경;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3-118
    • /
    • 2013
  • In this study,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were classified into 20 communities, 3 subcommunities by the Z-M method. I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n the subalpine forests. among them Picea jezoensis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Betula ermanii community, Taxus cuspidat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bies nephrolepis community and Abies koreana community were represented in order. the K, Mg, Ca had correlation on th montane forest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Stewartia pseudocamelli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ere in order. the total nitroge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rganic matter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f the montane ravine forests;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bies holophylla community, Betula costat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were in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