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ag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노년층을 위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 for Aaging Society)

  • 이원주;전순현;노영진;김예은;김선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151-15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 센서를 활용하여 노년층을 위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어플리케이션 메뉴는 전체 동작과 부분 동작으로 구성한다. 각 동작은 국민 건강증진센터에서 노년층에 장려하는 신체 각 부위별 스트레칭 10개 동작들을 구현한다. 신체의 각 부위는 온몸, 목, 무릎, 종아리로 분류한다. 전체 동작은 총 10개의 연속적인 동작들로 구성했으며 각 동작을 5초 이상 취할 경우 다음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넘어가도록 구현한다. 각 동작이 진행되면서 동작 캐릭터 상태가 노년에서 청년으로 점점 젊어지게 함으로써 흥미를 느끼도록 한다. 부분 동작은 신체 어느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스트레칭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원하는 신체 부위(온몸, 목, 무릎, 종아리) 중 1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전체적인 사운드는 어플리케이션의 분위기에 적합하도록 조용한 종류의 사운드로 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감정을 느끼도록 구현한다.

  • PDF

업종, 연령, 업무형태에 따른 작업능력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 Ability Index by the Type of Business, Age and Job)

  • 이유정;장성록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1-105
    • /
    • 2010
  • According to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in 2008, the population over ages of 65 years would possess to 10.7% whole population of Korea in 2009 denoting Korea is already in the aging society. It is well-known that the possibility to work longer and to live better is highly related to the work ability of individu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ork ability of each aged group using the Work Ability Index(WAI)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machinery industry and Korea housing corporation, an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type of business, age and job on the WAI score. The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on the effect of aging although work ability of some group(over 55 year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others. Also, type of business and job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AI sc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work ability is not necessarily related to aging in Korean society.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might b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주의가 노화불안과 노인연령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효 의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that Familism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have on Anxiety Over Aaging and Elderly Group's Attitude: Mediation Effect of a Sense of Filial Duty)

  • 김정희;임병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95-61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주의가 노화불안과 노인연령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경기도 성남, 안양, 인천, 그리고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5월 2일부터 6월 28일 까지 설문 조사하여 불완전 응답 34부를 제외한 16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주의, 노화불안, 노인 연령집단 태도, 효 의식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변인간의 다중공선성은 VIF 값의 수치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주의가 노화불안, 노인연령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주의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효의식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유의성 확인을 위해 Sobel이 제안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주의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효 의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토대로 핵가족 고령화 사회의 대학생과 노인세대 간의 가족주의 및 효 의식의 함양과 미래에 야기되는 대학생의 노화불안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개입실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