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Management of Mining-related Damages in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Areas using GIS

  • Kim Y. S.;Kim J. P.;Kim J. A.;Kim W. K.;Yoon S. H.;Choi J. 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253-255
    • /
    • 2004
  • The mining-related damages such as ground subsidence, acid mine drainage(AMD), and deforestation in the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areas become an object of public concern. Therefore, the system to manage the miningrelated damages is needed for the effective drive of rehabilitation activities. The management system for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using GIS includes the database about mining record an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ining-related damages and application programs to support mine damage prevention business. Also, this system would support decision-making policy for rehabilitation and provide basic geological data for regional construction works in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areas.

  • PD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ND SUBSIDENCE AT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RESULTS USING GIS

  • Ahn, Seung-Chan;Lee, Sa-Ro;Kim, Ki-D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28-731
    • /
    • 2006
  • Ground subsidence near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s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ground subsidence area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d by field survey at Samcheok City. A raster database composed of ground subsidence areas and electrical resistivity data was constructed for G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structed raster datasets, we used a frequency ratio model. The results show that low and high electrical resistivity anomaly zones coincide with the existing subsidence areas. We infer that the high anomaly zone means saturated and low anomaly zone means vacant. It suggests that electrical resistivity might be a useful factor for analyzing ground subsidence hazard zone.

  • PDF

폐광 전후 삼탄 광산배수의 수질특성과 의의

  • 정영욱;강상수;임길재;홍성규;조원재;조영도;전호석;민정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422-42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pprehend the variation of quality of mine drainage in the abandoned Samtan coal mine. After closure of coal mine, although still pumping, water level in underground was raised to loom and the concentration of some elements such as Fe and Mn was elevated. At present, the worst pollution source in this area is too the acidic leachate drained from uncovered mine waste impoundment. The flow rate of mine drainage from the adit is ave. about 20,000t/d. If water were flooded and deteriorated due to stopping pumping, the impact of the mine drainage on the stream around the abandoned mine would be more seve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ediction of water quality of mine drainage from the adit after stopping pumping will be very important with a view to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 SUBSIDENCE AREA NEAR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AND GEOPHYSICAL PROSPECTING DATA USING GIS

  • Kim Ki-Dong;Choi Jong-Kuk;Won Joong-S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325-328
    • /
    • 2005
  • To estimate presumptive local ground subsidence area near Abandoned Under ground Coal Mine(AUCM) at Samcheok city in Korea, the geological properties of existing ground subsidence area and the geophysical prospec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GIS.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 database were constructed from investigation reports and factors which are related with ground subsidence such as geological map, topological map, land use map, lineament map, groundwater level, RMR (Rock Mass Rating), mining tunnel map and slope database were constructed also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each parameters. As a result of the spatial analysis of existing ground subsidence area, 9 major factors causing ground subsidence were extracted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underground and the ground subsidence was determined from the analysis of geophysical prospecting data. The estimation of presumptive ground subsidence area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from neural network analysis of 9 factors and the scrutiny of geophysical prospecting data.

  • PDF

PRODUCTION OF GROU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 AT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USING FUZZY LOGIC

  • Choi, Jong-Kuk;Kim, Ki-D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17-720
    • /
    • 2006
  • In this study, we predicted locations vulnerable to ground subsidence hazard using fuzzy logic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st was carried out at an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in Samcheok City, Korea. Estimation of relative ratings of eight major factors influencing subsidence and determination of effective fuzzy operators are presented. Eight major factors causing ground subsidence were extracted and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using the spatial analysis and the probability analysis functions. The eight factors include geology, slope, landuse, depth of mined tunnel, distance from mined tunnel, RMR, permeability, and depth of ground water. A frequency ratio model was applied to calculate relative rating of each factor, and the ratings were integrated using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five different fuzzy operators to produce a grou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 The grou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ground subsidences. The obtained susceptibility map well agreed with the actual ground subsidence areas. Especially, ${\gamma}-operator$ and algebraic product operator were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tested fuzzy operators.

  • PDF

GRAM 모델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 분석 (GRAM Model Analysis of Groundwater Rebound in Abandoned Coal Mines)

  • 최요순;백환조;정영욱;신승한;김경만;김대훈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6호
    • /
    • pp.373-382
    • /
    • 2012
  • 폐광된 광산에서는 채광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펌핑 작업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채광 공동이나 채광장 주변 지층에서 지하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한다. 그동안 폐광산 지역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폐탄광지역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 분석시 활용할 수 있는 VSS-NET, GRAM, MODFLOW 모델에 대해 조사하고, 공간적/시간적 규모에서 각 모델의 적용 범위에 대해 소개하였다. 특히, GRAM 모델에 대해서는 상세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포트란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GRAM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동원탄광 수갱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현장의 지하수위 계측 결과와 GRAM 모델의 분석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IS 및 확률모델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 위험 예측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Hazard Area Using GIS and Probability Model near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 최종국;김기동;이사로;김일수;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3호
    • /
    • pp.295-30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확률기법인 빈도비 모델 (frequency ratio model) 및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강원도 삼척지역 폐탄광 주변의 지반침하 발생 취약지역을 예측하였다. 지반침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지형도, 지질도, 갱내도, 토지특성도, 시추공 자료, 기 관측된 침하지 자료 등으로부터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GIS 공간분석과 확률기법을 이용하여 지반침하의 주 요인이 되는 8개의 인자를 추출하였고 관측된 침하지역과 8개 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결정계수($R^2$)를 계산하였다. 빈도비 모델을 적용하여 각인자의 등급별 가중치를 결정한 후, 이를 중첩 분석하여 지반침하 위험 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지반침하 위험 예측도를 기존 침하지 위치와 비교 검증한 결과 96.05%의 높은 예측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폐탄광 지역에서 GIS와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지반침하 위험지역을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페탄광지역의 지반침하발생과 지하 채굴적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al Mining Subsidence and Underground Goaf)

  • 최종국;김기동;송교영;조민정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453-464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폐탄광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와 지하 채굴적 사이의 상관성을 지질, 지하구조, 탄층의 심도와 두께, 지하갱도의 분포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강원도 삼척시 삼척탄전에 속하며, 채굴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연구에서 수치지질도, 수치갱내도, 현장조사보고서 자료와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지반침하 취약성이 높게 분석된 지역에 해당된다. 연구지역에 대한 수치지질도 및 지반안정성 조사 보고서를 기반으로 연구지역내에서 지반침하가 관측된 지역의 분포, 지표 및 지하의 지질구조와 탄층의 분포현황을 분석하였고, 수치갱내도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 갱도의 심도 및 중첩분포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표의 암석 강도 저하, 얕은 심도와 두꺼운 층후의 함탄층 존재가 지반침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수의 중첩된 갱도의 분포 및 얕은 심도의 지하 갱도 존재, 단층의 존재 역시 지반침하발생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지반침하 위험지역을 정량적으로 예측함에 있어, 연구결과로 나타난 지반침하 관련 요인을 추가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폐탄광 지역별로 적합한 지반침하예측 모델을 구축한다면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위험 예측 및 예방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석탄광의 광산배수처리기술 현황 및 전망 (An Overview of Coal Mine Drainage Treatment)

  • 정영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1호
    • /
    • pp.107-111
    • /
    • 2004
  •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폐 석탄광 광산배수의 자연정화처리시설현황과 향후 광산배수 수질개선을 위한 기술수요를 전망하였다. 우리나라 폐 석탄광에서는 현재 약 8만톤의 갱내수가 유출되고 있으며 약 50톤/일 이상 갱내수에 대해서 자연정화시설을 설치하여 갱내수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3개 광산에 설치된 자연정화시설의 현장수질분석 및 설계내용을 검토한 결과 SAPS 공정이 Fe의 재용출 현상이 없고 성능면에서 편차가 적어 광산배수의 중화 및 금속 정화에 핵심 공정으로 파악되었다. SAPS 의 정화성능 및 수명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은 슬러지 누적에 의한 투수 계수 감소와 체류시간 등이었다. 향후 자연정화시설의 성능을 지속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과 오염부하가 큰 갱내수 처리기술과 채굴적 현장 수질개선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탄광 갱도를 활용한 갱도전시장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for Underground Tourist Cavern in an Abandoned Coal Mine)

  • 한공창;전양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6호
    • /
    • pp.425-4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탄광 갱도를 이용한 갱도 전시장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조사와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광산의 일부 갱도는 1999년 폐광 후 관광용의 갱도전시장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갱도전시장 주 갱도의 규격은 폭이 약 5 m에 높이가 3 m이며 갱도 연장이 230 m이다. 갱도를 구성하고 있는 암반은 흑색 셰일 및 석탄층 그리고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갱도조사결과 갱도는 두 개의 단층과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 지질 및 암반조사를 통해 경험적 방법에 의한 안정성평가를 실시하고 보강의 필요성 등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갱도 주변 암반의 전반적인 안정성과 보강(안)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갱도전시장 내부 주요지점의 RMR값과 Q값은 보통(Fair)과 양호(good)의 등급을 나타내었다. Q값을 토대로 산정한 각 지점의 보강안은 무지보나 systematic toiling으로 나타났다. 2차원 전산해석결과 전반적으로 갱도전시장의 안정성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나 일부 불안정 블록에 대한 추가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